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천식과 같은 기도 질환에서는 항원과 반응하여 주 요 조직적합 복합체(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II, MHC-II)를 생성함으로써 항원 제시 세포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6,7. 본 종설에서는 호산구의 세포학적 특징과 생성, 조절 및 분비 물질에 관한 생물학적 특징에 대해 기술하였으며, 최근의 연구 동향 및 결과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산구는 말초 백혈구의 몇 %를 차지하는가? 호산구는 말초 백혈구의 약 2%를 차지하며 정상인에서는 5% 미만으로 관찰된다. 호산구는 정상적으로 말초 혈액에서 소량 관찰되지만, 이들은 일시적으로만 말초 혈액 내에 존재하며, 정상인에서는 주로 위장관계와 림프계 등의 조직 내에 존재한다.
호산구는 천식과 같은 기도 질환에서 항원과 반응하여 무엇을 생성하는가? 호산구는 시토카인(cytokine), 면역 글로불린, 보체와 반응하는 수용체를 가지고 있으며, 상호작용을 통해 IL-2, IL-4, IL-5, IL-10, IL-12, IL-13, IL-16, IL-18, TGF-α, β를 분비하는 염증 전구 세포로서의 기능을 하며, RANTES, eotaxine-1 등의 케모카인(chemokine)을 분비하고 혈소판 활성 인자(platelet-activating factor), 류코트리엔 C4 등의 지질 매개물질을 분비하며, 때로 조직의 기능 부전과 손상을 유발한다4,5. 천식과 같은 기도 질환에서는 항원과 반응하여 주 요 조직적합 복합체(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II, MHC-II)를 생성함으로써 항원 제시 세포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6,7. 본 종설에서는 호산구의 세포학적 특징과 생성, 조절 및 분비 물질에 관한 생물학적 특징에 대해 기술하였으며, 최근의 연구 동향 및 결과에 대해 기술하였다.
호산구는 어떤 수용체를 가지는가? 다양한 자극에 반응하여 호산구는 혈관으로부터 염증 부위로 이동하게 되며, 시토카인과 염증 반응에 직접적인 조절 기능을 갖는 여러 기능을 담당하고, 기도 질환을 포함한 염증 반응에서 항원 제시 세포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호산구는 시토카인(cytokine), 면역 글로불린, 보체와 반응하는 수용체를 가지고 있으며, 상호작용을 통해 IL-2, IL-4, IL-5, IL-10, IL-12, IL-13, IL-16, IL-18, TGF-α, β를 분비하는 염증 전구 세포로서의 기능을 하며, RANTES, eotaxine-1 등의 케모카인(chemokine)을 분비하고 혈소판 활성 인자(platelet-activating factor), 류코트리엔 C4 등의 지질 매개물질을 분비하며, 때로 조직의 기능 부전과 손상을 유발한다4,5. 천식과 같은 기도 질환에서는 항원과 반응하여 주 요 조직적합 복합체(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II, MHC-II)를 생성함으로써 항원 제시 세포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Gleich GJ, Loegering DA. Immunobiology of eosinophils. Annu Rev Immunol 1984;2:429-59 

  2. Rothenberg ME. Eosinophilia. N Engl J Med 1998;338:1592-600 

  3. Weller PF. Eosinophils: structure and functions. Curr Opin Immunol 1994;6:85-90 

  4. Gleich GJ, Adolphson CR. The eosinophilic leukocyte: structure and function. Adv Immunol 1986;39:177-253 

  5. Kita H. The eosinophil: a cytokine-producing cell? J Allergy Clin Immunol 1996;97:889-92 

  6. Shi HZ. Eosinophils function as antigen-presenting cells. J Leukoc Biol 2004;76:520-7 

  7. Shi HZ, Humbles A, Gerard C, Jin Z, Weller PF. Lymph node trafficking and antigen presentation by endobronchial eosinophils. J Clin Invest 2000;105:945-53 

