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명태(Theragra chalcogramma) 이석 내 산소동위원소 조성과 서식 수온 특성
Relationship between Oxygen Isotopic Composition of Walleye Pollock(Theragra chalcogramma) Otoliths and Seawater Temperature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30 no.3, 2008년, pp.249 - 258  

양윤선 (부경대학교 수산과학대학 자원생물학과) ,  강수경 (국립수산과학원 영동내수면연구소) ,  김수암 (부경대학교 수산과학대학 자원생물학과) ,  김순송 (국립수산과학원 어업자원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석(otoliths)은 경골 어류내이(inner ear)에 존재하는 평형석으로 어류의 성장과 함께 성장하며, 이석 내 산소동위원소는 어류가 서식했던 수온에 영향을 받으며 침전되기 때문에 어류가 서식했던 서식처의 수온을 반영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명태 이석 내 산소동위원소(${\delta}^{18}O$)와 서식 수온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명태의 생활사에 따른 서식지의 변동을 비교하였다. 우리나라와 일본의 동쪽 해역에서 $1997{\sim}1999$년 사이에 채집된 명태로부터 이석을 채취하여 연령대 별로 산소동위원소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수온 자료는 양국의 해양자료센터(KODC, JODC)로부터 획득하였다. 명태가 서식하는 수심의 수온은 가을과 겨울에 걸쳐 연중 가장 높았고, 우리나라 동해연안은 200 m 이상의 수심에서는 계절적 변동이 거의 없이 낮은 수온이 분포하는 안정된 상태였으나, 일본 해역에서는 300 m의 비교적 깊은 수심에서도 계절적 변화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모든 수심에서 우리나라 보다 일본 연안의 수온이 높았으며, 일본 해역의 명태가 우리나라 명태보다 깊은 곳에 서식하였다. 우리나라와 일본 명태 이석의 산소동위원소 값은 대부분 시료에서 이석의 핵 부분 보다는 가장자리 부분에서 산소동위원소 값이 높아 명태가 성장하면서 수온이 낮은 깊은 수심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3년 동안의 수온변화와 그 당시 성장하였던 이석의 산소동위원소 값은 역상관 관계를 보이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xygen isotopic composition(${\delta}^{18}O$) of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otoliths were measured to investigate interannual and regional correlation with habitat temperature.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fishermen in Korea and Japan between $1997{\sim}1999$, w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명태 이석 내 산소동위원소(δ18O)와 서식 수온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명태의 생활사에 따른 서식지의 변동을 비교하였다.
  • 이 때 반사광 아래에서 어둡게 보이는 투명대(성장이 느릴 때 형성된 부분, translucent zone)와 밝게 보이는 불투명대(성장이 빠를 때 형성된 부분, opaque zone)가 대체로 규칙적으로 잘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투명대를 개수하여 연령사정 하였고 연령 사정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sagitta 이석 쌍 중 연마 실험에 사용하지 아니한 이석에 한하여 이석을 절단하여 연령을 비교하였다. 이때 이석의 연륜을 명확히 구별하기 위하여 수직면(vertical plane)을 절단하고 알코올로 태우는 절단-소각방법(break-and-burn method)을 사용하였다(NOAA 2008).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에서 채집된 명태 이석으로부터 그들이 태어난 해와 어획된 해의 산소동위원소(δ18O)의 함량을 조사하여 산소동위원소의 함량과 명태의 서식처 수온과의 관계를 검정하였다.

