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매향' 딸기의 마그네슘 영양진단을 위한 결핍증상 및 식물체 내 한계농도 Characterization of Symptom and Determination of Tissue Critical Concentration for Diagnostic Criteria in 'Maehyang' Strawberry (Fragaria$\\times$ananassa Duch.) as Influenced by Magnesium Concentrations in the Fertigation Solution원문보기
마그네슘 시비농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매향' 딸기를 관비재배하면서 Mg의 시비수준이 생장과 결핍증상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건전생육을 유지할 수 있는 식물체 및 토양의 한계농도를 밝히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마그네슘 결핍증상은 하위엽에서 발생하였으며, 초기에 하위엽의 엽맥 사이에서 반점 형태의 황화현상이 나타난 후 점차 반점 부위가 확산되어 엽맥간 황화현상으로 발전하였다 또한 증상이 심해지면서 엽맥 사이가 검게 변하고, 하위엽 선단의 갈변 및 괴사하는 증상이 발생하였다. Mg시비농도를 조절하여 관비하고 정식 120일 후에 지상부 생육을 조사한 결과 Mg 1.0 또는 2mM의 처리에서 생육이 우수하였으며, 0.5 이하나 4mM 이상으로 Mg 시비농도를 조절한 처리의 생장이 저조해지는 경향이었다. 건물중은 마그네슘 시비농도에 대하여 3차 곡선회귀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식물체당 약 8.2g의 건물중을 생산할 때 정점이 형성되었다. 최대 생장량의 90%를 최저 한계점으로 간주하면 식물체당 7.4g 이상의 건물중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Mg 함량이 $0.30\sim0.65%$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시비해야 하며, 최적 시비농도는 약 2mM 이라고 판단하였다. 또한, 최대 생산량인 식물체당 생체중 36.2g의 90%를 최저 및 치고 한계점으로 간주 할 경우 엽병 추출액의 Mg농도가 $19\sim40mg{\cdot}kg^{-1}$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시비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마그네슘 시비농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매향' 딸기를 관비재배하면서 Mg의 시비수준이 생장과 결핍증상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건전생육을 유지할 수 있는 식물체 및 토양의 한계농도를 밝히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마그네슘 결핍증상은 하위엽에서 발생하였으며, 초기에 하위엽의 엽맥 사이에서 반점 형태의 황화현상이 나타난 후 점차 반점 부위가 확산되어 엽맥간 황화현상으로 발전하였다 또한 증상이 심해지면서 엽맥 사이가 검게 변하고, 하위엽 선단의 갈변 및 괴사하는 증상이 발생하였다. Mg시비농도를 조절하여 관비하고 정식 120일 후에 지상부 생육을 조사한 결과 Mg 1.0 또는 2mM의 처리에서 생육이 우수하였으며, 0.5 이하나 4mM 이상으로 Mg 시비농도를 조절한 처리의 생장이 저조해지는 경향이었다. 건물중은 마그네슘 시비농도에 대하여 3차 곡선회귀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식물체당 약 8.2g의 건물중을 생산할 때 정점이 형성되었다. 최대 생장량의 90%를 최저 한계점으로 간주하면 식물체당 7.4g 이상의 건물중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Mg 함량이 $0.30\sim0.65%$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시비해야 하며, 최적 시비농도는 약 2mM 이라고 판단하였다. 또한, 최대 생산량인 식물체당 생체중 36.2g의 90%를 최저 및 치고 한계점으로 간주 할 경우 엽병 추출액의 Mg농도가 $19\sim40mg{\cdot}kg^{-1}$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시비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gnesium (Mg) concentrations in nutrient solution on growth of and nutrient uptake by 'Maehyang' strawberry. Tissue analysis based on dry weight and petiole sap were also conducted to determine the threshold level in plants when Mg deficiency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gnesium (Mg) concentrations in nutrient solution on growth of and nutrient uptake by 'Maehyang' strawberry. Tissue analysis based on dry weight and petiole sap were also conducted to determine the threshold level in plants when Mg deficiency disorders developed in strawberry plants. In the Mg deficient plants, the