  8. Steinbach KH, Schick P, Trepel F, Raffler H, Dohrmann J, Heilgeist G, et al. Estimation of kinetic parameters of neutrophilic, eosinophilic, and basophilic granulocytes in human blood. Blut 1979;39:27-38 

  9. Newman TM, Tian M, Gomperts BD. Ultra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tannic acid-arrested degranulation of permeabilized guinea pig eosinophils stimulated with GTP-gamma-S. Eur J Cell Biol 1996;70:209-20 

  10. Kobayashi H. Effect of c-kit ligand (stem cell factor) in combination with interleukin-5,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and interleukin-3, on eosinophil lineage. Int J Hematol 1993;58:21-6 

  11. Clutterbuck EJ, Hirst EM, Sanderson CJ. Human interleukin- 5 (IL-5) regulates the production of eosinophils in human bone marrow cultures: comparison and interaction with IL-1, IL-3, IL-6, and GMCSF. Blood 1989;73:1504-12 

  12. Palframan RT, Collins PD, Severs NJ, Rothery S, Williams TJ, Rankin SM. Mechanisms of acute eosinophil mobilization from the bone marrow stimulated by interleukin 5: the role of specific adhesion molecules and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J Exp Med 1998;188:1621-32 

  13. Kopf M, Brombacher F, Hodgkin PD, Ramsay AJ, Milbourne EA, Dai WJ, et al. IL-5-deficient mice have a developmental defect in CD5+ B-1 cells and lack eosinophilia but have normal antibody and cytotoxic T cell responses. Immunity 1996;4:15-24 

  14. McNagny K, Graf T. Making eosinophils through subtle shifts in transcription factor expression. J Exp Med 2002;195:F43-7 

  15. Nerlov C, Graf T. PU.1 induces myeloid lineage commitment in multipotent hematopoietic progenitors. Genes Dev 1998;12:2403-12 

  16. Nerlov C, McNagny KM, Doderlein G, Kowenz-Leutz E, Graf T. Distinct C/EBP functions are required for eosinophil lineage commitment and maturation. Genes Dev 1998;12:2413-23 

  17. Yu C, Cantor AB, Yang H, Browne C, Wells RA, Fujiwara Y, et al. Targeted deletion of a high-affinity GATA-binding site in the GATA-1 promoter leads to selective loss of the eosinophil lineage in vivo. J Exp Med 2002;195:1387-95 

  18. Hirasawa R, Shimizu R, Takahashi S, Osawa M, Takayanagi S, Kato Y, et al. Essential and instructive roles of GATA factors in eosinophil development. J Exp Med 2002;195:1379-86 

  19. Du J, Stankiewicz MJ, Liu Y, Xi Q, Schmitz JE, Lekstrom-Himes JA, et al. Novel combinatorial interactions of GATA-1, PU.1, and C/EBPepsilon isoforms regulate transcription of the gene encoding eosinophil granule major basic protein. J Biol Chem 2002;277:43481-94 

  20. Kita H, Abu-Ghazaleh RI, Sur S, Gleich GJ. Eosinophil major basic protein induces degranulation and IL-8 production by human eosinophils. J Immunol 1995;154:4749-58 

  21. Young JD, Peterson CG, Venge P, Cohn ZA. Mechanism of membrane damage mediated by human eosinophil cationic protein. Nature 1986;321:613-6 

  22. Wasmoen TL, Bell MP, Loegering DA, Gleich GJ, Prendergast FG, McKean DJ. Biochemical and amino acid sequence analysis of human eosinophil granule major basic protein. J Biol Chem 1988;263:12559-63 

  23. Nittoh T, Hirakata M, Mue S, Ohuchi K. Identification of cDNA encoding rat eosinophil cationic protein/eosinophil-associated ribonuclease. Biochim Biophys Acta 1997;1351:42-6 

