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법랑질 형성부전증의 분자유전학적 고찰
Molecular genetic etiology of amelogenesis imperfecta 원문보기

大韓小兒齒科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v.35 no.1, 2008년, pp.181 - 185  

김정욱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의학연구소)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후속연구

  • 그러나 최근 동일한 유전적 결함을 가진 다른 가족들이 발견되었는데, 이들에게서 머리카락이 가늘고 척추부위에서 증가된 골밀도 등의 증상이 보고되었다27). 따라서 DLX3 유전자의 2 bp 결실(c.561_562delCT)이 TDO 증후군의 증상을 일부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나, 앞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 유전학적인 원인과 임상적인 양상의 보고를 통하여 유전형과 표현형과의 상관관계가 현재 어느 정도는 밝혀지고 있는데3,7) (특히 가장 먼저 발견된 아멜로제닌의 경우가 그러하다) 이를 통하여 새로운 분류법의 필요가 증대되고 있어서 향후 보다 적용하기 쉬운 분류법이 제정될 것으로 기대된다.
  •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법랑질의 형성과 유전적 병인에 대해서 아직 완전히 설명되지 않는 부분이 많다. 이들의 완전한 이해를 통해 생체외에서의 법랑질 합성 및 생체내 응용의 기반이 마련됨과 더불어 인체내의 다른 석회화조직의 병변조절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3)에 있음이 밝혀졌고28) 최근 FAM83H가 원인유전자로 밝혀지게 되었다29). 현재 이 유전자의 기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나 앞으로 활발한 연구를 통하여 법랑질 형성과 석회화에 있어서 그 역할이 규명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법랑질의 기본 구성분은 무엇인가? 치아 법랑질은 인체에서 가장 고도로 석회화된 조직이며, 무기질 함량이 약 96%에 달하며 유기질 및 수분의 함량이 4% 정도로 알려져 있다. 법랑질의 기본 구성분은 결정성 수산화인회석으로서 이들로 구성된 법랑질 결정(enamel crytal)들이 서로 뭉쳐서 생성되는 법랑질 막대(enamel rod)가 긴밀한 구성을 이루어 전체 법랑질의 특수한 구조와 높은 강도를 나타내게 된다1).
법랑질 형성부전증은 크게 무엇으로 분류되는가?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분류법은 1988년 Witkop에 의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총 14종류로 구성되어 있다3). 그러나 크게 4가지의 분류를 포함하는데, 법랑질의 두께는 얇지만 강도는 정상인 저형성형(hypoplastic), 법랑질의 강도가 매우 약하고, 맹출전에는 법랑질의 두께가 정상이지만 맹출후에 급격히 마모되는 저석회화형(hypocalcified), 법랑질의 두께는 정상이지만 강도가 약하고 착색되어 있는 저성숙형(hypomatured), 그리고 우상치(taurodontism)를 동반한 저성숙-저형성형이다 (Table 1).
법랑질 형성부전증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법랑질의 형성은 상아질형성의 과정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데, 법랑질을 만드는 법랑질모세포(ameloblast)가 상아질 형성 직후부터 법랑질 기질을 분비하면서 시작되고(분비기), 이후 석회화과정이 진행되고(석회화기), 최종적으로 단백질 잔류물들을 제거하면서 더욱 광화된 상태로 진행하게 되는 성숙기를 거치게 된다. 개개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조화롭게 일어나야 정상적인 두께와 강도를 가진 법랑질이 형성되며, 이 과정중 어느 단계에서건 결함이 생기게 되면 법랑질 형성부전증이 발생하게 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Nanci A: Ten Cate's Oral Histology Development, Structure, and Function. Vol, 6th ed. Mosby, St. Louis, MO, USA, 2003. 

  2. Hu JC, Chun YH, Al Hazzazzi T, et al.: Enamel formation and amelogenesis imperfecta. Cells Tissues Organs, 186:78-85, 2007. 

  3. Witkop CJ, Jr.: Amelogenesis imperfecta, dentinogenesis imperfecta and dentin dysplasia revisited: problems in classification. J Oral Pathol, 17:547- 553, 1988. 

  4. Kida M, Ariga T, Shirakawa T, et al.: Autosomaldominant hypoplastic form of amelogenesis imperfecta caused by an enamelin gene mutation at the exon- intron boundary. J Dent Res, 81:738-742, 2002. 

  5. Hart PS, Michalec MD, Seow WK, et al.: Identification of the enamelin (g.8344delG) mutation in a new kindred and presentation of a standardized ENAM nomenclature. Arch Oral Biol, 48:589-596, 2003. 