spotted yellowing or yellowing area developed on the interveinal area of mature leaves. The dark brown color also developed on the interveinal area of mature leaves with marginal browning or marginal necrosis. The response in dry weight production of 'Maehyang' strawberry to elevated Mg concentrations in nutrient solution was quadratic and the equation is y=6.84+1.7533x-$0.9278x^2$$(R^2=0.1081^{***})$. But the Mg contents in tissue increased lineally with the equation of y=0.1764+0.1275x $(R^2=0.8307^{***})$. The trends of fresh weight production and Mg concentrations in petiole sap were also quadratic (y=24.127+7.3565x-$1.125x^2$, $R^2=0.2314^{^***}$) and linear (11.954+5.793x, $R^2=0.6869^{***}$), respectively. To prevent growth suppression, the Mg concentrations based on dry weight of above ground tissue and in petiole sap should be in the range of 0.30 to 0.65% and 19 to $40mg{\cdot}kg^{-1}$, respectively, fer the commercial production of 'Maehyang' strawberr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gnesium (Mg) concentrations in nutrient solution on growth of and nutrient uptake by 'Maehyang' strawberry. Tissue analysis based on dry weight and petiole sap were also conducted to determine the threshold level in plants when Mg deficiency disorders developed in strawberry plants. In the Mg deficient plants, the spotted yellowing or yellowing area developed on the interveinal area of mature leaves. The dark brown color also developed on the interveinal area of mature leaves with marginal browning or marginal necrosis. The response in dry weight production of 'Maehyang' strawberry to elevated Mg concentrations in nutrient solution was quadratic and the equation is y=6.84+1.7533x-$0.9278x^2$$(R^2=0.1081^{***})$. But the Mg contents in tissue increased lineally with the equation of y=0.1764+0.1275x $(R^2=0.8307^{***})$. The trends of fresh weight production and Mg concentrations in petiole sap were also quadratic (y=24.127+7.3565x-$1.125x^2$, $R^2=0.2314^{^***}$) and linear (11.954+5.793x, $R^2=0.6869^{***}$), respectively. To prevent growth suppression, the Mg concentrations based on dry weight of above ground tissue and in petiole sap should be in the range of 0.30 to 0.65% and 19 to $40mg{\cdot}kg^{-1}$, respectively, fer the commercial production of 'Maehyang' strawberr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그러나, 매향, 딸기는 국내에서 최근에 육성되어 농가에 보급되었고, 관련 분야의 선행 연구가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Mg 농도를 조절한 양액으로 관비재배하면서 결핍증상을 인위적으로 유발시켜 증상의 특징을 밝히고, 시비농도에 따른 식물 생육반응, 결핍증상 발현시기의 식물체내 무기원소 함량을 구명하여, 매향, 딸기 재배를 위한 최적 영양조건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본 연구를수행하였다.
제안 방법
) MT향 (Kim 등, 2004)을 공시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을 위해펄라이트((주) 신성) 대립(직경 2~5mm)과 소립(직경 1mm 이하)을 1: l(v/v) 비율로 혼합한 상토를 조제하고 준비된 플라스틱 포트(최상부 내경 15cm, 용적 l, 600mL)에 충진하였다. 조직배양하여 본엽이 3매인유묘를 확보한 후 잔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최대한 주의하면서 뿌리 부분을 물로 수세하여 상토를 완전히제거하였고 준비된 포트에 정식하였다.
