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쌍계사 오층 석탑 부지의 지진 응답 특성 평가를 통한 1936년 지리산 지진 세기의 정량적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n Intensity of 1936 Jirisan Earthquake by Estimating Seismic Response Characteristics at the Site of Five-story Stone Pagoda in Ssang-gye-sa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 지반공학, 터널공학, v.28 no.3C, 2008년, pp.187 - 196  

선창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 ,  정충기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김재관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반도 남쪽 경계 부근에 위치한 지리산 내의 불교 사찰인 쌍계사에서 1936년 7월 4일 규모 5.0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이 지진으로 인하여 쌍계사 경내 건축물과 구조물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으며, 특히 지진시 사찰 내 오층 석탑의 탑두가 전도하여 추락하였다. 이 지진 피해 사례는 역사 지진 발생 이외의 강진 기록이 전무한 중진 지역의 한반도에서의 지반 운동 세기 평가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쌍계사 부지에서의 국부적 부지 효과 및 그에 따른 지반 운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추와 크로스홀 및 SASW 시험과 같은 현장 탄성파 시험으로 구성된 종합적인 지반 조사를 사찰 경내에서 수행하였다. 조사된 지반 특성을 토대로, 다양한 지진파를 적용한 부지고유 지진 응답 해석을 0.044g부터 0.220g 범위의 여섯 가지 입력 암반 노두 가속도 수준으로 대표적 쌍계사 부지에 대해 일차원 등가선형 및 비선형 기법을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부지고유 지진 응답 결과로부터 쌍계사의 부지 주기 부근의 단주기 영역에서 증폭된 지반 운동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의 부지 응답 해석 결과와 선행 연구의 석탑 실물 크기 지진 시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1936년 지리산 지진의 암반 노두 지진 세기를 평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earthquake of magnitude 5.0 occurred at Ssang-gye-sa, a Buddhist temple in Jirisan, located near the southern border of the Korean peninsula on 4 July 1936. It resulted in severe damage of several buildings and structures in Ssang-gye-sa. Particularly, the top component of a five-story stone pag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 피해 사례가 사진으로 기록된 계기 지진 중 가장 오래된 지진인 쌍계사 지진에 관한 지반공학적 정량화의 일환으로, 쌍계사 부지의 대표적 지반 특성을 체계적으로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부지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일차원 지진 응답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은 등가선형 (equivalent-linear) 기법인 SHAKE91(Idriss와 Sun, 1992)과 비선형(nonlinear) 기법인 NERA(Bardet와 Tobita, 2001)의 두 기법을 모두 적용 수행하여 한가지 기법을 선택 적용함에 따른 문제 제기 가능성을 배제시켰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대표적 계기 지진 피해 사례인 지리산 쌍계사 지진에 대한 정량적 지진 세기 평가의 일환으로 대상 부지에 대한 해석적 기법 적용의 국부적 부지 효과 평가를 수행하였다. 부지 효과의 평가에서는 선행 연구(Kim과 Ryu, 2003)에 기반한 해석 수행을 진행함에 따라 제한된 입력 지진파들만을 적용하여 국내 발생 기록 지진파의 체계적 고려가 결여되어 있으므로, 보다 종합적인 입력 지진파 고려 적용이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대표적인 건축 구조물 피해 발생 계기 지진인 1936년 지리산 지진에 관한 기초적 문헌 및 현장 탐문 조사를 수행하고(서울대학교, 1999), 오층 석탑 탑두 추락과 같은 구체적이고 정량적인 피해들이 발생했던 쌍계사 부지를 대상으로 지진 응답 특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대상 부지에서는 현장 지반 조사를 수행하여 지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기본 정보로 이용하여 수치적 접근 기법인 지진 응답 해석을 수행함으로써 부지 고유의 지진 응답 특성을 평가하였다.
