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콘관입시험결과를 이용한 흙분류차트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CPT Based Soil Classification Chart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 지반공학, 터널공학, v.28 no.5C, 2008년, pp.293 - 301  

김찬홍 ((주)동아지질) ,  임종철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김영상 (전남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반을 대상으로 하는 일련의 활동에서 지층의 구성에 관한 정보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시추를 통해 지층 구성을 알 수 있으나, 배출되는 작업수와 슬라임, 굴진속도, SPT 시료 등을 참고하여 작성되는 다소 경험적인 면이 있다. 더욱이 최근 시추장비의 고성능화로 인해 얇은 토사층의 경우 구분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피에조콘관입시험은 주로 점토층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나 최근 모래층 및 실트층으로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연속적인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어 흙분류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고 다양한 도표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검증 없이 적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이에 대한 검증을 바탕으로 국내지반과 현실에 맞는 새로운 흙분류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17개 지역에서 수행된 피에조콘 관입시험 결과와 채취된 시료들에 대한 흙분류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였고, 피에조콘 결과를 이용하도록 제안된 국 내외 흙분류차트 7종류들의 국내지반에 대한 적용성을 토질 종류별로 검토하였다. 또한 종합적으로 국내지반의 흙분류에 가장 적합한 흙분류차트와 사용 변수들을 도출하였고 선정된 도표의 영역별 설명과 국내 기술자들에게 익숙한 통일분류결과와의 상관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il profil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work among geotehnical engineering practice. Generally, soil profile is estimated from the observation of soil samples during subsurface exploration but such estimation also includes some experiencing aspects such as flushed water from the borehole, slim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Robertson 등(1986)의 차트와 이선재(1997) 차트를 비교하고 Robertson 등(1986)의 흙분류 영역과 통일분 류법 간의 관계를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판정 성공률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는 qt-Bq차트에 대한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 그러나 Robertson 등(1986)의 도표는 이선재(1997) 도표에서 제공하는 통일분류에 의한 흙분류를 제공하지 않아 국내 기술자들에세 유용한 정보제공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Robertson 등(1986)의 차트와 이선재(1997) 차트를 비교하고 Robertson 등(1986)의 흙분류 영역과 통일분 류법 간의 관계를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판정 성공률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는 qt-Bq차트에 대한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 그러나 국외에서 제안된 방법들에 대한 국내지반의 적용성은 세밀히 평가된 적이 없어 각 도표들에서 제공하는 흙분류 결과에 대한 국내 기술자들의 국내지반에 대한 인식과 상이한 점이 나타나는 등 사용상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는 피에조콘시험결과를 이용한 흙분류차트로 국내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Robertson등(1986)이 개발한 차트 역시 그러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17개 현장에서 수행된 피에조콘관입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에서 제안된 7종류의 피에조콘 흙분류차트에 대한 국내 지반의 적용성을 평가하고, 통일분류법과의 연계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5개국의 20개 현장에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식 (5)로 정의되는 유효콘저항(qE)을 사용하였다. 굳은 점토 또는 고결점토는 포함되지 않았으며 모래층의 경우 관입간극수압을 정수압으로 가정하여 흙분류 차트를 작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극수압의 측정이 가능한 피에조콘이 개발된 배경은 무엇인가? 콘관입시험 결과를 이용한 흙분류는 Begemann(1965)을시작으로 주로 다양한 형태의 차트 형식으로 개발되었으며, 이후 장비의 지속적인 개량으로 전기식콘이 개발되었고 간극수압의 측정이 가능한 피에조콘이 개발되었다. 전기식콘으로 개발된 차트는 Douglas와 Olsen(1981)을 시작으로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Douglas와 Olsen(1981)이 제안한 전기식콘으로 개발된 차트는 무엇을 근거하여 지층 구분을 시도하였는가? 미서부지역에서 수행된 콘관입시험 결과를 통일분류법에 근거하여 지층 구분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MH”로 분류되는 토질은 고려되지 않았으며 각 토질영역이 겹쳐지는 특징이 있다.
피에조콘관입시험의 장점은 무엇인가? 반면, 피에조콘관입시험은 일정간격으로 데이터를 취득하여 연속성이 확보된다는 장점이 있어서 활용가치가 높다고할 수 있으며, 이를 흙분류에 적용하려는 연구가 국내·외에서 많이 수행되었다. 국외에서는 Begemann(1965)의 연구를 시작으로 Douglas와 Olsen(1981), Robertson등(1986, 1990), Jefferies와 Davis(1991), Eslami와 Fellenius(1997), Zhang과 Tumay(1999) 등이 다양한 차트 또는 방법들을 개발하였으며 국내에서는 이선재(1997)의 연구가 거의 유일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이선재(1997) 피에조콘을 이용한 국내 지반의 공학적 특성 연구. 공학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 Begemann, H.K.S. Ph. (1965) The friction jacket cone as an aid in determining the soil profile. Proceedings of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Montreal, Vol. 1, pp. 17-20 

  3. Douglas, B.j. and Olsen, R.S. (1981) Soil classification using electric cone penetrometer. Cone Penetration testing and Experience. Proceedings of the ASCE National Convention, St. Louis, pp. 209-217, American Society Engineers 

  4. Eslami, A. and Fellenius, B.H. (1997). Pile capacity by direct CPT and CPTU methods applied to 102 case histories.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 34, pp. 886-904 

  5. Jefferies, M.G. and Davies, M.P. (1991) Soil classification by the cone penetration test: Discussion.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 28, No. 1, pp. 173-176 

  6. Robertson, P.K. (1990) Soil classification using the cone penetration test.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 27, No. 1, pp. 151-158 

  7. Robertson, P.K. Campanella, R.G., Gillespie, D. and Greig, J. (1986) Use of pizometer cone data. Proceedings of the ASCE Specialty Conference In Situ '86: Use of In Situ Tests in Geotechnical Engineering, Blacksburg, pp. 1263-1280, American Society of Engineers 

  8. Tumay, M.T. and Farsakh (2008) From Theory to Implementation of a CPT-Based Probabilistic and Fuzzy Soil Classification. KGS spring national conference, 초청강연 II-1-초청강연II-18 

  9. Zhang, Z. and Tumay, M.T. (1999) Statistical to fuzzy approach toward CPT soil Classification. ASCE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25, No. 3, pp. 179-1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