  24. Tai PC, Spry CJ, Peterson C, Venge P, Olsson I. Monoclonal antibodies distinguish between storage and secreted forms of eosinophil cationic protein. Nature 1984;309:182-4 

  25. Fredens K, Dahl R, Venge P. The Gordon phenomenon induced by the eosinophil cationic protein and eosinophil protein X. J Allergy Clin Immunol 1982;70:361-6 

  26. Rosenberg HF, Tenen DG, Ackerman SJ. Molecular cloning of the human eosinophil-derived neurotoxin: a member of the ribonuclease gene family. Proc Natl Acad Sci U S A 1989;86:4460-4 

  27. Ten RM, Butterfield JH, Kita H, Weiler DA, Fischkoff S, Ishizaka T, et al. Eosinophil differentiation of human umbilical cord mononuclear cells and prolonged survival of mature eosinophils by murine EL-4 thymoma cell conditioned medium. Cytokine 1991;3:350-9 

  28. Rizo J, Sudhof TC. Snares and Munc18 in synaptic vesicle fusion. Nat Rev Neurosci 2002;3:641-53 

  29. Bochner BS, Schleimer RP. The role of adhesion molecules in human eosinophil and basophil recruitment. J Allergy Clin Immunol 1994;94:427-38 

  30. Zimmermann N, Hershey GK, Foster PS, Rothenberg ME. Chemokines in asthma: cooperative interaction between chemokines and IL-13. J Allergy Clin Immunol 2003;111:227-42 

  31. Zhu Z, Zheng T, Homer RJ, Kim YK, Chen NY, Cohn L, et al. Acidic mammalian chitinase in asthmatic Th2 inflammation and IL-13 pathway activation. Science 2004;304:1678-82 

  32. Mawhorter SD, Kazura JW, Boom WH. Human eosinophils as antigen-presenting cells: relative efficiency for superantigen- and antigen-induced CD4+ T-cell proliferation. Immunology 1994;81:584-91 

  33. Handzel ZT, Busse WW, Sedgwick JB, Vrtis R, Lee WM, Kelly EA, et al. Eosinophils bind rhinovirus and activate virus-specific T cells. J Immunol 1998;160:1279-84 

  34. MacKenzie JR, Mattes J, Dent LA, Foster PS. Eosinophils promote allergic disease of the lung by regulating CD4(+) Th2 lymphocyte function. J Immunol 2001;167:3146-55 

  35. Lacy P, Moqbel R. Eosinophil cytokines. Chem Immunol 2000;76:134-55 

  36. Piliponsky AM, Gleich GJ, Bar I, Levi-Schaffer F. Effects of eosinophils on mast cells: a new pathway for the perpetuation of allergic inflammation. Mol Immunol 2002;38:1369 

  37. Solomon A, Aloe L, Pe'er J, Frucht-Pery J, Bonini S, Bonini S, et al. Nerve growth factor is preformed in and activates human peripheral blood eosinophils. J Allergy Clin Immunol 1998;102:454-60 

  38. Bullock ED, Johnson EM Jr. Nerve growth factor induces the expression of certain cytokine genes and bcl-2 in mast cells. Potential role in survival promotion. J Biol Chem 1996;271:27500-8 

  39. Horigome K, Bullock ED, Johnson EM Jr. Effects of nerve growth factor on rat peritoneal mast cells. Survival promotion and immediate-early gene induction. J Biol Chem 1994;269:2695-702 

  40. Williams TJ. The eosinophil enigma. J Clin Invest 2004;113:507-9 

  41. Kwak YG, Song CH, Yi HK, Hwang PH, Kim JS, Lee KS, et al. Involvement of PTEN in airway hyperresponsiveness and inflammation in bronchial asthma. J Clin Invest 2003;111:1083-92 

  42. Kim SR, Lee KS, Park SJ, Min KH, Lee KY, Choe YH, et al. PTEN down-regulates IL-17 expression in a murine model of toluene diisocyanate-induced airway disease. J Immunol 2007;179:682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