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용매에 따른 Rooibos Tea(Aspalathus lineais)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Rooibos Tea(Aspalathus linearis)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5 no.4, 2008년, pp.582 - 586  

이초롱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정희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상현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방사선과학연구소) ,  이기택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남아프리카의 고산지대에서 자란 루이보스를 발효하여 가공한 루이보스 차는 항산화 효과를 가진 폴리페놀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루이보스 차 추출물 내의 폴리페놀성 물질의 존재여부와 함량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진 vanillic acid, caffeic acid, syringic acid, 4-coumaric acid, ferulic acid의 동정 및 정량, 그리고 자유라디칼 소거능력을 통한 항산화 실험과 어유를 이용한 유도기간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루이보스 차 250 g을 세 가지 용매(hexane, ethyl acetate, ethanol)로 분획, 농축하여 각각 hexane 추출물 1.14 g/250 g tea, ethyl acetate 추출물 0.95 g/250 g tea, 그리고 ethanol 추출물 3.79 g/250 g tea의 수율로 분획용매별 추출물을 얻었다. 각 분획 용매별 추출물 100 g 안에 들어있는 총 페놀의 함량은 hexane 추출물이 가장 적은 양을 보였고 ethanol 추출물은 13458.8 mg/100 g extract, 그리고 ethyl acetate 추출물은 18604.4 mg/100 g extract 으로 많은 양을 보였다. 이 중 높은 총 페놀 함량을 나타낸 ethyl acetate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 대하여 폴리페놀성 물질 중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된 바 있는 vanillic acid, caffeic acid, syringic acid, 4-coumaric acid, ferulic acid를 RP-HPLC를 이용하여 동정한 후, 정량하였다. 그 결과, 각 추출물 100 g 내의 항산화물질의 총 양은 ethyl acetate 추출물에 3156.1 mg/100 g extract, ethanol 추출물에 3452.6 mg/100 g extract 가 존재하여 ethanol 추출물에서 좀 더 많은 양을 보였다. 루이보스 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 DPPH 라디칼 소거능력을 측정하였다. Hexane, ethyl acetate, ethanol 세 추출물의 RSC(%)를 측정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0.5와 1 mg/mL 일 때 각각 9.5, 66.1, 60.4% 그리고 18.3, 78.9, 82.2%를 보여 ethyl acetate와 ethanol추출물이 hexane 추출물에 비해 높은 자유 라디칼 소거능력을 나타내었으며,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루이보스 차의 총 페놀 함량이 증가됨에 따라 항산화 효과를 보이는 vanillic acid, caffeic acid, syringic acid, 4-coumaric acid, ferulic acid도 많은 양이 존재하였고, DPPH 라디칼 소거능력도 증가되어 루이보스 차의 폴리페놀성 물질은 항산화 효과와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유에 대한 각 분획 추출물의 유도기간 지연정도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ethanol 추출물이 control에 비해 증가된 1.19 hr의 유도기간을 보여 산화 지연 효과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ooibos tea(Aspalathus linearis) fractions were studied. Three extracts, using hexane, ethyl acetate, and ethanol, were prepared. Total phenolic compounds were 3069.3 mg/100 g extract in the hexane fraction, 18604.4 mg/100 g extract in the e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외 국내외 루이보스 차의 항산화 효과에 대한 연구로는 루이보스 차 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4), 루이보스 차 추출물의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 효과(8), 루이보스 차 물 추출물의 자유 라디칼 소거능력에서 항산화 효과(9,10)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루이보스 차 추출액을 천연 항산화제의 소재로 이용하기 위하여 루이보스 차로부터 폴리페놀성 물질을 함유한 hexane, ethyl acetate와 ethanol 추출물을 획득하여 polyphenol 화합물인 vanillic acid, caffeic acid, syringic acid, 4-coumaric acid, ferulic acid를 정량하였고, 자유 라디칼 소거능력을 탐색하였으며, 어유에 첨가하여 루이보스 차 추출물이 어유의 유도기간(induction periods, IP)을 지연시키는 정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루이보스 차는 무엇을 함유하고 있는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루이보스 차는 콩과식물의 일종으로 학명은 Aspalathus linearis이다.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루이보스 차는 각종 미네랄과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피부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4,6). 특히, 루이보스 차의 항산화 성분에 관한 연구에서는 루이보스 차에 flavonol, quercetin, flavone등의 폴리페놀성 물질들이 존재한다고 밝혀졌다(7).
루이보스 차의 항산화 성분에 관한 연구를 통해 어떤 물질들이 존재한다고 밝혀졌는가?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루이보스 차는 각종 미네랄과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피부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4,6). 특히, 루이보스 차의 항산화 성분에 관한 연구에서는 루이보스 차에 flavonol, quercetin, flavone등의 폴리페놀성 물질들이 존재한다고 밝혀졌다(7). 그 외 국내외 루이보스 차의 항산화 효과에 대한 연구로는 루이보스 차 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4), 루이보스 차 추출물의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 효과(8), 루이보스 차 물 추출물의 자유 라디칼 소거능력에서 항산화 효과(9,10) 등이 있다.
루이보스 차 추출물 내의 폴리페놀성 물질의 존재 여부와 함량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진 vanillic acid, caffeic acid, syringic acid, 4-coumaric acid, ferulic acid의 동정 및 정량, 그리고 자유라디칼 소거 능력을 통한 항산화 실험과 어유를 이용한 유도 기간 측정 실험을 수행한 연구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루이보스 차 추출물 내의 폴리페놀성 물질의 존재여부와 함량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진 vanillic acid, caffeic acid, syringic acid, 4-coumaric acid, ferulic acid의 동정 및 정량, 그리고 자유라디칼 소거능력을 통한 항산화 실험과 어유를 이용한 유도기간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루이보스 차 250 g을 세 가지 용매(hexane, ethyl acetate, ethanol)로 분획, 농축하여 각각 hexane 추출물 1.14 g/250 g tea, ethyl acetate 추출물 0.95 g/250 g tea, 그리고 ethanol 추출물 3.79 g/250 g tea의 수율로 분획용매별 추출물을 얻었다. 각 분획 용매별 추출물 100 g 안에 들어있는 총 페놀의 함량은 hexane 추출물이 가장 적은 양을 보였고 ethanol 추출물은 13458.8 mg/100 g extract, 그리고 ethyl acetate 추출물은 18604.4 mg/100 g extract으로 많은 양을 보였다. 이 중 높은 총 페놀 함량을 나타낸 ethyl acetate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 대하여 폴리페놀성 물질 중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된 바 있는 vanillic acid, caffeic acid, syringic acid, 4-coumaric acid, ferulic acid를 RP-HPLC를 이용하여 동정한 후, 정량하였다. 그 결과, 각 추출물 100 g 내의 항산화 물질의 총 양은 ethyl acetate 추출물에 3156.1 mg/100 g extract, ethanol 추출물에 3452.6 mg/100 g extract 가 존재하여 ethanol 추출물에서 좀 더 많은 양을 보였다. 루이보스 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 DPPH 라디칼 소거능력을 측정하였다. Hexane, ethyl acetate, ethanol 세 추출물의 RSC(%)를 측정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0.5와 1 mg/mL 일 때 각각 9.5, 66.1, 60.4% 그리고 18.3, 78.9, 82.2%를 보여 ethyl acetate와 ethanol추출물이 hexane 추출물에 비해 높은 자유 라디칼 소거능력을 나타내었으며,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루이보스 차의 총 페놀 함량이 증가됨에 따라 항산화 효과를 보이는 vanillic acid, caffeic acid, syringic acid, 4-coumaric acid, ferulic acid도 많은 양이 존재하였고, DPPH 라디칼 소거능력도 증가되어 루이보스 차의 폴리페놀성 물질은 항산화 효과와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유에 대한 각 분획 추출물의 유도기간 지연정도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ethanol 추출물이 control에 비해 증가된 1.19 hr의유도기간을 보여 산화 지연 효과를 나타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Yoon, I., Wee, J.H., Moon, J.H., Ahn, T.H., Park, K.H. (2003)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quercetin with antioxidative activity from the fruits of Rubus coreanum Miquel.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499-502 