  6. Kim JW, Seymen F, Lin BP, et al.: ENAM mutations in autosomal-dominant amelogenesis imperfecta. J Dent Res, 84:278-282, 2005. 

  7. Wright JT: The molecular etiologies and associated phenotypes of amelogenesis imperfecta. Am J Med Genet A, 140:2547-2555, 2006. 

  8. Chosack A, Eidelman E, Wisotski I, et al.: Amelogenesis imperfecta among Israeli Jews and the description of a new type of local hypoplastic autosomal recessive amelogenesis imperfecta.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47:148-156, 1979. 

  9. Backman B, Holm AK: Amelogenesis imperfecta: prevalence and incidence in a northern Swedish county.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4:43-47, 1986. 

  10. Sundell S, Valentin J: Hereditary aspects and classification of hereditary amelogenesis imperfecta.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4:211-216, 1986. 

  11. 박종하, 김재곤, 백병주, 등: 법랑질 형성 부전증에 관한 증례 보고.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5:598-603, 1998. 

  12. 백병주, 김상훈, 이승익, 등: 법랑질형성부전증에 대한 증례보고.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7:499-504, 2000. 

  13. Smith CE, Pompura JR, Borenstein S, et al.: Degradation and loss of matrix proteins from developing enamel. Anat. Rec., 224:292-316, 1989. 

  14. Hu JC, Simmer J: Developmental biology and genetics of dental malformations. Orthod Craniofac Res, 10:45-52, 2007. 

  15. Ikawa T, Kakegawa A, Nagano T, et al.: Porcine amelogenin is expressed from the X and Y chromosomes. J Dent Res, 84:144-148, 2005. 

  16. Wright JT, Daly B, Simmons D, et al.: Human enamel phenotype associated with amelogenesis imperfecta and a kallikrein-4 (g.2142G>A) proteinase mutation. Eur J Oral Sci, 114 Suppl 1:13-17; discussion 39-41, 379, 2006. 

  17. Kim JW, Simmer JP, Hu YY, et al.: Amelogenin p.M1T and p.W4S mutations underlying hypoplastic X-linked amelogenesis imperfecta. J Dent Res, 83:378-383, 2004. 

  18. Ravassipour DB, Hart PS, Hart TC, et al.: Unique enamel phenotype associated with amelogenin gene (AMELX) codon 41 point mutation. J Dent Res, 79:1476-1481, 2000. 

  19. Mardh CK, Backman B, Holmgren G, et al.: A nonsense mutation in the enamelin gene causes local hypoplastic autosomal dominant amelogenesis imperfecta (AIH2). Hum Mol Genet, 11:1069-1074, 2002. 

  20. Hart TC, Hart PS, Gorry MC, et al.: Novel ENAM mutation responsible for autosomal recessive amelogenesis imperfecta and localised enamel defects. J Med Genet, 40:900-906, 2003. 

  21. Kim JW, Simmer JP, Hart TC, et al.: MMP-20 mutation in autosomal recessive pigmented hypomaturation amelogenesis imperfecta. J Med Genet, 42:271-275, 2005. 

  22. Ozdemir D, Hart PS, Ryu OH, et al.: MMP20 active- site mutation in hypomaturation amelogenesis imperfecta. J Dent Res, 84:1031-1035, 2005. 

  23. Papagerakis P, Lin HK, Lee KY, et al.: Premature stop codon in MMP20 causing amelogenesis imperfecta. J Dent Res, 87:56-59, 2008. 

  24. Hart PS, Hart TC, Michalec MD, et al.: Mutation in kallikrein 4 causes autosomal recessive hypomaturation amelogenesis imperfecta. J Med Genet, 41:545- 549, 2004. 

  25. Price JA, Wright JT, Kula K, et al.: A common DLX3 gene mutation is responsible for tricho-dentoosseous syndrome in Virginia and North Carolina families. J Med Genet, 35:825-828, 1998. 

  26. Dong J, Amor D, Aldred MJ, et al.: DLX3 mutation associated with autosomal dominant amelogenesis imperfecta with taurodontism. Am J Med Genet A, 133:138-141, 2005. 

  27. Wright JT, Hong SP, Simmons D, et al.: DLX3 c.561_562delCT mutation causes attenuated phenotype of tricho-dento-osseous syndrome. Am J Med Genet A, 146:343-349, 2008. 

  28. Mendoza G, Pemberton TJ, Lee K, et al.: A new locus for autosomal dominant amelogenesis imperfecta on chromosome 8q24.3. Hum Genet, 120:653-662, 2007. 

  29. Kim JW, Lee SK, Lee ZH, et al.: FAM83H Mutations in Families with Autosomal-Dominant Hypocalcified Amelogenesis Imperfecta. Am J Hum Genet, 82:489-494,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