  • 역사 지진 피해 기록 중에서도 여러 조건이 명료한 석가탑 지진 피해 사례와 같은 주요 석조 문화재를 대상으로 고려할 경우, 실제 지진 피해 사례에 대한 종합적 연구 및 이를 통한 한반도 발생 지진 세기의 정량적 평가가 향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향후 석탑 지진 피해 사례에 근거한 지진 세기 평가의 사전적 연구의 일환으로, 쌍계사 지진시 발생한 오층 석탑 탑두 추락 사례와 결부하여 쌍계사의 부지고유 지진 응답 특성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 SASW 시험은 크로스홀 시험 부지를 포함해서 1936년 지진 당시 오층 석탑의 탑두가 추락했던 금당 부지 (KU)와 천정 등이 붕괴되었던 종무소 부지(FG)에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지반 조사는 오층 석탑의 지진 피해 사례가 존재하는 금당 부지에 대한 지반지진공학적 특성 파악을 주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쌍계사 부지는 대웅전이나 종무소와 같은 큰 규모의 건축물들이 위치한 넓은 부지 영역, 그 옆의 높은 지대에 금당이 위치한 좁은 부지 영역, 그리고 이들 사이에 몇몇 건축물들이 존재하는 중간 부지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세 부지 영역에 대해서 지반동적 특성인 전단파 속도(shear wave velocity, VS) 획득 목적의 현장 탄성파 시험(in-situ seismic test)을 포함한 지반 조사를 수행하고, 쌍계사 부지의 지반지진공학적 대표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지반 조사는 시추공 탄성파 기법인 크로스홀 탄성파 시험(crosshole seismic test)과 비파괴 탄성파 기법인 SASW (spectral analysis of surface waves) 시험으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 이미 수행한 쌍계사 오층 석탑 실물 모델에 대한 지진 시험(Kim과 Ryu, 2003)에서 본 연구의 부지고유 지진 응답해석 시 다양한 지진파 주파수 특성을 반영할 목적으로 입력한 계측 지진파들인 Coalinga, El Centro, Taft 및 Whittier Narrows 지진파들을 적용하여, 일층 탑신부의 불안정이 아닌 석탑(찰주가 없는 모델) 탑두 추락 피해 양상을 야기하는 지진파들을 El Centro 지진과 Taft 지진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김재관과 류혁(2001)은 예비 시험을 통해서 쌍계사 오층 석탑의 고유 진동수(1차 모드) 범위를 1.
  • 그림 2는 쌍계사에서의 주요 지진 피해 사례인 종무소, 진감선사대공탑비 그리고 오층 석탑의 피해 현황을 당시 확보된 사진 자료로 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여러 형태의 지진 피해가 발생했던 쌍계사에 대한 부지고유 지진 응답 특성 평가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상 지역에 대한 답사를 실시하고 종합적 지반 특성 확보 목적의 다양한 지반 조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지진관측을 하게 만든 사건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지진관측은 1905년 인천에 일본인들이 지진 관측소를 세워 시작하게 되었고, 그 이후 1977년 서울과 광주에 우리 손으로 관측소를 설치하였다. 본격적인 우리나라의 지진 관측은 주거 생활 지역에서의 실질 피해 기록이 있었던 1978년 10월 홍성 지진(규모 5.0)이 발생한 이후이며, 1990년 중후반부터 전국에 지리적 위치를 고려한 지진 관측소를 설치 운영하여 계기 지진 자료를 확보하고 있다(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6). 그렇다 할지라도 아직까지는 양질의 지진 관측 자료와 실제 지진 피해 기록이 확보된 계기 지진 정보의 확보는 거의 전무한 상황이며, 실제 국내 내진 성능 합리화의 기본 정보인한반도 발생 가능 지진 세기는 주로 역사 지진 기록을 토대로 산정되어 있다.
지진발생과 그에 따른 지진 피해의 정량적 평가 및 예측은 어떤 것이 고려되어야 하는가? 지진 발생과 그에 따른 지진 피해의 정량적 평가 및 예측은 지역 고유의 국부적 지진 및 지반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대상 지역 고유의 지진 및 지반 특성을 고려한 지진 피해 정량화는 실제 발생한 지진 피해 사례들의 다각적 분석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해외의 지진 다발 및 강진 발생 국가들에서는 여러 실질 사례 분석으로부터 발생 가능 지진과 국부적 지반 특성에 관한 체계적 정량화를 진행해왔다.
우리나라의 지진관측은 언제 어떻게 시작하게 되었는가? 현재에도 지속적으로 지진 관측소들을 확충하고 있고 기존의 아날로그 지진 관측소를 포함한 노후 관측소들을 개선함으로써 국내 계기 지진 자료 확보를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지진관측은 1905년 인천에 일본인들이 지진 관측소를 세워 시작하게 되었고, 그 이후 1977년 서울과 광주에 우리 손으로 관측소를 설치하였다. 본격적인 우리나라의 지진 관측은 주거 생활 지역에서의 실질 피해 기록이 있었던 1978년 10월 홍성 지진(규모 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강태섭(2007) 한반도 지진활동의 과거와 현재, "지진: 피할 수 없는 지구의 몸부림", 제4회 전재규 추모 학술대회 발표집, 서울대학교, pp. 117-142 