실험을 위해펄라이트((주) 신성) 대립(직경 2~5mm)과 소립(직경 1mm 이하)을 1: l(v/v) 비율로 혼합한 상토를 조제하고 준비된 플라스틱 포트(최상부 내경 15cm, 용적 l, 600mL)에 충진하였다. 조직배양하여 본엽이 3매인유묘를 확보한 후 잔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최대한 주의하면서 뿌리 부분을 물로 수세하여 상토를 완전히제거하였고 준비된 포트에 정식하였다. 정식한 유묘는 45일간 증류수만 관수하여 토양중에 잔존할 가능성이있는 무기염을 용탈시키고 식물체 내의 무기원소 함량을 최저 수준으로 낮추었는데, 이때 일부 식물에서는가시적인 질소결핍 증상이 발현되기 시작하였다.
런너 및 꽃은 수시로 모두 제거하였다. 정식 후 120일에 지상부의 생육을 조사한 후 식물체를 수확하여 무기원소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는 관비용액의 Mg 농도를 조절하여 6처리를 두었고 각 처리당 5반복, 그리고 각 반복당 2식물체로 총 60포트를 배치하였다.
양액조성은 Hoagland 용액 (Hoagland와 Amon, 1950)을 변화시켜 Mg 농도를 0, 0.5, 1, 2, 4 및 6mM로 조절하였다(Table 1). 처리별 양액은 증류수기 (Human Science Co, Korea)를 사용하여 EC 5~7 μS•cnL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증류된 물로 조제하였으며, 이상의 농도로 양액조성 후 HC1 및 NaOH를 첨가하여 pHS- 6.
5, 1, 2, 4 및 6mM로 조절하였다(Table 1). 처리별 양액은 증류수기 (Human Science Co, Korea)를 사용하여 EC 5~7 μS•cnL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증류된 물로 조제하였으며, 이상의 농도로 양액조성 후 HC1 및 NaOH를 첨가하여 pHS- 6.0으로 조절한 후 처리하였다.
이 실험은 2007년 4월 15일부터 8월 15일까지 120일 동안 수행하였는데, 펄라이트 배지의 보수력이낮아 매주 3~4회 관수를 필요로 하였으며, 매주 1회는 양액을 지상부로부터 관주처리하고 기타 관수시에는 증류수만 공급하였다. 양액을 관주처리하거나 증류수를 공급할 경우 배수율(leaching percentage)을 20~30%로 유지하여 무기염의 상토 내 집적을 방지하였다.
양액을 관주하기 시작한 날로부터 75일 후에 생육을조사하였다. 생육조사 항목은 엽수, 엽장, 엽폭, 관부직경, 엽록소함량, 지상부 생체중 및 지상부 건물중이었다.
생육조사 항목은 엽수, 엽장, 엽폭, 관부직경, 엽록소함량, 지상부 생체중 및 지상부 건물중이었다. 관부직경은 지제부 상단 1cm를 측정하였고, 지상부의 생체중을 측정한 후 80℃ 건조기에서 48시간 동안 건조한 후 무게를 측정하여 건물중으로 삼았다. 엽록소함량은 하위엽을 측정하였는데 잎의 위치는 가장하위엽을 Chlorophyll Meter(SPAD-502, Minolta,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관부직경은 지제부 상단 1cm를 측정하였고, 지상부의 생체중을 측정한 후 80℃ 건조기에서 48시간 동안 건조한 후 무게를 측정하여 건물중으로 삼았다. 엽록소함량은 하위엽을 측정하였는데 잎의 위치는 가장하위엽을 Chlorophyll Meter(SPAD-502, Minolta,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식물체 분석을 위해 양액관주 시작일로부터 75일에각각 지상부 식물체 전체를 수확하여 분석 시료로 삼았다. 식물체는 수확 직후 0.
01N HC1 용액에 1분간 침지한 후 증류수로 수세하여 식물의 잎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이후 8(TC의 건조기에서 48시간 건조시킨 후 0.9mm체 (20mesh screen)를 통과하도록 분쇄하여 전질소(T-N) 및 무기성분 함량 분석에 이용하였다.
