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동 적도태평양해역 퇴적물의 탄소 및 질소함량 분포특성
Distribution Patterns of Carbon and Nitrogen Contents in the Sediments of the Northeast Equatorial Pacific Ocean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3 no.3, 2008년, pp.210 - 221  

김경홍 (한국해양연구원 심해해저자원연구부) ,  현정호 (한양대학교 해양환경과학과) ,  손주원 (한국해양연구원 심해해저자원연구부) ,  손승규 (한국해양연구원 심해해저자원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저층 퇴적물내 탄소와 질소성분의 조절인자를 파악하기 위한 광역적 환경조사가 1997년부터 2002년까지 서경 131.5도를 중심으로 북위 5도에서 17도 사이에서 수행되었다. 위도에 따라 지역적인 분포를 보이는 연구지역의 퇴적물은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석회질 연니($5{\sim}6^{\circ}N$), 규질 퇴적물($8{\sim}12^{\circ}N$), 원양성 적점토($16{\sim}17^{\circ}N$), 석회질과 규질이 섞여 있는 혼합 퇴적물($7^{\circ}N$). 무기탄소함량은 탄산염보상심도(CCD)와 수심에 의해 변하고 있었다. 수심이 CCD보다 얕은 저위도 지역에서는 석회질 물질이 잘 보존되고 있었다. 반면 규질 퇴적물과 적점토가 우세한 고위도 지역은 수심이 CCD보다 깊을 뿐만이 아니라 낮은 수층 생산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석회질 물질들은 용해되고 그 결과 퇴적층내 무기탄소함량은 0.05%이하의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유기탄소와 총질소함량은 수층의 생산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규질 퇴적물지역이 적점토지역보다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석회질 연니내 유기탄소와 총질소 함량은 규질 퇴적물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심에 기인된 저층으로 유입되는 석회질 물질의 높은 유입율이 퇴적층내 유기물 함량을 희석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적인 결과들은 CCD와 연관된 수심, 수층의 생산력, 그리고 퇴적율이 연구지역내 탄소와 질소함량의 광역적 분포를 조절하고 있음을 지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esoscale environmental surveys were conducted between $5^{\circ}N\;and\;17^{\circ}N$ mainly along the $131.5^{\circ}W$ meridian from 1997 to 2002 to investigate controlling factors of carbon and nitrogen contents in bottom sediments. Sediments of the study area showed zo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997년부터 2002년까지 연구지역에서 환경인자들의 자연변화량 파악과 미치는 범위를 파악을 위한 광역적인 조사가 수행되었고 퇴적물내 유기탄소, 무기탄소, 총질소함량의 분포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분포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위도별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1) 수심과 CCD, (2) 수층 생산력, (3) 퇴적율 등이 있었다.
  • , 1997) 위도별 탄소 및 질소성분에 대한 분포특성과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 망간단괴 할당 광구를 포함하는 넓은 해역에서 퇴적물내 탄소, 질소성분의 광역 적인 분포특성과 좁은 지역에서의 지역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이들 성분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들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망간단괴 채광과 관련하여 국제해저기구(International Seabed Authority)가 권고한 환경인자들의 분포량 및 자연변화량 파악을 위한 기초환경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퇴적층내 탄소함량의 분포를 결정하는 큰 요인은 무엇으로 판단되는가? 경도별 분포에서는 총탄소, 유기탄소, 총질소 함량이 대부분 평균값의 15%내외로 변하고 있어 정점들간의 차이는 위도별 분포에 비해 미미하였다. 퇴적층내 탄소함량의 분포를 결정하는 큰 요인은 수괴구조에 기인된 수층의 생산력 차이로 판단되며, 이러한 생산력 차이는 조사지역에서 위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비슷한 위도상에 위치한 정점들은 북동태평양의 해류구조상 비슷한 수괴특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해양내 탄소순환과정에서 해수중의 무기탄소는 중요한 과정을 통해 입자화된 탄소로 전환되는데 그 두과지 과정은 무엇인가? 해양내 탄소순환과정에서 해수중의 무기탄소는 중요한 두 과정을 통해 입자화된 탄소로 전환된다. 첫 번째는 다양한 종류의 생물들(산호, 유공충, 석회조류등)에 의해 탄산칼슘 외각이 형성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주요 조류(algae)가 광합성과정을 통해 유기물을 형성하는 것이다(de Haas et al., 2002).
퇴적층으로 유입된 유기물이 하는 역할은 무엇인가? 8% 정도가 퇴적물에 축적된다(Balzer, 1984; Berger, 1989). 따라서 퇴적층으로 유입되는 유기물은 대기중 이산화탄소를 제거할뿐 아니라 저서생태계에 먹이와 에너지를 공급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6)

