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래 국가 성장 동력원: 심해저 광물자원개발
Future Natural Resource for Sustainable National Economic Growth: Development of Deep-sea mineral resources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3 no.3, 2008년, pp.165 - 167  

박정기 (한국해양연구원 심해해저자원연구부)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심해저광물자원개발 특별호는 일천한 심해저개발의 역사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가 국제해저기구 이사국임과 동시에 세계 7대 광구확보국으로서 공해상에 경제적 해양영토의 개척뿐만 아니라 해양영토에 부존하는 자원의 실용화 기술개발에 대한 성과, 해양신산업 창출과 해양과학기술을 통한 해양부국 실현의 노력을 기록으로 남겨 심해저 광물자원개발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엇이 경제성에 많은 의문을 갖던 심해저 자원개발이 새롭게 주목받는 요인이 되었는가? 최근에 와서 국제사회의 여러 상황은 심해저자원개발이 새롭게 조명받을 수 밖에 없는 상황으로 급변하고 있다. 자원민족주의가 우려될만한 자원확보 경쟁과 중국, 인도로 대표되는 신흥 산업국의 등장 및 금속광물가격의 급등현상은 그 동안 경제성에 많은 의문을 갖던 심해저 자원개발이 새롭게 주목받는 요인이 되었다(박 등, 2005). 또한, 국제해저기구에서 2000년 망간단괴 자원에 대한 심해저광업규칙 (ISBA/6/A/18)과 환경영향평가지침 (ISBA/6/LTC/CRP.
해양을 바라보는 국제사회는 두 가지 패러다임은 무엇인가? 1982년 유엔해양법 협약이후, 해양을 바라보는 국제사회는 두 가지 패러다임이 설정되었다. 하나는 화석연료 개발이후에 해양이 갖고 있는 차세대자원에 대한 무한경쟁의 시대가 도래하였다는 선언이며, 또 하나는 고갈되어 가는 육상자원의 대체수단으로서 인류공영의 유산 (Heritage of Mankind)인 공해상의 자원을 실용화하기 위한 새로운 해양질서와 규칙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그 이후, 1994년 유엔해양법이 발효되면서 심해저개발은 기술과 자본이 집약된 새로운 개념의 해양개발영역으로 인식되어 왔다.
심해저광물자원개발은 어느 나라를 중심으로 미래자원확보 차원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는가? 심해저광물자원개발은 70~80년대에 미국, 프랑스, 일본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미래자원확보 차원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일본의 경우 70년대부터 정부주도하에 망간단괴 자원에 대한 탐사를 통해 84년 유엔에 광구를 등록하였으며, 19개 민간기업 콘소시엄을 구성하여 독자적인 기술개발을 추진함과 동시에 8대 대형 국책과제로 선정(1981~1997)되어 1997년 2,200 m 실해역에서 채광시스템 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박 등,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박세헌, 박성욱, 강길모. 2005. 심해저 망간단괴 개발사업의 국제 기술 동향 분석 및 향후 개발 전망. Ocean and Polar Research, 27: 477-490 

  2. 해양수산부, 2003. 태평양 심해저광물자원개발 보고서 I 

  3. Charles, C., G. Herrouin, F. Mauviel and J. Bernard, 1990. Views on future nodule technologies based on IFREMER-GEMONOD studies. Mater. Soc., 14: 299?326 

  4. Das, Sh.S.K., 2001. Indian polymetallic nodule programme. pp. 14-19: Proc. 4th ISOPE Ocean Mining Symp., Szezecin, Poland 

  5. Muthunayagam, A.E. and S.K. Das, 1999. Indian polymetallic nodule program. pp. 1-5: Proc. 3rd ISOPE Ocean Mining Symp., Goa, India 

  6. Yand, N. and H. Tang, 2003. Several considerations of the design of the hydraulic pick-up device. pp. 119-122: Proc. 5th ISOPE Ocean Mining Symp., Tsukuba, Japan 

  7. Yang, N. and M. Wang, 1997. New era for China manganese nodules mining: Summary of last five years' research activities and prospective. pp. 8-11: Proc. 2nd ISOPE Ocean Mining Symp.,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