$\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용접 후처리에 의한 필렛용접부의 피로강도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tigue Strength Improvement of the Fillet Welded Connections with respect to Post-Weld Treatment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A. 구조공학, 원자력공학, 콘크리트공학, v.28 no.5A, 2008년, pp.665 - 672  

이승용 (충주대학교 토목공학부) ,  경갑수 (한국해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교량이나 선박 등의 강구조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하중 전달형 십자형 필렛용접 시험편에 대해 피로시험을 실시하여, 용접 후처리 조건에 따른 피로강도를 분석하였다. 용접 후처리 방법으로는 Toe Grinding, TIG Dressing 및 Weld Profiling을 적용하였으며, 피로시험은 일정진폭 반복하중 하에서 실시하였다. 피로시험 결과 하중 전달형 십자형 필렛용접 시험편은 용접 후처리를 실시한 경우와 실시하지 않은 경우 모두에서 BS 피로설계기준의 F등급을 만족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용접 후처리 방법에 따른 피로강도의 향상 효과는 Toe Grinding, TIG Dressing, Weld Profiling 순서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study herein, the fatigue test was conducted on the fillet welds of the load carrying cruciform joint, which is frequently used in the steel structures such as bridges, ships, etc. In addition, the fatigue strength was analyzed with respect to the different post-weld treatment. The treatm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량, 선박 등과 같은 강구조물에서 피로손상이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의 하나로 보고되고 있는 하중 전달형 십자연결의 필렛용접부를 대상으로 용접 후처리에 따른 피로강도 향상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 이것은 핫스포트 응력기준 응력집중계수 산정으로 인한 평가 방법의 차이 및 용접지단부에서 측정값의 영향 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핫스포트 응력기준 응력집중계수를 시험편 이음부 형상 및 접선각 개선에 따른 상대적 평가를 위한 인자로서 사용하고자 한다.
  • 피로 시험 결과로부터 S-N 곡선으로 작성하고 피로강도를 평가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각 용접 후처리 방법에 따른 피로강도를 비교하고, 피로강도의 향상 매커니즘을 규명하였다. 또한 용접 지단부에서의 피로균열의 발생 및 성장 특성을 분석하여, 실제 구조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피로균열의 제어 및 유지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한편 일부 시험편에 대해서는 용접 지단부의 형상을 파악하기 위해 용접부의 비드형상을 채취하여 지단부의 곡률반경과 접선각을 측정하였으며, 이로부터 용접 지단부의 형상과 피로강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으로 피로균열의 발생은 어떤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일반적으로 피로균열의 발생은 용접 구조상세에 작용하는 응력범위, 구조상세의 기하형상, 고유 잔류응력 등의 영향을 받는데, 이 가운데 구조물에 직접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응력범위가 피로균열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피로균열의 발생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작용외력에 의한 발생응력을 낮추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발생응력을 저감시키는 가장 단순한 방법은 무엇인가? 그러므로 피로균열의 발생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작용외력에 의한 발생응력을 낮추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발생응력을 저감시키는 가장 단순한 방법은 구조부재의 두께를 증가시켜 저항력을 크게 하는 것인데, 이러한 방법은 전체적으로 강구조물의 경제성 및 용접성의 저하 등을 초래할 수 있어 바람직한 방법으로 평가할 수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피로균열의 발생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작용외력에 의한 발생응력을 낮추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이유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피로균열의 발생은 용접 구조상세에 작용하는 응력범위, 구조상세의 기하형상, 고유 잔류응력 등의 영향을 받는데, 이 가운데 구조물에 직접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응력범위가 피로균열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피로균열의 발생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작용외력에 의한 발생응력을 낮추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성훈, 배두병, 최준혁(2002) 고강도강 하중비전달형 +자용접연 결부의 피로강도.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 14권, 제3호, pp. 453-461 

  2. 임청권, 박문호(2000) 강교량 필렛용접 이음부의 루트부 피로파괴 방지.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12권, 제3호, pp. 231-238 

  3. 임청권, 박문호, 장준호(1999) 필렛용접부의 후처리에 따른 피로강도 향상 메커니즘의 연구.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11권, 제3호, pp. 319-327 

  4. 장동일, 김대영(1995) 강부재의 필렛용접 및 횡방향 홈용접 연결부의 피로강도 및 지단부 형상의 영향.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7권, 제2호, pp. 205-213 

  5. 정영화, 경갑수, 홍성욱, 김익겸, 남왕현(2000) TIG처리에 따른 하중비전달형 필렛용접부의 피로특성.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12권, 제5호, pp. 617-628 

  6. 홍성욱, 경갑수, 최동호, 용환선(2000) 용접지단부의 후처리에 따른 하중 비전달형 필렛용접부의 피로특성.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12권, 제6호, pp. 701-713 

  7. 한국도로교통협회(2005) 도로교설계기준 

  8. BSI (2000) BS 5400, Part 3, Code of Practice for Design of Steel Bridges 

  9. BSI (1993) BS 7608, Code of Practice for Fatigue Design and Assessment of Steel Structures 

  10. Maddox, S.J. (1991) Fatigue Strength of Welded Structures. 2nd ed., Abington 

  11. 日本鋼構造協會(JSSC) (1993) 鋼構造物の疲勞設計指針同解說. 技報堂出版, pp. 5-12 

  12. 岩崎雅紀, 名取暢, 深澤誠, 寺田博昌 (1989) 鋼橋の疲勞破損事例と 補修補强對策. 橫川橋梁技報, No. 18, pp. 1-17 

  13. 太田省二郞, 淺井公屋, 大谷眞 (1990) 隅肉鎔接手の止端部のTIG ア一ク再鎔融による疲勞强度の向上. 日本鎔接學會論文集, 第8卷, 第2號, pp. 255-261 

  14. 太田省二郞, 淺井公屋, 大谷眞 (1991) 止端處理に起因する荷重非 傳達十字すみ肉鎔接手のル一ト破壞. 日本鎔接學會論文集, 第9卷, 第2號, pp. 288-294 

  15. 小野塚正一, 後川理, 熊倉靖 (1991) 鎔接止端部形狀が疲勞强度に 及ぼす影響(第1報)-ビ一ド止端の應力集中と疲勞壽命. 日本造船學會論文集, 第170號, pp. 693-703 

  16. 小野塚正一, 後川理, 熊倉靖 (1992) 鎔接止端部形狀が疲勞强度に 及ぼす影響(第2報)-アンダ一カットの許容基準. 日本造船學會論文集, 第171號, pp. 385-393 

  17. 瀨戶厚司, 征失勇夫, 田中洋一 (1993) 各種鎔接部改善處理手の疲 勞强度向上と板厚果の檢討. 日本造船學會論文集. 第172號, pp.617-625 

  18. 益木功, 松田一夫, 岩田秀信, 長谷川正義 (1982) 軟鋼鎔接手の疲れ 强さ改善に及ぼす予歪及びハンマピ一ニングの影響. 日本鎔接學會誌, 第51卷, 第7號, pp. 611-616 

  19. 八木順吉, 町田進, 富田康光, 的湯正明, 征矢勇夫 (1991) 鎔接手の 疲勞强度に關する板厚果評價基準の檢討. 日本造船學會論文集, 第169號, pp. 301-309 

  20. 仁甁寬太, 稻村文秀, 公江茂樹 (1993) 簡易的なホットスポット應 力による鎔接構造物の疲勞强度評價について. 日本鎔接學會, Technical Repor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