  1. 김기현, 박정희, 1999. 북동태평양지역의 방산충 생층서 및 고해양 환경 연구. Ocean Research, 21(2): 127-136 

  2. 김경홍, 손승규, 손주원, 주세종, 2006. 해양퇴적물내 총탄소 및 유기탄소의 분석기법 고찰. 한국해양공학회지, 9: 235-242 

  3. 박정희, 김기현, 1999. 북동태평양 KODOS-97지역 주상퇴적물의 층서 및 고해양학적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4: 50-62 

  4. 손승규, 현정호, 박정기, 지상범, 김기현, 2001. 북동적도태평양 표층 수온변화에 따른 화학적 환경특성. 한국환경공학회지, 4: 24-37 

  5. 신홍렬, 황상철, 전동철, 김기현, 곽종흠, 소선섭, 2004. 동태평양 KODOS 탐사해역에서의 물리해양환경 및 저층해류 특성. Ocean and Polar Research, 26(2): 341-349 

  6. 정회수, 1994. 북동 태평양 KODOS 지역 퇴적물과 공극수 및 망간단괴의 지구화학적 특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82 pp 

  7. 지상범, 강정극, 오재경, 손승규, 박정기, 2003. 북동태평양 한국 심해저 연구지역 망간단괴의 지역적 분포와 퇴적환경. Ocean and Polar Research, 25(3): 257-267 

  8. 해양수산부(MOMAF), 1998. 심해저 광물지원 탐사보고서(1). 해양수산부 보고서, 1209 pp 

  9. 해양수산부(MOMAF), 1999. 심해저 광물지원 탐사보고서(1). 해양수산부 보고서, CRPM99019-00-1201-7, 780 pp 

  10. 해양수산부(MOMAF), 2003. 심해저 광물지원 탐사보고서(1). 해양수산부 보고서, CRPM197-00-1582-5, 770 pp 

  11. 현정호, 김경홍, 지상범, 문재운, 1998. 북동적도 태평양 KODOS 97-2 해역 심해저 퇴적물내의 ATP 분포양상. 한국해양학회지, 3: 142-148 

  12. Balzer, W., 1984. Organic matter degradation and biogenic element cycling in a nearshore sediment (Kiel Bight)1. Limnol. Oceanogr., 29: 1231-1246 

  13. Beers, J.R., 1966.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major zooplankton groups in the Sargasso Sea off Bermuda. Limnol. Oceanog., 11: 520-528 

  14. Bender, M., T. Sowers, and L. Labeyrie, 1994: The Dole effect and its variations during the last 130,000 years as measured in the VOSTOK ice core. Global Biogeochemical Cycles, 8: 363-376 

  15. Berelson, W.M., R.F. Anderson, J. Dymond, D. Demaster, D.E. Hammond, R. Collier, S. Honjo, M. Leinen, J. Mcmanus, R. Pope, C. Smith, and M. Stephens. 1997. Biogenic budgets of particle rain, benthic remineralization and sediment accumulation in the equatorial Pacfic. Deep-Sea Research II 44: 2251-2282 

  16. Berger, W.H., V.S. Smetacek and G. Wefer. 1989. Ocean productivity and paleoproductivity-An Overview. In: Productivity of the Ocean: Present and Past, edited by Berger, W. H., V. S. Smetacek and G. Wefer, John Wiley & Sons, New York, pp. 1-34 

  17. Berner, R.A., 1980. Early diagenesis: A theoretical approach.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241 pp 

  18. Bordowskiy, O.K., 1965. Source of organic matter in marine basins. Marine Geology, 3: 5-31 

  19. Coale, K.H., et al., 1996. A massive phytoplankton bloom induced by an ecosystem-scale iron fertilization experiment in the equatorial Pacific Ocean. Nature 383: 495-501 

  20. Chester, R., 1990. Marine geochemistry. Unwin Hyman, London, 698 pp 

  21. Craig, J.D., 1979. The relationship between bathymetry and ferromanganese deposits in the north equatorial Pacific. Mar. Geol., 29: 165-186 

  22. de Haas, H. T.C.E. van Weering, and H. de Stigter, 2002. Organic carbon in shelf sea: sinks or sources, preocesses and products. Continental Shelf Research 22: 691-717 

  23. Hammond, D.E., J. McManus, W.M. Berelson, T.E. Kilgore and R.H. Pope, 1996. Early diagenesis of material in equatorial Pacific sediments: stoichiometry and kinetics. Deep-Sea Research II, 43: 4-6 

  24. Harada, K., Y. Shibamoto and H. Kokubun, 1995. Chemical and radiochemical studies of sediment samples from the JET site. In: Proceedings of the ISOPE-Ocean Mining Synposium, edited by Yamazaki, T., K. Aso, Y. Okano and K. Tsurusaki, ISOPE, Tsukuba, pp. 187-192 