마그네슘의 시비농도가- 엽병의 무기원소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75일(정식 후 120일) 동안 조성된 양객을 관주하였으며 관주 2시간 경과 후하위엽의 엽병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잎의 엽병을 1mm 크기로 절단한 후 vial에 담고 생체 :증류수의 비율이 l:10(w/w)이 되도록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이후 30분을 기다렸다가 거즈를 이용하여 식물체 잔재를제거하였고, 이 용액을 분석시료로 삼았다. 추출 용액을 이용하여 원자흡광분석계 (Model 680, Shimadzu, Japan)로 Mg을 분석하였다.
엽병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잎의 엽병을 1mm 크기로 절단한 후 vial에 담고 생체 :증류수의 비율이 l:10(w/w)이 되도록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이후 30분을 기다렸다가 거즈를 이용하여 식물체 잔재를제거하였고, 이 용액을 분석시료로 삼았다.
대상 데이터
딸기 (Fragaria X ananassa Duch.) MT향 (Kim 등, 2004)을 공시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을 위해펄라이트((주) 신성) 대립(직경 2~5mm)과 소립(직경 1mm 이하)을 1: l(v/v) 비율로 혼합한 상토를 조제하고 준비된 플라스틱 포트(최상부 내경 15cm, 용적 l, 600mL)에 충진하였다.
데이터처리
마그네슘 시비농도가 식물의 생육, 무기물함량 및토양 pH 및 EC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또는 분석한 결과는 LSD검정과 회귀분석을 하였다. 회귀분석은 다항회귀분석을 통해 얻어진 1~3차항 회귀선 중최적 예측 회귀함수를 결정하기 위해 R2값과 Incremental F값이 큰 회귀식을 적용하였다.
회귀분석은 다항회귀분석을 통해 얻어진 1~3차항 회귀선 중최적 예측 회귀함수를 결정하기 위해 R2값과 Incremental F값이 큰 회귀식을 적용하였다. 통계분석은 CoStat 프로그램 (Monterey, Califdmia)으로 수행하였다.
회귀분석은 다항회귀분석을 통해 얻어진 1~3차항 회귀선 중최적 예측 회귀함수를 결정하기 위해 R2값과 Incremental F값이 큰 회귀식을 적용하였다. 통계분석은 CoStat 프로그램 (Monterey, Califdmia)으로 수행하였다.
이론/모형
전질소 함량 분석은 분쇄된 시료 0.5g을 정량한 후 Kjeldahl 방법(Eastin, 1978)으로 수행하였다. 식물체내 K, Ca, P, Mg, Fe, Mn, Zn 및 Cu의 분석은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 연구조사분석기 준(RDA, 2003) 에 준하여 Inductively Coupled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meter(Thermo Elemental Tracescan, US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5g을 정량한 후 Kjeldahl 방법(Eastin, 1978)으로 수행하였다. 식물체내 K, Ca, P, Mg, Fe, Mn, Zn 및 Cu의 분석은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 연구조사분석기 준(RDA, 2003) 에 준하여 Inductively Coupled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meter(Thermo Elemental Tracescan, US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생육조사 항목은 엽수, 엽장, 엽폭, 관부직경, 엽록소함량, 지상부 생체중 및 지상부 건물중이었다. 관부직경은 지제부 상단 1cm를 측정하였고, 지상부의 생체중을 측정한 후 80℃ 건조기에서 48시간 동안 건조한 후 무게를 측정하여 건물중으로 삼았다.
Mg 시비농도를 1 및 2mM 로 높일 경우 생육이 우수하였으나, 4mM 이상의 고농도 Mg 시비구에서는 1 및 2mM 시비구보다 생체중 및 건물중이 가벼웠다. 엽장 및 엽폭은 1~3차항의회귀관계가 성립하지 않아 경향을 찾을 수 없었으며, 엽수 및 건물중은 직선 및 2차 곡선회귀는 성립하지않고 3차 곡선회귀가 성립하여 경향을 찾을 수 있었다. 비록 Mg을 시비한 각 처리 내의 반복간 편차가 커조사한 각 생육지표에서 Mg 시비구간의 통계적인 차이를 찾을 수 없었지만, 매향, 딸기를 재배하기 위해서는, 관비용액의 Mg 농도를 1 또는 2mM로 조절하여 시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였다.