  2. Jang, J.S., Hong, J.H., Lee, K.T. (2006) Study on antioxidative activity of plant extracts in fish oil. Korean J. Food Preserv., 13, 726-731 

  3. Ahn, S.I., Heuing, B.J., Son, J.Y. (2007)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nitrite-scavenging abilities of some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19-24 

  4. Ha, H.C., Kim, H.S., Ryu, B.H. (2000) Antioxidat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 obtained from rooibos tea(Aspalathus linearis) and it's application of food. Korean J. Food Nutr., 13, 13-20 

  5. Jang, J.S., Lee, Y.H., Hong, J.H., Lee, K.T. (2006) Oxidation stability of fish oil containing commercially available antioxidants. Korean J. Food Preserv., 13, 66-70 

  6. Yoshikawa, T., Naito, T., Oyamada, H., Ueda, S., Tanigawa, T., Takemura, T., Sugino, S., Kondo, M. (1990) Scavenging effects of Aspalathus linearis(rooibos tea) on active oxygen species. Adv. Exp. Med. Biol., 264, 171-174 

  7. Ferreira, D., Marais, C., Steenkamp, J.A. (1995) Rooibos tea as a likely health food supplement. Food Sci. Ind., 28, 37-46 

  8. Lindsey, K.L., Motsei, M.L., Jager, A.K. (2002) Screening of south african food plants for antioxidant activity. J. Food Sci., 67, 2129-2131 

  9. Joubert, E., Winterton, P., Britz, T.J., Ferreira, D. (2004) Superoxide anion and $\alpha$ , $\alpha$ -diphenyl- $\beta$ -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capacity of rooibos (Aspalathus linearis) aqueous extracts, crude phenolic fractions, tannin and flavonoids. Food Res. Int., 37, 133-138 

  10. Gadow, A.V., Joubert, E., Hansmann, C.F. (1997) Comparison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ooibos tea (Aspalathus linearis) with green, oolong and black tea. Food Chem., 60, 73-77 

  11. Park, K.E., Jang, M.S., Lim, C.W., Kim, Y.K., Seo, Y.G., Park, H.Y. (2005) Antioxidant activity on ethanol extract from boiled-water of Hizikia Fusiformi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435-439 

  12. Lee, J.H., LEE, K.T., Akoh, C.C., Chung, S.K., Kim, M.R. (2006) Antioxidant evaluation and oxidative stability of structured lipids from extravirgin olive oil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J. Agric. Food Chem., 54, 5416-5421 

  13. Lee, H.W., Park, S.Y., Choo, B.K., Chun, J.M., Lee, A.Y., Kim, H.K. (2007) Quantitative analysis comparison of korea and china scrophulariae radix. Korean J. Pharmacogn., 38, 15-18 

  14. Kwak, H.J., Kwon, Y.J., Jeong, P.H., Kwon, J.H., Kim, H.K. (2000)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onion (Allium cep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349-355 

  15. Lee, K.M., Jeong, G.T., Park, D.H. (2004) Study of antimicrobial and DPPH radical scavenger activity of wood vinegar. Korean J. Biotechnol. Bioeng., 19, 381-38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