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진장치를 적용한 초고층 주거형 건축물의 횡변위 제어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Drift Control in Residential Tall Building Using the Dampers 원문보기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v.21 no.3, 2008년, pp.265 - 273  

박지형 (대림산업㈜ 기술연구소) ,  김태호 (대림산업㈜ 기술연구소) ,  김욱종 (대림산업㈜ 기술연구소) ,  이도범 (대림산업㈜ 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초고층 건축물은 바람이나 지진에 의한 횡변위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국내의 초고층 주거형 건축물에 주로 사용되는 횡력 저항 구조시스템인 아웃리거 시스템은 별도의 공간을 요구하여 시공이 어렵고 공사 기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불리한 점들이 있다. 반면 근래에 사용되고 있는 제진 시스템은 동적 하중에 의한 진동에너지를 부가적인 제진장치에 집중시킴으로써 건물의 횡변위를 저감시키며, 댐퍼의 설치도 비교적 용이하다. 또한, 아웃리거 설치와 같은 횡변위 제어시스템은 강성증가로 인해 풍응답이 증가되어 거주자의 불편과 같은 사용성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며 이는 다른 추가적인 제어방식을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주거형 건축물에 대한 횡변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면서 아웃리거시스템을 대체 또는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써 다양한 제진장치를 적용하여 각각의 횡변위제어 성능을 검토해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oblem controlling lateral drift by the wind and the earthquake is very important in high rise buildings. But, outrigger system, generally used for residential tall buildings in Korea, has weak points with the occupancy of special space, the difficult construction and the long duration of work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주거형 건축물에 대하여 횡 변 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면서 기존에 가장 널리 사용되어온 횡력 저항 구조시스템인 아웃리거시스템을 대체 또는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써 다양한 제진장치를 적용하여 각 시스템들의 횡변위제어 성능을 검토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앞에서 살펴본 아웃리거의 대체 시스템으로서 제진장치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여기서는 그림 1과 같은 점탄성 댐퍼(Viscoelastic Damper, 이하 VE댐퍼), 탄소성 이력댐퍼, 동조질량감쇠기(Tuned Mass Damper, 이하 TMD), 상부층 면진 4가지 제진장치를 다루었다. 이 장치를 선정한 이유는 V也댐퍼의 경우 가격이 비교적 비싼 문제점이 있지만 풍과 지진하중에 대하여 모두 진동저감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고, 탄소성 이력댐퍼의 경우 국내에서 제작이 쉽고 비교적 가격경쟁력이 뛰어나며 지진에 대한 에너지 소산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연구문헌(금동성 등, 2002; 오상훈 등, 2005)에서 보고되고 있기 때문이다.
  •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주거형 건축물의 횡변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면서 기존에 가장 널리 사용되어 온 횡력 저항 시스템인 아웃리거시스템을 대체 또는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써 네 가지 제진장치를 적용하여 그 성능을 검토해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가설 설정

  • 5를 사용하였다. 건물에 설치한 제진장치가 주로 진동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으로 보고 건물이 탄성 거동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이에 반응수정계수를 1로 두었다. 건물의 X방향으로는 Taft N69E( 1952)지진.
  • 상부층 면진장치의 중요 설계계수는 TMD로 가정하여 Warburton의 설계식을 이용하였고 이에 대한 제어 여부를 검토하였다. 우선 상부층 질량은 TMD보다 약간 많은 질량으로서 부가질량 없이도 TMD보다 큰 질량체를 얻는 것을 알 수 있다.
  • 5% 정도로 계산됐으며, 이는 VE댐퍼의 경우보다 다소 낮은 편에 속한다. 이 경우에 사용된 면진장치의 수는 30개이며 하부에 기둥 또는 벽체의 모서리 위치에 설치되었으며 모두 고감쇠 적층고무받침으로 가정하였다.
  • y 방향으로는 San Fernando N69EU971)지진을 가하였다(그림 5, 6). 적용 풍하중은 서울지역, 노풍도를 B로 가정하였으며 인공풍하중 작성에 사용된 풍스펙트럼으로 풍방향은 Kaimal spectrum, 풍직각방향은 Ohkuma와 Kanaya spectrum을 사용하였다. 변동풍속의 RMS관계(Armitt, 1976)는 이러한 풍방향 풍속과의 관계를 이용하였다(Tsukagoshi.
  • 2001)을 이용하여 계산되었다. 해석 건물의 1차 모드 질량을 바탕으로 TMD의 질량비는 약 3%정도로 가정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구한 X방향의 강성은 1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강경수 (1997) 동적 횡하중을 받는 고층건물의 횡변위제어를 위한 동조질량감쇠기의 최적설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금동성, 윤명호 (2002) 이력형 강재댐퍼를 사용한 200m급 초고층 건물의 성능설계 사례 소개, 한국강구조학회지, 14(3), pp.134-141 

  3. 김대곤, 이동근, 정재은, 남궁계홍 (2001) 정형 및 비정형 건물에 대한 비선형 면진장치의 적용,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5(1), pp.37-44 

  4. 김태호, 박지형, 김욱종, 이도범 (2007) 초고층 구조물의 지진해석을 위한 설계지진파의 조정방법,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7(1), pp.337-340 

  5. 김태호, 박지형, 김욱종, 이도범 (2008) 고층 건물의 상층부의 동조질량화를 위한 면진시스템의 활용, 한국지진공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2(1), pp.405-412 

  6. 대한건축학회 (2005) 건축구조설계기준 2005 

  7. 양재근 (2003)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의 구조 시스템과 바람직한 방향, 쌍용건설 기술연구소 건설 기술, 28, pp.16-21 

  8. 오상훈, 문태섭, 유홍식 (2005) 탄소성 이력 댐퍼가 부착된 브레이스의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17(5), pp.617-626 

  9. CTBUH (1995) Structural Systems For Tall Buildings, McGraw-Hill 

  10. Hanson, R.D., Soong T.T. (2001) Seismic Design with Supplemental Energy Dissipation Devices, MNO-8,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California, pp.23-34 

  11. Taranath, B.S. (2004) Wind and Earthquake Resistant Buildings, Marcel Dekker Inc 

  12. Tsukagoshi H., Tamura Y., Sasaki A., Kanai H. (1993) Response analyses on along-wind and across-wind vibrations of tall buildings in time domain, Journal of Wind Engineering and Industrial Aerodynamics, 45&46, pp.497-5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