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잉치란 정상에 비해 많은 수의 치아를 일컫는 것으로 유치열기와 혼합치열기에 발생하며, 여러 가지 임상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상악 전치부의 과잉치는 상악 전치의 맹출 장애 및 전위, 정중부의 치간 이개, 치근 흡수, 함치성낭종 형성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조기에 진단하고, 과잉치의 위치 및 수, 형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증례는 상악 전치부에 네 개의 과잉치가 영구치의 맹출을 방해하고 있는 경우로, 발거 시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두 단계로 나누어 발거하였다.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네 개의 과잉치가 주위의 영구치 맹출을 방해하고 있었고, 그 중 두 개의 과잉치는 절치 치배에 매우 근접해 있었다. 네 개의 과잉치를 동시에 제거할 경우 영구 치배에 손상을 줄 위험이 있으므로 두 개의 역위 매복된 원추형의 과잉치만 먼저 발거하였다. 남은 두 개의 과잉치는 위치가 변화되기를 기다린 후 두 번째 발거 수술을 시행하여, 주위 절치 치배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치조골 삭제를 적게 하여 합병증 발생을 줄일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pernumerary teeth are characterized by an excess number of teeth, which can be responsible for a variety of irregularities in the primary and transitional dentition. Supernumerary teeth, especially in the maxillary anterior region, may prevent the eruption of adjacent permanent teeth and cause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4). 6개월 후 남은 두 개의 결절형 과잉치가 정중부와 상방으로 이동한 것을 관찰하였고, 2차 수술을 시행하여 발거하였다(Fig. 5-7). 10개월 후 내원시 상악 측절치는 맹출하였고, 상악 중절치는 치조골 내 맹출을 보였다(Fig.
  • 상악 중절치의 정상적인 맹출을 위해 원추형 과잉치를 먼저 발거하고 나머지 과잉치와 주위 영구치의 위치 변화를 기다리기로 하였다(Fig. 4).
  • 이 증례는 상악 절치부와 소구치부에 5개의 과잉치가 있는 비증후군성 다수 과잉치를 갖고 있는 환아의 경우로 방사선 사진에서 상악 절치부 구개측에 역위매복된 두 개의 원추형 과잉치와 정위의 두 개의 결절형 과잉치를 발견하여 외과적 발거시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두 단계에 나누어 발거하였다. 다수의 과잉치가 있는 경우, 인접치의 변위나 회전, 이소맹출, 맹출지연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시기 및 치료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고, 과잉치의 발거시기는 과잉치의 형태와 위치, 그리고 과잉치의 개수, 인접한 치아에 대한 영향, 병리적 문제 발생 여부 등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 이 증례에서 관찰된 네 개의 상악 절치부의 과잉치는 두 개의 역위 매복된 원추형 과잉치와 두 개의 정상 치관 방향의 결절형과잉치였고, 이미 절치의 변위가 야기된 상태였기 때문에 더 큰 병발증이 야기되지 않도록 조기 발거하였다. 일회에 모든 과잉치를 발거하기에는 인접치 손상의 위험이 크고 주위 치조골 소실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어 첫번째 수술에는 좀더 교합면에 위치한 역위매복된 원추형 과잉치만 발거하였다.

대상 데이터

  • 이 환아는 5세 8개월된 남아로 과잉치가 있다는 주소로 내원하여, 임상 및 방사선 검사상 상악 절치부에 네 개의 과잉치와 상악 우측 소구치 부위에 한 개의 과잉치를 관찰하였다. (Fig.
  • 06%라고 보고하였다. 환아의 경우도 특별한 전신병력이 없었고, 상악 절치부와 상악 소구치부에 각각 네개, 한개의 과잉치를 가지고 있어 비증후군성 다수 과잉치를 갖는 증례라 할 수 있다. 특히 하악 소구치부에 높은 발현율을 보이는 비증후군성 다수 과잉치의 특성과는 달리 상악 절치부에 네 개의 과잉치가 존재하고, 나머지 한 개는 상악 소구치부에 존재하는 드문경우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잉치란? 과잉치는 유치열 또는 영구치열기에서 치아의 정상 개수보다 많은 치아이며, 유치열에서 0.3-0.
상악 전치부의 과잉치는 어떤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가? 과잉치란 정상에 비해 많은 수의 치아를 일컫는 것으로 유치열기와 혼합치열기에 발생하며, 여러 가지 임상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상악 전치부의 과잉치는 상악 전치의 맹출 장애 및 전위, 정중부의 치간 이개, 치근 흡수, 함치성낭종 형성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조기에 진단하고, 과잉치의 위치 및 수, 형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증례는 상악 전치부에 네 개의 과잉치가 영구치의 맹출을 방해하고 있는 경우로, 발거 시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두 단계로 나누어 발거하였다.
과잉치의 남자와 여자 발생 비율은? 5%의 발생 빈도를 보인다1,2). 남자와 여자 발생 비율은 2:1로써 남자에서 더 많이 호발하며, 가드너 증후군이나 쇄골두개이형성증, 구순구개열 등의 전신질환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과잉치의 형태는 유치열기에는 대부분 정상형태이거나 원추모양이고, 영구치열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는데 원추형(conical)이나 결절형(tuberculate), 보충형(supplemental), 치아종(odontoma) 네가지로 분류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최병재, 장석철, 김성오 등 : 상악 전방부 과잉치의 병발증.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0:515-518, 2003. 

