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단지역과 시골지역 주택 실내, 실외 및 개인의 이산화질소 노출평가
Indoor, Outdoor, and Personal Exposure to Nitrogen Dioxide Comparing Industrial Complex Area with Country Area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34 no.3 = no.102, 2008년, pp.183 - 187  

양원호 (대구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  임성국 (대구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  손부선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door air quality can be affected by indoor sources, ventilation, decay, and outdoor levels. Various indoor and out-door combustion sources produce nitrogen dioxide ($NO_2$), which is a by-product of high temperature fossil fuel combustion. Especially, the presence of gas ranges and smo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이 결과 또한 노출지역이 대부분 10년 이하 주택이고, 주택 인접 도로가 2차선 이상의 도로임을 고려할 때 앞서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실외 NO2 농도가 주된 영향임을 나타낸다.'" 또한 주택 특성 변수와 주택 실외 NO2 농도의 주택 NO2 농도 영향을 다중회귀분석 하였다. 간접흡연, 주택형태, 주택 년 수, 도로 근접 형태는 가변수(dummy variables)로 처리흐}여 분석하
  • 대조지역은 전형적인 농업지역이며, 노출지역과 대조지역은 거리상 대략 10km이었고, 측정대상자는 비흡연 가정주부로 노출지역에서 90명, 대조지역에서 30명이었다. 개인 생활양식과 거주하고 있는 주택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간접흡연 여부, 주택평수, 가스렌지 사용 등에 관련된 사항들과 도로의 근접성 등에 대한 내용의 설문조사를 하였다.
  • 다른 영향요인으로는 주택유형, 주택 년 수, 도로 근접 형태에 따른 NO2 농도를 비교해 보았다. 단독주택과 아파트의 NO, 농도 평균은 각각 14.
  • 측정 장소는 대상자들의 주택실내와 실외, 그리고 개인노출의 Nt》농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NC>2의 농도측정은 수동식 시료채취기(passive sampler)를 이용하였다戶 개인노출 측정은 개인의 옷깃이나 가슴높이 등 호흡기에서 30 cm 이내인 곳에 착용하도록 하였다. 수동식 시료채취기는 주택실내 측정의 경우 가정에서 사람들이 가장 잘 모이는 거실에 설치되었으며, 측정 위치는 연소장치 발생원에서 3m 이상 그리고 창문 또는 문으로부터 2 m 이상이 되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실외의 NO? 발생원이 있는 공단지역과 상대적으로 실외의 NO2 발생원이 적은 시골지역의 주택 실내와 실외 농도 측정 및 개인노출 평가를 하였다. 주택 실내와 실외 농도 및 개인노출 사이의 상관성 분석과 주택 특성 요인 분석을 통해 두 지역을 비교 .
  • 본 연구는 공단지역 주민과 시골지역 주민의 NO2 노출에 대한 것으로 크게 공단지역이 있는 곳과 공단지역이 없는 시골지역을 각각 노출지역과 대조지역으로 구분하였다. 노출지역은 제철소, 석유화학 공장 등이 있으며 대조지역에 비해 차량이 상대적으로 많다.
  • 주택 실내와 실외 농도 및 개인노출 사이의 상관성 분석과 주택 특성 요인 분석을 통해 두 지역을 비교 . 분석하였고, 개인노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 주택 실내와 실외 농도 및 개인노출 사이의 상관성 분석과 주택 특성 요인 분석을 통해 두 지역을 비교 . 분석하였고, 개인노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 0 m僵 시험관에 주입하였다. 챔버는 실리카겔, 활성탄, Purafil filtRX과망간산 칼륨, 활성 알루미나와 활성탄으로 합성된 물질)를 연속으로 연결하여 대기 중 공기를 챔버로 유입시켜 NO2 포함한 공기오염물질이 없는 상태에서 분석하였다. NO?농도 계산식에 이용된 물질전환계수 값은 0.
  • 측정하였다. 측정 장소는 대상자들의 주택실내와 실외, 그리고 개인노출의 Nt》농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NC>2의 농도측정은 수동식 시료채취기(passive sampler)를 이용하였다戶 개인노출 측정은 개인의 옷깃이나 가슴높이 등 호흡기에서 30 cm 이내인 곳에 착용하도록 하였다.