  2. 김재관, 류혁(2001) 쌍계사 오층석탑 실물 크기 모델의 동적 거동 시험,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한국지진공학회, 제5권 제4호, pp. 51-66 

  3. 서울대학교(1999) 부지고유의 내진설계 응답스펙트럼 연구(지반운동세기의 정량적 연구), 과학기술부 

  4. 선창국, 김보현, 정충기(2006) 홍성 지역 화강 풍화 지층의 풍화도 및 전단파 속도에 관한 고찰,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6C호, pp. 431-443 

  5. 선창국, 양대성, 정충기(2005a) 서울 평야 지역에 대한 부지 고유의 지진 증폭 특성 평가,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한국지진공학회, 제9권 4호, pp. 29-42 

  6. 선창국, 정충기, 김동수(2005b) 국내 내륙의 설계 지반 운동 결정을 위한 지반 증폭 계수 및 지반 분류 체계 제안,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제21권 제6호, pp. 101-115 

  7. 선창국, 정충기, 김동수(2007a) 얕은 심도 전단파속도 분포를 이용한 30m 심도 평균 전단파속도의 결정,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한국지진공학회, 제11권 제1호, pp. 45-57 

  8. 선창국, 정충기, 김동수, 김재관(2007b) 역사 지진 피해 발생 읍성 지역에 대한 부지 고유 지진 응답 특성 평가, 지질공학, 제17권 제1호, pp. 1-13 

  9. 선창국, 한진태, 최정인, 김기석, 김명모(2007c) 지반 응답 해석 Round Robin Test의 입력 지진파 및 물성에 관한 고찰, 2007 한국지반공학회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pp. 266-292 

  10. 한겨레신문(2007) 석가탑, 고려때 지진으로 두 번이나 무너져, 문화일반, 뉴스, 한겨레 신문, 8월 7일, http://www.hani.co.kr 

  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2006) 지진 통합관측망 운영 및 신속경보 시스템 개발 연구 (부산-경남 지역), 과학기술부 

  12. 田公地(1940) 智異山南麓雙磎寺强震報告, 조선총독부 기상대 

  13. Bardet, J.P. and Tobita, T. (2001) NERA: A Computer Program for Nonlinear Earthquake Site Response Analyses of Layered Soil Deposits,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14. Idriss, I.M. and Sun, J.I. (1992) User's Manual for SHAKE91: A Computer Program for Conducting Equivalent Linear Seismic Response Analyses of Horizontally Layered Soil Deposits,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15. Kim, J.K. and Ryu, H. (2003) Seismic test of full-scale model of a five-storey stone pagoda, Earthquake Engineering and Structural Dynamics, Vol. 32, pp. 731-750 

  16. Sun, C.G., Kim, D.S., and Chung, C.K. (2005) Geologic site conditions and site coefficients for estimating earthquake ground motions in the inland areas of Korea, Engineering Geology, Vol. 81, pp. 446-46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