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의 유전영동에 의한 가상 기둥 어레이를 이용한 연속적 입자 크기 분류기
A Continuous Particle-size Sorter Using Negative a Dielectrophoretic Virtual Pillar Array 원문보기

大韓機械學會論文集.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B, v.32 no.11 = no.278, 2008년, pp.824 - 831  

장성환 (한국과학기술원 바이오및뇌공학과, 디지털나노구동연구단) ,  조영호 (한국과학기술원 바이오및뇌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present a continuous size-dependent particle separator using a negative dielectrophoretic (DEP) virtual pillar array. Two major problems in the previous size-dependent particle separators include the particle clogging in the mechanical sieving structures and the fixed range of separable particl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생화학, 의료분야에서 세포나 기능성 입자들과 같은 미소 생화학 입자의 분리가 요구되고 있다. 미소입자의 분리에는 입자의 밀도,(1) 크기,(2-4) 표면 특성,(5) 자성,(6) 유전영동 특성(7-9) 등 다양한 물질의 특성을 이용하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가장 단순하면서도 일반적인입자 분리에 적용할 수 있는 크기에 따른 입자 분리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 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본 논문은 기계적 미소기둥 어레이를 대체할 방법으로 반발력을 가지는 음의 유전영동력을 가상 기둥을 형성하는 데 사용한다.
  • 이 일어나 소자가 오동작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분리 입자들의 크기 범위를 능동적으로 조절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음의 유전영동력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 기둥어레이를 이용하는 입자 분류기를 제안하여, 입자의 막힘 현상을 해결하고, 분리 입자의 크기 범위를 조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소 생화학 입자의 분리에 이용하는 특성은 어떤 것이 있는가? 최근 생화학, 의료분야에서 세포나 기능성 입자들과 같은 미소 생화학 입자의 분리가 요구되고 있다. 미소입자의 분리에는 입자의 밀도,(1) 크기,(2-4) 표면 특성,(5) 자성,(6) 유전영동 특성(7-9) 등 다양한 물질의 특성을 이용하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가장 단순하면서도 일반적인입자 분리에 적용할 수 있는 크기에 따른 입자 분리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기존의 크기에 따른 입자 분리 방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크기에 따른 입자 분리 방법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미소기둥 어레이(2,3)나 미소 분기유로(4) 등의 미소구조물을 이용하고 있어, 분리과정 중에 입자들이 미소구조물에 막히는 현상(clogging)(10,11)이 일어나 소자가 오동작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분리 입자들의 크기 범위를 능동적으로 조절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음의 유전영동력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 기둥어레이를 이용하는 입자 분류기를 제안하여, 입자의 막힘 현상을 해결하고, 분리 입자의 크기 범위를 조절하고자 한다.
기존의 크기에 따른 입자 분리 방법의 한계는? 크기에 따른 입자 분리 방법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미소기둥 어레이(2,3)나 미소 분기유로(4) 등의 미소구조물을 이용하고 있어, 분리과정 중에 입자들이 미소구조물에 막히는 현상(clogging)(10,11)이 일어나 소자가 오동작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분리 입자들의 크기 범위를 능동적으로 조절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음의 유전영동력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 기둥어레이를 이용하는 입자 분류기를 제안하여, 입자의 막힘 현상을 해결하고, 분리 입자의 크기 범위를 조절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lattert, C., Jurischka, R., Schoth, A., Kerth, O., and Menz, W., 2003, "Separation of Blood in Microchannel Bends," Proceeding of the 25th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IEEE EMBS, pp. 3388~3391 

  2. Huang, L. R., Cox, E. C., Austin, R. H., and Sturm, J. C., 2004, "Continuous Particle Separation Through Deterministic Lateral Displacement," Science, Vol. 304, pp. 987~990 

  3. Zheng, S., Yung, R., Tai, Y. -C., and Kasdan, H., 2005, "Deterministic Lateral Displacement MEMS Device for Continuous Blood Cell Separation," Proceeding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pp. 851~854 

  4. Takagi, J., Yamada, M., Yasuda, M., and Seki, M., 2005, “Continuous Particle Separation in a Microchannel Having Asymmetrically Arranged Multiple Branches,” Lab on a chip, Vol. 5, pp. 778~784 

  5. Chang, W. C., Lee, L. P., and Liepmann, D., 2005, “Biomimetic Technique for Adhesion-Based Collection and Separation of Cells in a Microfluidic Channel,” Lab on a chip, Vol. 5, pp. 64~73 

  6. Han, K. -H., and Frazier, A. B., 2004, "Continuous Magnetophoretic Separation of Blood Cells in Microdevice Format," Journal of Applied Physics, Vol. 96, No. 10, pp. 5797~5802 

  7. Hughes, M. P., 2002, "Strategies for Dielectrophoretic Separation in Laboratory-on-a-chip systems," Electrophoresis, Vol. 23, No. 16, pp. 2569~2582 

  8. Doh, I. and Cho, Y.-H., 2005, "A Continuous Cell Separation Chip Using Hydrodynamic Dielectrophoresis (DEP) Process," Sensors and Actuators, A, Vol.121, pp. 59~65 

  9. Choi, S. and Park, J.-K, 2005, "Microfluidic System for Dielectrophoretic Separation Based on a Trapezoidal Electrode Array,” Lab on a Chip, Vol.5, pp. 1161~1167 

  10. Mukhopadhyay, R., 2005, "When Microfluidic Devices Go Bad. How does Fouling Occur in Microfluidic Devices, and What can be Done About It?," Analytical Chemistry, Vol. 77, No. 21, pp. 429A~432A 

  11. De Mello, A. J., 2006, “Research Highlights,” Lab on a chip, Vol. 6, pp. 16~18 

  12. Roy, D. N., 1998, Applied Fluid Mechanics, Ellis Horwood Limited, chapter 10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