엽장 및 엽폭은 1~3차항의회귀관계가 성립하지 않아 경향을 찾을 수 없었으며, 엽수 및 건물중은 직선 및 2차 곡선회귀는 성립하지않고 3차 곡선회귀가 성립하여 경향을 찾을 수 있었다. 비록 Mg을 시비한 각 처리 내의 반복간 편차가 커조사한 각 생육지표에서 Mg 시비구간의 통계적인 차이를 찾을 수 없었지만, 매향, 딸기를 재배하기 위해서는, 관비용액의 Mg 농도를 1 또는 2mM로 조절하여 시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였다.
65%에 해당한다. 따라서 '매향' 딸기를 관비재배하면서 생장억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건물중에 기초한 Mg 함량이 0.30~0.65%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시비해야 하며, 최적 시비농도는 약 2mM이라고 판단하였다.
3건물중을 기준으로 분석할 때 수용 가능한 Mg 함량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의 딸기, 매향은 백합, 국화 또는 딸기, 여봉'보다 Mg 요구도가 높고 오이와 유사한수준에서 적정 영역이 성립한다고 판단하였다. .
마그네슘 시비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식물체 내 Ca 과 Mg 함량이 증가하였다. 마그네슘 함량은 시비농도에 직접 영향을 받아 식물체 내 함량이 증가한 원인이 되었다고 판단하였으나, Mg 시비농도 증가가 식물체 내 Ca 함량을 증가시킨 것은 예상 밖의 결과이다.
마그네슘 시비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식물체 내 Fe, Mn, Zn 및 Cu 함량^ 뚜렷하게 감소하여 Mg 시비농도 간 네 원소의 통계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Zn을제외한 세 원소의 직선회귀가 성립하였으며, 네 종류원소의 2차 곡선회귀도 성립하여 경향이 뚜렷함을 알수 있었다.
Zn을제외한 세 원소의 직선회귀가 성립하였으며, 네 종류원소의 2차 곡선회귀도 성립하여 경향이 뚜렷함을 알수 있었다. 마그네슘 시비농도 증가로 미량원소 함량이감소한 것은 두 종류 원인에 기인한 결과라고 생각되었다.
나타내었다. 마그네슘 시비농도에 대한 지상부 생체중은 2차 곡선 회귀적인 반응을 보였고 식물체당 생체중이 약 36.2g 에서 정점이 형성되었다. Bouma(1983), Ohki(1984) 및 Ulrich(1993)의 보고와 같이 최대 생장량의 90% 생장량을 생장억제를 방지할 수 있는 최저 한계점으로간주하면 식물체당 32.
마그네슘 시비농도 증가가 상토의 전기전도도를 상승시켰는데, Mg 시비농도를 높이기 위해 Mg 혼합량이 증가하고 또한 양액조성 과정에서 Mg의 상대 이온농도가 높아져 전기전도도가 높아진 원인이 되었다고 생각되었다.
Mg 무시비구는 Mg을 시비한 처리구 보다조사한 엽장과 엽폭을 제외한 모든 생육지표에서 뚜렷하게 생육이 저조하였다. Mg 시비농도를 1 및 2mM 로 높일 경우 생육이 우수하였으나, 4mM 이상의 고농도 Mg 시비구에서는 1 및 2mM 시비구보다 생체중 및 건물중이 가벼웠다. 엽장 및 엽폭은 1~3차항의회귀관계가 성립하지 않아 경향을 찾을 수 없었으며, 엽수 및 건물중은 직선 및 2차 곡선회귀는 성립하지않고 3차 곡선회귀가 성립하여 경향을 찾을 수 있었다.
