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을 위한 이용자서비스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ing a Public Services Framework for the Regional Archives in Korea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25 no.3 = no.69, 2008년, pp.321 - 338  

장혜란 (상명대학교 사회과학부 문헌정보학과) ,  이명희 (원주시립도서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이용자 서비스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외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외국 지방기록관 웹 사이트를 통하여 이용자 서비스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개방과 공유 그리고 참여의 개념을 가진 웹 2.0 기술과 기록관 응용사례를 탐구하였다.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기본서비스, 확장서비스 I, 확장서비스 II, 상호작용서비스 등 4단계로 구성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이용자 서비스 모형을 제안하였다. 단계별 모형은 고정된 것이 아니며 각 지방기록물관리기관에 따라 필요한 서비스를 선별하여 적용할 수 있다.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이용자 서비스 활성화를 위하여 지역사회 조사와 연구, 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평가, 구체적인 서비스 지침의 제정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velop a public services framework for the promotion of the public records use of the regional archives in Korea, we analyzed the previous related studies and observed the public services of the renowned overseas regional archives through the we sites. Then, the web 2.0 technology and its applic...

주제어

참고문헌 (56)

  1. 강대신. 박지영. 2004. 중국.일본의 기록관리 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4(2): 92-117 

  2. 곽건홍. 2006. "한국 국가기록관리의 이론과 실제". 서울: 역사비평사 

  3. 김종철. 2005. 일본의 지방공문서관과 지방기록관리. "기록학연구". 11: 214-253 

  4. 박미성. 2008. Web 2.0 기술적용 사이트분석을 통한 도서관 정보시스템의 활용방안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1): 139-168 

  5. 박찬승. 2000. 외국의 지방기록관과 한국의 지방 기록자료관설립방향. "기록학연구". 1: 107-135 

  6. 박춘배. 2005. "경기도가록원 설립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영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과 

  7. 서은경 등. 2006. 이용자 중심의 기록정보 활용 및 서비스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려학회지". 6(1): 65-92 

  8. 안병우. 2004. 지방기록관 설립과 경기기록문화 포럼의 활동. "영남학". 6: 159-190 

  9. 안자영. 2008. "지방기록물관리기관 공동 설치 모형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10. 우수영. 2006. "기록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전자적 질의/응답 서비스 개선빙안: 국가 기록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과 

  11. 윤혜경. 2004.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조직구조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12. 이영숙. 2007. 공공기록물 정보서비스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7(2): 73-94 

  13. 이원규. 2002. "한국 기록물관리제도의 이해". 서울: 진리탐구 

  14. 이해영 등. 2007. 기록정보서비스의 평가 및 개선 방향. 기록판 평가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7(2): 25-42 

  15. 이혜원. 2007. "기록관 전시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16. 이희숙. 2004. "인터넷을 통한 기록관의 서비스 활동에 관한 연구: 교육.전시 활동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과 

  17. 일본 가나가와현립공문서관(神奈川縣立公文 書館). [cited 2008.4.7] 

  18. 전현수. 2000. 지방기록보존소 설치운동과 대학의 역할. "영남학". 6: 219-244 

  19. 정은진. 2007. 영구기록물관리기관 공공프로그램의 역할과 운영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16: 257-302 

  20. 중국 상하이시당안관(上海市構案館). [cited 2008.4.17]. 

  21. 지수걸. 2001.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기능과 역할. "기록학연구". 3: 3-32 

  22. 총무처 정부기록보존소. 1998. "외국의 기록보존 제도". 서울: 총무처 정부기록보존소 

  23. 최규명. 2007. "온라인 전시서비스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경남교육청 기록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24. 한국.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8. "참여정부의 기록관리혁신". 서울: 정부혁신지 방분권위원회 

  25. 한국.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8. "참여정부의 전자정부". 서울: 정부혁신지방분 권위원회 

  26. 한국. 행정안전부. 2008.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 2008.2.29. 법률 제 8852호] 

  27. 한국. 행정안전부. 2008.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 2008.5.21. 대통령령 제20789호] 

  28. 한국. 행정안전부. 2008.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 2008.2.29. 법률 제8871호] 

  29. 한국. 행정자치부. 2005. "주요 외국의 기록관리현황". 서울: 국가기록원 

  30. 한국. 행정자치부. 2007. "보존기록 공공서비스 표준". 서울: 국가기록원 

  31. 한국. 행정자치부. 2007. "2006년 정보공개연차보고서". 서울: 행정자치부 

  32. 한국기록관리학회. 2008. "기록관리론". 서울: 아세이문화사 

  33. 한국기록관리학회. 2008. "기록학 용어 사전". 서울: 역사비평사 

  34. 한국인터넷진흥원. 2008. "2007년 하반기 정보화실태조사요약보고서". 서울: 한국인터넷진흥원 

  35. 황나리. 2006. "중앙행정기관 기록물의 이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과 

  36. The Archives Hub. [cited 2008.4.8] 

  37. The California State Archives. [cited 2008.4.15]. 

  38. Cook. Michael. 2002. "기록보존소의 기록관리". 오항녕 역. 서울: 진리 탐구 

  39. Cox. Richard J. 1992. Managing Institutional Archives: Foundational Principle and Practices. New Yark: Greenwood Press 

  40. The Archives of Ontario. [cited 2008.4.9] 

  41. Everglades Digital Library. [cited 2008.4.7] 

  42. Hampshire Record Office. [cited 2008.4.10] ? 

  43. Pederson, Ann E. and Farr, Gail E. 1982. Archives and Manuscripts: Public Programs, Chicago: SAA 

  44. The Polar Bear Expedition Digital Collections. [cited 2008.4.7] 

  45. Picture Australia Potal. [cited 2008.4.18] 

  46. Pugh, Mary Jo. 1992. 기록정보서비스. 설문원역. 서울: 진리탐구. 2004 

  47. Pugh, Mary Jo. 2005. Providing Reference Services for Archives and Manuscripts, Chicago: SAA 

  48. Roe. Karthleen D. 1988. Public Programs Managing Archives and Archival Institutions.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9. Ruller, Thomas J. 1997. "Open all Night: Using the Internet to Improve Access to Archives: a Case Study of the New York State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The Reference Librarian 56: 161-170 

  50. Ruth, Janice E. 1988. "Educating the Reference Archivist." American Archivist 51: 266-310 

  51. Salzmann, Katharien A. 2004. "Contact Us: Archivists and Remote Users in the Digital Age." The Reference Librarian 85: 43-50 

  52. Schellenderg, Theodore R. 2002. "현대 기록학개론". 이원영 역. 서울: 진리탐구 

  53. The State Records of New South Wales. [cited 2008.4.12] 

  54. Temple University's Urban Archives. [cited 2008.4.7] 

  55. Yakel. Elizabeth. 2003. "아카이브 만들기". 강명숙 역. 서울: 진리탐구 

  56. Yakel. Elizabeth. 2006. "Inviting the User into the Virtual Archives." Archives and Manuscripts 33(3): 159-1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