대상 데이터

  • 실내공기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 인자는 실내공간 체적, 공기오염물질 발생률, 반응 또는 침강에 의한 감소율, 실내외 환기율 그리고 실외공기 농도에 의존한다.9 본 연구의 대상물질인 이산화질소(NO?)는 고온연소의 부산물로써 실외에서는 주로 차량, 발전소 및 산업공정에서 주로 발생된다. 실내에서는 가스렌지, 석유난로 난방기, 흡연 등과 같은 연소과정에서 발생된다.
  • 흡수된다. Sulfanilic acid 5 g, Phosphoric acid (85%) 50 nV 과 NEDA(N-( 1 -Naphtyl) 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 98%) 0.05 g을 이용하여 color reagent (azodye-forming) h를 제조하였다. 수동식 시료채취기는 NO27} 존재하지 않는 챔버(chamber)에서 분해하여 셀룰로우즈 여지를 시험관(16X100 mm)에 넣고, color reagent 10.
  • 노출지역은 제철소, 석유화학 공장 등이 있으며 대조지역에 비해 차량이 상대적으로 많다. 대조지역은 전형적인 농업지역이며, 노출지역과 대조지역은 거리상 대략 10km이었고, 측정대상자는 비흡연 가정주부로 노출지역에서 90명, 대조지역에서 30명이었다. 개인 생활양식과 거주하고 있는 주택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간접흡연 여부, 주택평수, 가스렌지 사용 등에 관련된 사항들과 도로의 근접성 등에 대한 내용의 설문조사를 하였다.
  • 측정기간은 2007년 10월 IV일부터 16일까지 5일간 연속 측정하였다. 측정 장소는 대상자들의 주택실내와 실외, 그리고 개인노출의 Nt》농도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arslaw, N. : A new detailed chemical model for indoor air pollution. Atmospheric Environment, 41, 1164-1179, 2007 

  2. Lai, H. K., Kendall, M., Ferrier, H., Lindup, I., Alm, S., Hanninen, O., Jantunen, M., Mathys, P., Colvile, R., Ashmore, M. R. and Cullinan, P. : Personal exposures and microenvironment concentration of $PM_{2.5}$ , VOC, $NO_2$ and CO in Oxford, UK. Atmosphere Environment, 38, 6399-6410, 2004 

  3. Yang, W. H., Son, B. S. and Sohn, J. R. : Estimation of source strength and deposition constant of nitrogen dioxide using compartment model.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31(4), 260-265, 2005 

  4. Spicer, C. W., Coutant, R. W., Ward, G. F. and Joseph, D. : Rates and mechanisms of $NO_2$ removal from indoor air by residential material. Environmental International, 15, 634-654, 1989 

  5. Gilbert, N. L., Gauvin, D., Guay, M., Heroux, M., Dupuis, G., Legris, M., Chan, C. and Dietz, R. N. : Housing characteristics and indoor concentrations of nitrogen dioxide and formaldehyde in Quebec City, Canada. Environmental Research, 102, 1-8, 2006 

  6. Kraft, M., Eikmann, T., Kappos, A., Kunzli, N., Rapp, R., Schneider, K., Seitz, H., Voss, J. U. and Wichmann, H. E. : The german review: effect of nitrogen dioxide on human health - derivation of health-related short-term and long-term values. International Journal of Hygiene and Environmental Health, 208, 305-318, 2005 

  7. Basu, R. and Samet, J. M. : A Review of the Epidemiological Evidence on Health Effect of Nitrogen Dioxide Exposure from Gas Stove. Journal of Environmental Medicine, 22, 173-187, 1999 

  8. Yanagisawa, Y. and Nishmura, H. : A badge-type personal sampler for measurement of personal exposures to $NO_2$ and NO in ambient air. Environment International, 8, 235-242, 1982 

  9. Jung, S. W., Yang, W. H. and Son, B. S. : Health risk assessment by potential exposure of $NO_2$ and VOCs in apartments.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33(4), 242-249, 2007 

  10. Yang, W., Lee, K. and Chung, M. : Characterization of indoor air quality using multiple measurements of nitrogen dioxide. Indoor Air, 14, 105-111, 2004 

  11. Son, B. S., Kim, W. J. and Kim, Y. S. : A study of nitrogen dioxide concentration in industrial areas. Korean Journal of Sanitation, 16(3), 42-53, 2001 

  12. Kho, Y. L., Yang, W. H. and Chung, M. H. :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xposure of workers at restaurants in Seoul metropolitan city.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28(2), 173-182, 2002 

  13. Yang, W. H., Lee, K. Y., Chung, M. H. and Zong, M. S. : A study on estimation on air exchange rate and source strength in indoor air using multiple measurements of nitrogen dioxide. Journal of Kore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10(1), 160-169, 2000 

  14. Dimitroulopoulou, C., Ashmore, M. R., Byrne, M. A. and Kinnersley R. P. : Modeling of indoor exposure to nitrogen dioxide in the UK. Atmospheric Environment, 35, 269-279, 2001 

  15. Lee, K., Yang, W. and Bofinger, N. D. : Impact of mcroenvironmental nitrogen dioxide concentrations on personal exposure in Australia. Journal of the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50(10), 1739-1744, 2000 

  16. Yang, W. H., Son, B. S. and Yim, S. K. : Evaluation method for improvement efficiency of indoor air quality in residenc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33(4), 255-263, 2007 

  17. Kulkarni, M. M. and Patil, R. S. : An empirical model to predict indoor $NO_2$ concentrations. Atmospheric Environment, 36, 4777-4785,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