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항분지의 마이오세 장기층군의 금광동층에서 산출된 메타세콰이아(Metasequoia) 화석에 대한 고찰
Discussion on the Metasequoia Fosslis from the Miocene Keumkwandong Formation of the Janggi Group, Kore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9 no.4, 2008년, pp.319 - 327  

김종헌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  최성일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상북도 포항분지에 분포하는 제3계 육성층인 장기층군의 금광동층에서 산출된 메타세콰이아 화석에 대하여 고식물학적인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낙지성(落枝性) 단지(短枝)의 화석은 대부분 Metasequoia occidentalis의 단일종에 속한다. 이 종은 하연(下延)하는 대생(對生)의 잎과 잎자루의 기부에 인편(鱗片) 갖는 특징이 있다. 이 종은 우리나라의 제3기 마이오세 식물군의 전역에서 공통적으로 많이 산출되지만, 마이오세 이후부터는 우리나라에서 화석 기록이 나타나지 않는다. 현생종의 분포와 생태로부터 판단하면, 화석 메타세콰이아는 포항 분지 주변의 수분 조건이 충분한 하천의 범람원에서 습지림을 이루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paleobotanical study of the Metasequoia has been carried out from the Miocene Keumkwangdong Formation of the non-marine Janggi Group in the Pohang Basin. As a result of this study, deciduous leafy shoots mostly belong to a single species of Metasequoia occidentalis.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장기층군에서 산출된 메타세콰이아 화석을 중심으로 형태적 특징, 생육환경, 지리적 및 지사적 분포에 대해서 알아보고 낙우송과의 유사속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김봉균, 윤선, 1982, 신생대층. 연세대학교 지질학과 동문회, 한국의 지질과 광물자원. 연세대학교 출판부, 서울, 133- 154 

  2. 김종헌, 2004, 우리나라 제3기 식물화석군에 의한 고기후의 측정. 한국과학재단 사사과정보고서, 29 p 

  3. 림경호, 장춘빈, 권정림, 리혜원, 리현수, 김창건, 박정남, 1994, 조선의 화석. 과학기술출판사, 평양, 223 p 

  4. 윤선, 1998, 신생대층. 1. 제3기층. 이종혁, 원종관, 김정환, 이창진(편집), 한국의 지질, 시그마프레스, 서울, 274- 306 

  5. 이영노, 1986, 한국의 송백류. 이화여자대학교출판, 서울, 241 p 

  6. 이유대, 이영길, 1986, 한국 포항분지 신제3기층의 연구. 부산대학교 자연대학 논문집, 42, 281-297 

  7. 이창복, 2006, 원색 대한식물도감. (2판) 상. 1. 양치 및 나 자식물. 향문사, 914 p 

  8. 전희영, 1982, 포항분지에 분포하는 제3기층군의 고식물군 연구. 한국동력자원연구소 조사연구보고 14, 298 p 

  9. 전희영, 이호영, 봉필윤, 백인성, 1983, 포항분지(형산강 이북 지역)의 층서고생물 연구. 한국동력자원연구소, 102 p 

  10. 전희영, 김동학, 엄상호, 봉필윤, 이호영, 최성자, 김유봉, 김복철, 권영인, 이동영, 박영수, 최영섭, 1990, 한반도 진화생물에 의한 퇴적분지연구(III). 과학기술처, KR-91- (T)-17, 145 p 

  11. 정철환, 최덕근, 1993, 포항지역 연일층군(마이오세)에서 산 출된 포자화분 화석군의 고기후적 의미. 한국고생물학회지, 9, 143-154 

  12. 최성일, 2007, 경북 제3기 장기층군에서 산출된 메타세콰이 아의 생태적 특징과 지사적 분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33 p 

  13. Ablaev, A.G., Sin, E.U., Vassiliev, I.G., and Lu, Z.M., 1993, Miocene of the North Korea and the South Primorye (beds with Engelhardia). Feb Ran, 1-140. (in Russian) 

  14. Aichi Kawa Petrified Forest Investigation Committee, 1993, Petrified Forest occurred in the Aichi Kawa and its Paleoenvironmental Reconstruction. Investigation Committee Report for Biwa Lake Museum Opening Preparation. no. 1, 129 p. (in Japanese) 

  15. Bartholomew, B., Boufford, D.E., and Spongberg, S.A., 1983, Metasequoia glyptostroboides-its present status in Central China. Journal of Arnold Arboretum, 64, 105- 128 

  16. Basinger, J.E., 1991, The vegetative body of Metasequoia milleri from the Middle Miocene of southern British Columbia. Canada Journal of Botany, 59, 2379-2410 

  17. Chaney, R.W., 1951, A revision of fossil Sequoia and Taxodium in western north America based on the recent discovery of Metasequoia. Transaction of American Philosophy of Society, 40, 171-263 

  18. Editorial Committee on Vegetation of China, 1980, Vegetation of China. Science Press, Beijing, China, 137 p. (in Chinese) 

