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전투화 맟춤형 발보장구 착용 시 하지 근육 활동의 평가
The Evaluation of Lower Extremity Muscles in Combat shoes Custom Foot Orthotics 원문보기

한국운동역학회지 =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v.18 no.2, 2008년, pp.115 - 124  

서성혁 (육군사관학교) ,  김로빈 (한성대학교) ,  조영재 (연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행군 시 발보장구 착용이 하지 근육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과회내족과 정상족을 선정하여 트레드밀에서 4.5km/h의 속도로 걷게 하였고 이때 근전도기를 이용하여 하지근육의 근육신호를 수집, 분석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를 평균적분근전도와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근활성도와 피로도를 알아보았고 SPSS 12.0을 이용하여 통계분석하였다. 실험 결과는 과회내족이 정상족보다 행군 시 근 활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보장구 착용 시 근 활성과 피로도가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냈다. 특히 전경골근과 장비골근의 근육활성 감소와 피로도 감소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과회내족은 장시간 행군 시 발보장구 착용이 피로도 감소에 효과적이며 이는 잠재적인 하지 근골격계 상해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ustomized foot orthotics on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and fatigue during march in combat boots. Four volunteers with normal foot and five volunteers with excessive pronation foot among soldiers on service were fitted with foot orthotic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행군 시 발보장구 착용 유, 무에 따른 하지 근육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전투화에 맞춤형 발보장구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평가를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의 실험은 근육 활동 시 나타나는 전기적 신호인 EMG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적분근전도(averaged integrate electromyography)분석과 평균 주파수(mean power frequency)분석을 통해 행군 시 지지구간에서의 정상족과 과회내족 간의 과도한 회내 동작이 하지 근육 피로에 미치는 영향과 맞춤형 발보장구 착용 유, 무에 따른 하지 근육 활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2번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1차 실험은 정상족과 발보장구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과회내족의 행군 시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였고 2차 실험은 (주)alfoots사에서 제작한 발보장구를 과회내족에게 제공하였다.
  • 본 연구는 전투화에 발 보장구의 적용을 통해 하지 근육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정상족과 과회내족으로 발 형태를 나누었고 행군 시 하지 근육의 평균적분근전도값과 평균주파수값을 비교하여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행군 시 발보장구 착용이 하지 근육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는? 0을 이용하여 통계분석하였다. 실험 결과는 과회내족이 정상족보다 행군 시 근 활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보장구 착용 시 근 활성과 피로도가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냈다. 특히 전경골근과 장비골근의 근육활성 감소와 피로도 감소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과회내족은 장시간 행군 시 발보장구 착용이 피로도 감소에 효과적이며 이는 잠재적인 하지 근골격계 상해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피로는 어떠한 형태로 나눌 수 있나? 피로는 환경적, 심리적인 영향에 의한 피로와 운동, 노동 같은 신체활동을 통한 근육 피로 두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중 근육의 피로는 근육의 정상적인 기능의 소실을 의미한다(Charles, Radeva, 2007). 행군과 같이 오랜 시간동안의 보행이나 달리기를 통한 반복적인 근육의 사용과 부하는 근육의 피로를 발생시키고 이는 해당 근육의 운동 수행 능력을 저하시켜 상해를 유발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연구되고 있다(Sterzing & Hennig, 1999; Elliot & Ackland, 1981).
우리나라 군대의 기본적인 이동수단은? 최근의 현대전은 점차적으로 기계화, 정보화, 디지털화 되어 가고 있는 양상으로 과거의 전통적인 보병위주의 전략과 전술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국토의 70%가 산악지형인 우리나라의 지형 상황으로 볼 때 기존의 전술의 중요성을 배재할 수 없을 것이며 이러한 이유로 아직까지 우리나라 군대의 기본적인 이동수단은 행군이라고 할 수 있다(박두균, 김의수, 임충희, 서성혁, 1991). 보통 행군은 수십 kg의 군장과 개인화기 등을 휴대하고 수 km에서 많게는 며칠에 걸쳐 수백 km를 실시하는데 여기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될 수 있는 것은 중량의 부하와 장기간의 보행으로 인한 피로이며 이는 곧 전투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강성웅, 김성원, 나영무(1995). 슬관절 등속성 운동검사에서 변형 고정대에 의해 유발되는 지간 상호작용이 근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재활의학회지, 19, 455-461. 

  2. 곽창수(1993). 운동화 중저의 경도가 주행 시 발바닥의 압력 분포와 충격 흡수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김로빈(2006). 달리기 동호인들의 상해예방을 위한 맞춤형 발 보장구의 평가연구. 한국운동역학학회지, 16, 1, 19-30. 

  4. 김승재(2006). 보행시 과도한 회내와 관련된 발질환을 위한 맞춤형 발보조기의 교정적 기능. 한국운동역학회지, 16, 65-79. 

  5. 김승재, Darren Stefanyshyn, 김로빈(2005). 평지와 오르막경사의 트레드밀 걷기와 달리기 동안 발보장구가 발바닥근막염과 관련된 발아치 스트레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 15, 155-176. 

  6. 남기석, 이영희, 이충휘, 조상현(1999). 근전도 스펙트럼 분석을 이용한 만성 요통 환자의 유부근육과 복부근육의 피로도 분석.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6, 16-31. 

  7. 류지선(2001). 오래 달리기 시 피로가 생체역학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0, 1011-1025. 

  8. 문곤성(2004). 보행 속도 변화에 따른 하지의 운동역학적 분석과 근활동의 근전도 분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9. 박두균, 김의수, 임충희, 서성혁(1991). 인체 에너지 대사의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군 행군 속도에 관한 연구. 체육연구소논집, 12, 71-79. 