가설 설정

  • 또한, 대구류와 같은 저서어류는 치어 시기에 표층에 서식하다가, 그들이 성장함에 따라 깊은 곳으로 이동해서 사는 습성이 있는데, 수심 50~300 m에 서식하는 알라스카 만의 명태는 체장이 커짐에 따라 깊은 곳에 분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Muigwa 1988). 그러나 우리나라 해역에서는 200 m보다 깊은 곳은 수온이 너무 낮아 서식수심으로 부적합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0~1세 명태에 대해서는 50 m, 2세 및 성어는 100~200 m의 수온을 선택하였다.
  • 대체로 200 m 수심 부근에서는 최대 수온이 12월 혹은 2월에 나타나므로 2세 혹은 성어의 성장이 12월에 왕성할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0세 명태가 서식하는 표층(<50 m)에서의 수온은 우리나라 해역에서는 10~12월, 일본 해역에서는 10~11월에 가장 높으므로 이 시기의 수온과 0세 명태의 산소동위원소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 환경수온을 지시하는 생체물질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석 내 산소동위원소 값과 명태가 서식할 것으로 생각되는 수심의 수온을 비교하였다. 두 연구 해역 모두 2월부터는 수온이 급격히 하강하고 있으므로, 이석의 성장은 여름부터 겨울까지 좋을 것이라 가정하였다. 계절적 평균 수온은 각 연도별로 형성된 이석 내 산소동위원소 값과 비교하였다.
  • 따라서 우리나라의 0~1세 명태에 대해서는 50 m, 2세 및 성어는 100~200 m의 수온을 선택하였다. 일본 해역 명태의 경우는 0세어가 50 m, 2세 명태는 100~200 m 그리고 3세 명태는 수심 200~300 m 사이에서 서식하리라고 가정하여 서식수온을 비교하였다. 대체로 200 m 수심 부근에서는 최대 수온이 12월 혹은 2월에 나타나므로 2세 혹은 성어의 성장이 12월에 왕성할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0세 명태가 서식하는 표층(<50 m)에서의 수온은 우리나라 해역에서는 10~12월, 일본 해역에서는 10~11월에 가장 높으므로 이 시기의 수온과 0세 명태의 산소동위원소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류의 속귀에는 몇 쌍의 이석이 존재 하는가? 1969). 어류의 속귀에는 세 쌍(sagitta, lapillus, asteriscus)의 이석이 존재하며, 이 중 크기가 가장 큰 sagitta에 나타나는 성장륜(growth increment) 구조는 어류의 나이를 추정하는데 이용되어 왔다(Campana and Neilson 1985). 한편, 최근에는 이석 내 화학물질에 대한 연구가 각광을 받고 있다.
어류의 이석은 무엇인가? 해양경골어류의 속귀(inner ear)에 위치하는 이석(耳石, otolith)은 어류의 평형 감각을 담당하는 작은 탄산칼슘(CaCO3) 성분의 ‘돌’로서, 주로 아라고나이트(약 96%)와 소량의 유기물 복합체(약 3%) 및 30여종의 미량원소(약 1%)로 구성되어 있다(Degens et al. 1969).
명태 이석 내 산소동위원소(δ18O)와 서식 수온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는 명태 이석 내 산소동위원소(δ18O)와 서식 수온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명태의 생활사에 따른 서식지의 변동을 비교하였다. 우리나라와 일본의 동쪽 해역에서 1997~1999년 사이에 채집된 명태로부터 이석을 채취하여 연령대 별로 산소동위원소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수온 자료는 양국의 해양자료센터(KODC, JODC)로부터 획득하였다. 명태가 서식하는 수심의 수온은 가을과 겨울에 걸쳐 연중 가장 높았고, 우리나라 동해 연안은 200 m 이상의 수심에서는 계절적 변동이 거의 없이 낮은 수온이 분포하는 안정된 상태였으나, 일본 해역에서는 300 m의 비교적 깊은 수심에서도 계절적 변화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모든 수심에서 우리나라 보다 일본 연안의 수온이 높았으며, 일본 해역의 명태가 우리나라 명태보다 깊은 곳에 서식하였다. 우리나라와 일본 명태 이석의 산소동위원소 값은 대부분 시료에서 이석의 핵 부분 보다는 가장자리 부분에서 산소동위원소 값이 높아 명태가 성장하면서 수온이 낮은 깊은 수심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3년 동안의 수온변화와 그 당시 성장하였던 이석의 산소동위원소 값은 역상관 관계를 보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국립수산진흥원. 2000. 배타적경제수역(EEZ) 주요어업자원 의 생태와 어장. 국립수산진흥원 자원조사자료집 제20호. 332 p 

  2. 김수암. 1992. 베링해 명태자원의 현황과 연구방향: (III)생물 학적 특징(성어). 해양연구, 14, 171-189 

  3. 김수암, 강수경. 1998. 동해의 수산자원 현황 및 연구 방향. 한국수산자원학회지, 1, 44-58 

  4. 김수암, 강수경. 2001. 동해생태계 특성 규명을 위한 안정동 위원소의 이용: 명태와 연어 이석의 경우. 한국수산자원학회지, 4, 64-72 

  5. 박병하, 허장봉, 김현길. 1978. 한국동안 명태의 연령과 성장. 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 20, 33-42 