  2. 대한소아치과학회 : 소아청소년치과학. 신흥인터내셔널, 서울, 106-107, 2007. 

  3. Liu JF : Characteristics of premaxillary supernumerary teeth : a survey of 112 cases. ASDC J Dent Child, 62:262-265, 1995. 

  4. Rajab LD, Hamdan MA : Supernumerary teeth: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 survey of 152 cases. Int J Paediatr Dent, 12:244-254, 2002. 

  5. Zhu JF, Marcushamer M, King DL, et al. : Supernumerary and congenitally absent teeth: a literature review. J Clin Pediatr Dent, 20:87-95, 1996. 

  6. Ashkenazi M, Greenberg BP, Chodik G, et al. : Postoperative prognosis of unerupted teeth after removal of supernumerary teeth or odontoma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31:614-619, 2007. 

  7. Gunduz K, Muglali M : Non-syndrome multiple supernumerary teeth: A case report. J Contemp Dent Pract, 8:81-87, 2007. 

  8. von Arx T : Anterior maxillary supernumerary teeth: a clinical and radiographic study. Aust Dent J, 37:189-195, 1992. 

  9. Primosch RE : Anterior supernumerary teeth-assessment and surgical intervention in children. Pediatr Dent, 3:204-215, 1981. 

  10. Acikgoz A, Acikgoz G, Tunga U, et al. : Characteristics and prevalence of non-syndrome multiple supernumerary teeth: a retrospective study. Dentomaxillofac Radiol, 35:185-190, 2006. 

  11. Yusof WZ : Non-syndrome multiple supernumerary teeth: literature review. J Can Dent Assoc, 56:147-149, 1990. 

  12. 이동혁, 김현정, 남순현 등 : Non-syndrome multiple supernumenary teeth의 증례보고.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4:487-494, 1997. 

  13. Batra P, Duggal R, Parkash H : Non-syndromic multiple supernumerary teeth transmitted as an autosomal dominant trait. J Oral Pathol Med, 34:621-625, 2005. 

  14. 이윤석, 김정욱, 이상훈 : 상악정중부 과잉치의 양태와 병 발증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6:275-282, 1999. 

  15. Ranalli DN, Buzzato JF, Braun TW, et al. : Longterm interdisciplinary management of multiple mesiodens and delayed eruption : report of case. ASDC J Dent Child, 55:376-380, 1988. 

  16. Rotberg S, Kopel HM : Early versus late removal of supernumerary teeth in the premaxilla : a radiographic study. Compend Contin Educ Dent, 5:115- 119, 1984. 

  17. Nazif MM, Ruffalo RC, Zullo T : Impacted supernumerary teeth : A survey of 50 cases. J Am Dent Assoc, 106:201-204, 1983. 

  18. Garvey MT, Barry HJ, Blake M : Supernumerary teeth-an overview of classifica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J Can Dent Assoc, 65:612-616, 1999. 

  19. Di Biase DD : Midline supernumeraries and erup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Dent Pract Dent Rec, 20:35-40, 1969. 

  20. Solares R, Romero MI : Supernumerary premolars: a literature review. Pediatr Dent, 26:450-458, 2004. 

  21. Foster TD, Taylor GS : Characteristics of supernumerery teeth in the upper central incisor region. Dent Pract Dent Rec, 20:8-12, 1969. 

  22. Munns D : Unerupted incisors. Br J Orthod, 8:39-42, 198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