  25. Honjo, S., J. Dymond, R. Collier and S.J. Manganini, 1995. Export production of particles to the interior of the quatorial Pacific Ocean during the 1992 EqPac experiment. Deep-Sea Research II, 42: 831-870 

  26. Horn, D.R., B.M. Horn, and M.N. Delach, 1973. Copper and Nikel content of ocean ferromanganese deposits and their relation to properties of the substrate. In: The Origin and Distribution of Manganese Nodules in the Pacific and Prospects for Exploration, edited by Morgenstein M., Hawaii Inst. Geophysics, Honolulu, pp. 77-83 

  27. Hyun, J.H., J.K. Choi, E.J. Yang, and K.H. Kim, 1998. Biomass and Productivity of bacterioplankton related to surface water divergence in the northeast equatorial Pacific Ocean. J. Microbiology, 36: 151-158 

  28. Hyun, J.H., and E.J. Yang, 2005. Meso-scale spatial variation in bacterial abundance and production associated with surface convergence and divergence in the NE equatorial Pacific. Aquatic Microbial Ecology, 41: 1-13 

  29. Jocteur Monorozier, L., M. Benijoly, P. pillon, F. Andreux, and B. Souchier, 1981.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 in grain-size fractions of some recent sediments. Advences in Organic Geochemistry 

  30. Johnson, D.A., and T.C., Johnson, 1970. Sediment redistribution by bottom currents in the central Pacific. Deep-Sea Research, 17: 157-169 

  31. Johnson, D.A., 1972. Ocean-floor erosion in the equatorial Pacific.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83: 3121-3144 

  32. Johnson, G.C., B.M. Sloyan, W.S. Kessler, and K.E. McTaggart, 2002. Direct mesurements of upper ocean currents and water properties across the tropical Pacific during the 1990s. Progress in Oceanography, 52: 31-61 

  33. Kessler, W.S., 2006. The circulation of the eastern tropical Pacific : A review. Progress in Oceanography, 69: 181-217 

  34. Keil, R.G., and J.I. Hedges, 1993. Sorption of organic matter to mineral surfaces and the preservation of organic matter in coastal marine sediments. Chemical Geology, 107: 385-388 

  35. Kennett, J.P. 1982, Marine geology. Prentice-Hall Inc., Englewood Cliffs, 813 pp 

  36. Kontar, E.A. and A.V. Sokov, 1994. A benthic storm in the northeastern tropical Pacific over the fields of manganese nodules. Deep-sea Research I 41: 1069-1089 

  37. Kim. D.S., J.H. Park, and K.H. Kim, 1997. The determination of sedimentation rates by using cosmogenic $^{10}$ Be in a sediment core from the Korea Deep Ocean Study (KODOS) area, northeast equatorial Pacific. Ocean Research, 19(2): 127-132 

  38. Libes, S.M., 1992. An introduction to marine biogeochemistry.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734 pp 

  39. Marchig, V. and H. Gundlach, 1981. Seperation of iron from manganese and prowth of manganese nodules as a consequence of diagenetic ageing of radiolaians. Marine Geology, 40: 35-43 

  40. Martin, J.H., et al., 1994. Testing the iron hypothesis in ecosystems of the equatorial Pacific Ocean. Nature, 371: 123-129 

  41. Milliman, J.D., 1993: Production and accumulation of calciumcarbonate in the ocean - budget of a nonsteady state. Global Biogeochemical Cycles, 7: 927-957 

  42. Muller, P.J., 1977. C/N ratios in Pacific deep-sea sediment: Effect of inorganic amonium and organic nitrogen compounds sorbed by clays. Geochim. Cosmochim. Acta, 41: 765-776 

  43. Muller, P.J., M. Hartmann and E. Suess, 1988. Environment of manganese nodule. In: The manganese nodule belt of the Pacific Ocean, edited by Halbach, P., G. Friedrich and U. von Stackelberg, Ferdinand Enke Verlag, Stuttgart, pp.70-141 

  44. Nieuwenhuize, J., Y.E. M. Maas and J.J. Middelburg, 1994. Rapid analysis of organic carbon and nitrogen in particulate materials. Marine Chemistry, 45: 217-224 

  45. Pickard, G.L. and W.J. Emery, 1982. Descriptive physical oceanography, Pergamon Press, New York, 249 pp 

  46. Piper, D.Z., H.E. Cook, and J.V. Gardner, 1979. Lithic and acoustic stratigraphy of the equatorial north Pacific: DOMES sites A, B, and C. In: Marine Geology and Oceanography of the Pacific Manganese Nodule Province, Marine Science 9, edited by Bischoff, J.L., and D.Z. Piper, Plenium Press, New York, pp. 309-348 