  6. 이병기, 박승원, 김진건. 1989. 연근해어업개론. 태화출판사, 서울. 313 p 

  7. Blacker, R.W. 1974. Recent advances in otolith studies. p. 67-90. In: Sea Fisheries Research, ed. by F.R. Harden Jones. Elek, London 

  8. Campana, S.E. 1999. Chemistry and composition of fish otoliths: Pathways, mechanism and application. Mar. Ecol. Prog. Ser., 188, 263-297 

  9. Campana, S.E. and J.D. Neilson. 1985. Microstructure of fish otoliths. Can. J. Fish. Aquat. Sci., 42, 1014-1032 

  10. Degens, E.T., W.G. Deuser, and R.L. Haedrich. 1969. Molecular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fish otoliths. Mar. Biol., 2, 105-113 

  11. Fey, D.P. 2005. Is the marginal otolith increment width a reliable recent growth index for larval and juvenile herring? J. Fish Biol., 66, 1692-1703 

  12. Gauldie, R.W., C.E. Thacker, and L. Wang. 1998. Movement of water in fish otoliths. Comp. Biochem. Physiol. Part A, 120, 551-556 

  13. Grossman, E.L. and T.-L. Ku. 1986. Oxygen and carbon isotopes fractionation in biogenic aragonite: Temperature effects. Chem. Geol., 59, 59-74 

  14. Hare, S.R. and R.C. Francis. 1995. Climate change and salmon production in the Northeast Pacific Ocean, p. 357-372. In: Climate change and northern fish populations, Can. Spec. Publ. Fish. Aquat. Sci., 121, ed. by R.J. Beamish.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15. Hare, S.R., N.J. Mantua, and R.C. Francis. 1999. Inverse production regimes: Alaska and west coast Pacific salmon. Fisheries, 24, 6-14 

  16. Hoie, H., E. Otterlei, and A. Folkvord. 2004. Temperaturedependent fractionation of stable oxygen isotopes in otoliths of juvenile cod (Gadus morhua L.). ICES J. Mar. Sci., 61, 243-251 

  17. Kalish, J.M. 1991. Oxygen and carbon stable isotopes in fish otoliths of wild and laboratory-reared Australian salmon (Arripis trutta). Mar. Biol., 110, 37-47 

  18. Kendall Jr., A.W., J.D. Schumacher, and S. Kim. 1996. Walleye pollock recruitment in Shelikof Strait: Applied fisheries oceanography. Fish. Oceanogr., 5, 4-18 

  19. Kennedy, B.P., A. Klaue, J.D. Blum, C.L. Folt, and K.H. Nislow. 2002. Reconstructing the lives of fish using Sr isotopes in otoliths. Can. J. Fish. Aquat. Sci., 59, 925-929 

  20. Kim, S.T. and J.R. O'Neil. 1997. Equilibrium and nonequilibrium oxygen isotopes effects in synthetic carbonates. Geochim. Cosmochim. Acta, 61, 361-375 

  21. Muigwa, N.M. 1988. Vertical distribution patterns of prespawning and spawning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in Shelikof Strait. p. 403-432. In: Proc. Int. Symp. Biol. Mgmt. Walleye pollock, November 14-16 

  22. NOAA. 2008. Age and Growth Program. Available from WWW: [cited 2008-06-30] 

  23. Sakurai, Y. 1988.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walleye pollock with special reference to ovarian development, fecundity and spawning behavior. p. 97-115. In: Proc. Int. Symp. Biol. Mgmt. Walleye pollock, November 14- 16 

  24. Short, J.A., C.M. Gburski, and D.K. Kimura. 2006. Using otolith morphometrics to separate small pollock, Theragra chalocgramma from Arctic cod Boreogadus saida in mixed samples. Alaska Fish. Res. Bull., 12, 147-152 

  25. Thorrold, S.R., C.M. Jones, P.K. Swart, and T.E. Targetta. 1998. Accurate classification of juvenile weakfish cynoscion regalis to estuarine nursery areas based on chemical signatures in otoliths. Mar. Ecol. Prog. Ser., 173, 253-265 

  26. Villiers, de S., B.K. Nelson, and A.R. Chivas. 1995. Biological controls on coral Sr/Ca and $\delta^{18}$ O reconstructions sea surface temperature. Science, 269, 1247-124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