  19. Florin, R., 1963, The distribution of conifer and taxad genera in time and space. Acta Horti Bergiani, 20, 121- 312 

  20. Fuzimoto, O., Kimura, T., and Furuyama, H., 1971, On the study of the Metasequoia forest discovered from the Kitaasa river table of Hachiozi in Japan's Private School Educational Study and Investigation Material, 10, 31 p. (in Japanese) 

  21. Horita, S., 1989, History of Geology 24 Recitation. Tokai University Press, Tokyo, Japan, 254 p. (in Japanese) 

  22. Hu, S.Y., 1980, The Metasequoia flora and its phytogeographic significance. Journal of Arnold Arboretum, 61, 41-94 

  23. Hu, S.Y. and Cheng, W.C., 1948, On the new family Metasequoiaceae and on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a living species of the genus Metasequoia found in Szechuan and Hupeh. Bullitin of Fan Institute of Biology, 1, 153-166 

  24. Huzioka, K., 1972, The Tertiary floras of Korea. Journal of Mining College, Akita University, Ser. A, 5, 1-83 

  25. Ichimura, T., 1928, Tongcheon anthracite coal field. Geological Report of Coal-Fields in Korea. 3 (in Japanese) 

  26. Jeong, E.K., Kim, K.S., Kim, J.H., and Suzuki, M., 2003, Comparison of Korean and Japanese Tertiary fossil wood floras with special references to the genus Wataria. Geosciences Journal, 7, 157-161 

  27. Jeong, E.K., Kim, K.S., Kim, J.H., and Suzuki, M., 2004, Fossil woods from Janggi Group (Early Miocene) in Pohang Basin, Korea. Journal of Plant Research, 117, 183-189 

  28. Kanehara, K., 1936, The geology of the northern part of Geizitu District, North Keisyodo, Korea.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Japan, 43, 73-103. (in Japanese) 

  29. Kim, B.K., 1984, Cenozoic biostratigraphy of South Korea.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46, 85-96 

  30. Kim, B.K., Cheong, C.H., and Kim, S.J., 1975, Stratigraphic studies on the lignite-bearing strata distributed in the Yeongil district, North Gyeongsang-do, Korea.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1, 240-2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Kitamura., S. and Okamoto, S., 1964, Coloured illustrations of trees and shrubs of Japan. Osaka, Japan, 306 p. (in Japanese) 

  32. Kryshtofovich, A.N., 1921, Contribution to the Tertiary flora of Eastern Asia. Records of Geological Committee of the Russian Far East. To the Tertiary Flora of Chang-gi in Korea. no. 18, 1-14. (in Russian with English abstract) 

  33. Miki, S., 1941, On the change of flora in Eastern Asia since Tertiary Period (1): The clay or lignite beds flora in Japa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inus trifolia in Central Hondo. Japan Journal of Botany, 11, 237-303 

  34. Miki, S., 1951, Discovery of Metasequoia. Science of Asahi, 11, 31-34. (in Japanese) 

  35. Miki, S., 1953, On Metasequoia, fossil and living, Kyoto. Nippon Kobutsu Shuminokai Publishing, Kyoto, Japan, 141 p. (in Japanese) 

  36. Momohara, A., 1994, Paleogeography and paleobiogeography of Metasequoia. Fossils, 57, 24-30.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37. Momohra, A., Yin, K.P., Yamakawa, C., and Gu, M.X., 1993, Natural habitat of Metasequoia from the Lichuan city of Hubei Province in China. Vegetation History Research, 1, 73-80. (in Japanese) 

  38. Sympson, G.G., 1953, The Major features of evolu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NY, USA, 434 p 

  39. Tanai, T., 1978, Coniferopsida. In Huzioka, I. (ed.), Palaeontology IV. Asakura Syoten, Tokyo, Japan, 284-310. (in Japanese) 

  40. Tanai, T., 1984, Recent progress of angiosperm paleobotany. Journal of Earth Science, 93, 76-84. (in Japanese) 

  41. Tanai, T., 1988, Dajima-type floras (Miocene) in Southwestern Hokkaido and northern Part of Honshu, Japan. Bulletin of National Science Museum, Ser. C, 15, 121- 149 

  42. Tanai, T., 1991, Tertiary climate and vegetational changes in the Northern Hemisphere. Journal of Geography, 100, 951-966 

  43. Tateiwa, I., 1924, Tertiary plants from Ennichi and Choki, N. Keisho-do. Proceedings of the Chosen National History and Society, 1, 6-57. (in Japanese) 

  44. Wolfe, J.A., 1978, A paleobotanical interpretation of Ter- tiary climates in the northern Hemisphere. American Scientist, 66, 694-703 

  45. Yang, J.M., Yang, X.Y., and Liang H., 2004, The discovery of buried Metasequoia wood in Lichuan, Hubei, China, and its significance. Acta Palaeontologica Sinica, 43, 124-131. (in Chinese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