  10. 범대진(2002). 체육측정에서 처치효과를 위한 effect size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8, 1131-1138. 

  11. 이세용(2002). 오소틱의 착용과 하지의 장시간 부하가 족저근막염의 상해 요인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2. 윤두식, 김택훈, 신헌석, 노정석(2005). 발목관절 각도와 등척성 수축방향이 반대측 근육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2, 3, 46-55. 

  13. 최지영, 김우엽(2001). 주행 시 군화종류에 따른 운동역학적 특성비교. 한국체육학회, 40, 987-1000. 

  14. Bahlsen, A. (1988). The etiology of running injuries; a longitudinal, prospective study, PhD. thesis, University of Calgary, Calgary. 

  15. Blake, R.L., & Denton, J.A.(1985). Functional foot orthoses for Athietic injuries: A retrospective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Podiatric Medical Association, 75, 359-362. 

  16. Bordenlon, R.L.(1989). Orthotic, Shoes, and Brace. Orthopedic Clinics of North America, 20, 751-757. 

  17. Broody, D.M.(1980). Running injuries. Clincal Symposia, 32, 2-36. 

  18. Bruggemann, G.P., Arndt, A. (1994). Fatigue and lower extrmity function. Proceedings of 8th Biennial Conference of the Canadian Society of Biomechanics, 316-317. 

  19. Burr, D.B., Milgrom, C., Fyhrie, D., Forwood, M., Nyska, M., Finestone, A., Hoshw, S., Saiag, E., Simkin, A., (1996). In vivo measurment of human tibial strains dvigorous activity. Bone, 18, 405-410. 

  20. Cohen, J.(1988). Sta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ural science. (3rd ed). New York : Academic press 

  21. Cram, J.R., Kasman, G.S., & Holtz, J.(1988). Introduction to Surface Electromyography. Gaithersburg. An Aspen Pub. 

  22. Charles M., Radeva, D.R.(2007). The effect of muscle fatique on in vivotibial strains. Journal of Biomechanics, 40, 845-850. 

  23. De Luca C.J.(1984). Myoelectrical manifestations of localized muscular fatigue in humans. Crit Rev Biomed Eng, 11, 251-279. 

  24. Elliot, B., Ackland, T.,(1981). Biomechanical effect of fatigue on 10,000 meter running technique.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s, 52, 160-166. 

  25. Gross, M.L., & Napoli, R.C.(1993). Treatment of lower extremity injuries with orthotic shoe insert. Sports Medicine, 15, 66-70. 

  26. Irrgang, j.j., Whitney S.L., Cox, E.D. (1994). Balance and proprioception for rehabilitaion of the lower extremity. Journal of sports rehabilitation, 3, 68-83. 

  27. Kaye, R.A., & Jahss, M.H.(1991). Tibialis posterior: a review of anatomy and biomechanics in relation to support of the medial longitudinal arch. Foot & Ankle, 11, 244-247. 

  28. Kitaoka, H.B., Luo, Z., An, K. (1998).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flatfoot deformity. Foot and Ankle, 19, 7, 447-451. 

  29. Lundin, T.M., Feuerbach J.W., Grabiner M.D. (1993). Effect of plantar flexor and dorsiflexor fatigue on unilateral postural control. Journal of applied Biomechanics, 9, 191-201. 

  30. Magee, D.J.(2002). Othopaedic Physical Assessment. 4th Edition, Elsevier Sciences, USA:Saunders. 

  31. Mann, R.A. (1982). Biomechanics of running. In R. P. Mack : The Foot and Leg in Running, 1-29. 

  32. Mckenzie, D.C.(1987). The role of shoe and orthotics.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23, 30-38. 

  33. Milgrom, C. (2001). The role of strain and strain rates in stress fractures. CRC Press, Boca Raton, FL, 119-129. 

  34. Mizrahi, J., Verbitsky, O., Isakov, E.(2000c). Fatigue-related loading imbalance on the shank in running. Annals of Biomedical Engineering, 28, 463-469. 

  35. Mundermann, A., Nigg, B.M., Stefanyshyn, D.J.(2003). Orthotic comfort is related to kinematic, kinetic, and EMG in recreational runners.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1710-1719. 

  36. Nachbauer, W., & Nigg, B.M.(1992). Effects of arch height and arch flattening of the foot on ground reaction forces in running.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24, 1264-1269. 

  37. Nawoczenski, D.A., & Ludewig, P.M.(1999). Electromyographic effects of foot orthotics on selected lower extrmity muscle during running. Arch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80, 540-544. 

  38. Nigg, B.M., Nurse, M.A., & Stefanyshyn, D.J.(1999). Shoe inserts and orthotics for soprts and physical activities.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31, 421-428. 

  39. Scheuffelen C, Rapp, W., Gollhofer, A., Lohrer, H. (1993). Orthotic devices in functional treatment of ankle sprain: stabilizing effects during real mov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Medicine, 14, 140-149. 

  40. Sterzing, T.F., Hennig, E.M.(1999). Measurement of plantar pressure, rearfoot motion and tibial shock during running 10km on a 400m track, 99 ISB footwear conference. 

  41. Shiba N., Kitaoka H.B., Cahalan, P.T.(1995). Shock-absorbring effect of shoe insert materials commanly used in management of lower extremity disorders. 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 310, 130-136. 

  42. Tropp, H., Ekstrand, J., Gillquist, J. (1984). Stabilometry in functional instability of the ankle and its value in predicting injury.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16, 64-66. 

  43. Yoshikawa, T., Mori, S., Santiesteban, A.J., Sun, T.C., Burr, D.B.(1994). The effect of muscle fatique on bone strain.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188, 217-233.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