후속연구
칼슘과 Mge 흡수과정에서 길항작용을 하는 대표적 원소로 알려져 있으며(Hanan, 1998; Marschner, 1995; Nelson, 2003) 일반적으로 Mg 시비량이 증가하면 Ca 홉수량이 저하하고, Ca 시비량이 증가하면 Mg 흡수량이 저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Mg시비량이 증가할 때 Ca 흡수량이 증가한 것은 원인이불분명하며 추후 보완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판단하였다.
참고문헌 (19)
Bould, C., E.J. Hewitt, and P. Needham. 1983. Diagnosis of mineral disorders in plants. Vol. 1. Principles. Her Majesty Stationery Office, London
Bouma, D. 1983. Diagnosis of mineral deficiencies in plant tests. p. 120-146. In: Encyclopedia of plant physiology Vol. 15A. Springer-Verlag, Berlin. Germany
Choi, J.M., S.K. Jeong, K.H. Cha, H.J. Chung, and K.S. Seo. 2001. Deficiency symptom, growth characteristics, and nutrient uptake of 'Nyoho' strawberry as affected by controlled magnesium concentrations in fertilizer solution. J. Kor. Soc. Hort. Sci. 42:142-146 (in Korean)
Eastin, E.F. 1978. Total nitrogen determination for plant material containing nitrate. Anal. Biochem. 85:591-594
Hanan, J.J. 1998. Greenhouses: Advanced technology for protected horticulture.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Hoagland, D.R. and D.I. Arnon. 1950. The water culture method for growing plants without soil. Univ. of Calif. Agri. Exp. Sta. Cirular 347
Kim, J.M., J.M. Choi, H.J. Chung, and D.C. Choi. 2005. Effect of magnesium concentration in fertigation solution on growth and nutrient uptake of cut chrysanthemum 'Biarritz'. J. Bio-Environ. Control 14:128-136 (in Korean)
Kim, T.I., W.S. Jang, J.H. Choi, M.H. Nam, W.S. Kim, and S.S. Lee. 2004. Breeding of 'Maehyang' strawberry for forcing culture. J. Kor. Hort. Sci. & Tech. 22:434-437
Lee, K.H. 2003. Effect of macro element concentrations in fertilizer solution on growth and nutrient uptake by Oriental hybrid lily 'Casa Blanca'. PhD Diss., Pai Chai Univ., Daejon, Korea (in Korean)
Marschner, H. 1995. Mineral nutrition of higher plants. 2nd ed. Academic Press Inc., San Diego, Calif
Morgan, J.T. and H.J. Mascagni. 1991. Environmental and soil factors affecting micronutrient deficiencies and toxicities. p. 371-425. In: R.J. Luxmoore (ed.). Micronutrient in agriculture. Soil Sci. Soc. of Amer, Inc. Madison, Wisc
Park, J.Y. 2007. Effects of application time, concentration and leaching percentage of controlled fertilizer solution on growth and mineral contents of Perilla frutesens in plug system. MS Diss., Pai Chai Univ., Daejeon, Korea (in Korean)
RDA. 2003. Agricultural science technique research investigation and analysis standard. 4th ed. Suwon, Korea (in Korean)
Saikoku, K. and T.S. Sanho. 1995. Nutritional physiology and fertilization of floral crops. Rural Culture Association. Tokyo, Japan
Ulrich, A. 1993. Potato. p. 149-156. In: W.F. Bennett (ed.). Nutrient deficiencies & toxicities in crop plants. APS Press, St. Paul, Minn
Warncke, P.D. 1986. Analysing greenhouse growth media by the saturation extraction method. Hort-Science 211:223-225
Winsor, G. and P. Adams. 1987. Diagnosis of mineral disorders in plants. Vol. 3. Glasshouse crops.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London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연구과제 타임라인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