  47. Reimers, C.E., 1982. Organic matter in anoxic sediments off central peru: Relations of porosity, microbial decomposition and deformation properties. Marine Geology, 46: 175-197 

  48. Salomons, W. and U. Frstner, 1984. Metals in the hydrocycle. Springer-Verlag, Berlin, 349 pp 

  49. Schlitzer, R., 2000. Applying the adjoint method for biogeochemical modeling: export of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the world ocean. In: Inverse methods in global biogeochemical cycles, [Kasibhatla, P., M. Heimann, P. Rayner, N. Mahowald, R.G. Prinn, and D.E. Hartley (eds)], Geophysical Monograph Series, 114: 107-124 

  50. Schroeder, R.A., 1975. Absence of $\beta$ -alanine and $\gamma$ -amino-butyric acid in cleaned foraminiferal shell: implications for use as a chemical criterion to indicate removal of non-indigenous amino acid contaminants. Earth Planet. Sci. Lett., 25: 274-278 

  51. Smith, C.R., D.J. Hoover, S.E. Doan, R.H. Pope, D.J. Demaster, F.C. Dobbs and M.A. Altabet. 1996. Phytodetritus at the abyssal seafloor across $10^\circ$ of latitude in the central equatorial Pacific. Deep-Sea Research II, 43: 1309-1338 

  52. Smith, C.R., W. Berelson, D.J. Demaster, F.C. Dobbs, D. Hammond, D.J. Hoover, R.H. Pope, and M. Stephens, 1997. Latitudinal variations in benthic processes in the abyssal equatorial Pacific: control by biogenic particle flux. Deep-Sea Research II, 44: 2295-2317 

  53. Suess, E., 1980. Particulate of organic carbon flux in the ocean: surface productivity and oxygen utilization. Nature, 288: 260-263 

  54. Theyer, F., 1977. Micropaleontological dating of DOMES project box cores from test areas A and B, tropical Pacific. In: Deep Ocean Environmental Study : Geology and Geochemistry of DOMES Sites A, B, and C, Equatorial North Pacific, edited by D.Z. Piper, USGS open-file report 77-778, Menlo Park, 267 pp 

  55. Thunell, R.C., 1982. Carbonate dissolution and abyssal hydrography in the Atlantic Ocean. Marine Geology, 47: 165-180 

  56. Tietjen, J.H., 1992. Abundance and biomass of metazoan meiobenthos in the deep sea In: Deep-sea food chains and the global carbon cycle, edited by Rowe, G.T., V. Pariente, Kluwer Aca-demic publisher, Dordrecht, pp. 45-62 

  57. Tyson, R.V., 2001. Sedimentation rate, dilution, preservation and total organic carbon: some results of a modelling study. Organic Geochemistry 32: 333-339 

  58. van Andel, T.H., G.R. Heath, and R.H. Bennet, 1973. Geological results of Leg 163: the central equatorial Pacific, west of the East Pacific Rise. Init. Rep. Deep-Sea Drill. Proj., 16: 411-472 

  59. van Iperen, J. and W. Helder, 1985. A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organic carbon in calcareous ma rine sediments. Mar. Geol., 64: 179-187 

  60. Vaccaro, R.F., 1965. Inorganic nitrogen in sea water. In: Chemical Oceanography Vol 4, edited by Riley, J.P., and G. Skirrow. Academic Press, pp. 44-78 

  61. Vinogradov, A.D., 1953. The elementary chemical composition of marine organisms. Mem. Sears. Found. Mar. Res. II 

  62. Verardo, D.J., P.N. Froelich and A. McIntyre, 1990. Determination of organic carbon and nitrogen in marine sediments using the Carlo Erba Na-1500 Analzer. Deep-Sea Research, 37: 157-165 

  63. von Stackelberg, U., V. Marchig, P. Halbach and D. Puteanus, 1988. Principles of nodule field formation. In: The manganese nodule belt of the Pacific Ocean, edited by Halbach, P., G. Friedrich and U. von Stackelberg, Ferdinand Enke Verlag, Stuttgart, pp. 159-166 

  64. Wong, C.S., W.K. Johnson, N. Sutherland, J. Nishioka, D.A. Timothy, M. Robert, and S. Takeda, 2006. Iron speciation and dynamics during SERIES, a mesoscale iron enrichment experiment in the NE Pacific. Deep-Sea Research I, 53: 2075-2094 

  65. Yang, Y.L., H. Elderfield and M. Ivanovich, 1990. Glacial to Holocene changes in caronate and clay sedimentation in the equatorial Pacific ocean estimated from thorium-230 profiles. Paleoceanography, 5: 789-809 

  66. Yang, E.J., J.K. Choi, and J.H. Hyun, 2004. Distribution and structure of heterotrophic protist communities in the northeast equatorial Pacific Ocean. Marine Biology, 146: 1-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