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온 가열에 따른 섬유혼입 고강도 콘크리트의 강도특성 변화
Strength Properties of the Fiber Mixed High Strength Concrete at Elevated Temperature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8 no.5 = no.31, 2008년, pp.53 - 58  

김상식 (청주대 대학원, (주)정일구조기술사사무소) ,  김성수 (청주대학교 건축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xperimentally residual strength properties of the high strength concrete containing the hybrid of nylon and polypropylene fiber at elevated temperature. Test results showed that specimens heated up to $300^{\circ}C$ exhibited similar strength properties to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재료 조건에 NY과 PP 섬유를 하이브리드한 80 MPa급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하여 각 온도 단계별로 공시체를 가열한 다음 자연 상태로 냉각 시킨 후 압축조건의 응력-변형 관계로 탄성계수 및 압축강도를 측정, 기존 연구 결과와 비교분석 함으로써 실구조물 화재 시 구조체의 보다 정확한 잔존내력 평가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하이브리드 섬유(NY+PP) 혼입에 의해 폭렬이 방지된 고강도 콘크리트의 고온 가열에 따른 역학적 특성 변화에 대해 분석 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 연구에서는 골재의 종류 조합변화에 따른 특성에 대해 검토하였는데, 육사, 경질사암 및 석회암 등의 순으로 잔존강도를 발현하고 있고, 그래프 내에 검정 원이 본 실험의 결과로써 육사나 경질사암을 사용한 경우와 거의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김현정, 최은규, 신영수, 이차돈, 권영진;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혼입한 고강도 RC 및 SRC 압축부재의 온도분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6권, 제1호, 2006 

  2. 박찬규, 고온에서의 콘크리트 열적 특성의 변화, 콘크리트 학회지, 18권 6호, 2006 

  3. 장기현, 배장춘, 김호림, 지석원, 양성환, 한천구; 나일론 및 폴리프로필렌섬유 복합혼입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렬특성, 한국구조물진단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11권 1호, 2007 

  4. 콘크리트 연구단, 인명보호를 위한 내화성 고성능 콘크리트의 개발 및 실용화(1-10), 2007년 연차실적보고서, 2007 

  5. 화재와 콘크리트, 콘크리트학회지 특집기사, Vol. 14, No. 2, 2002 

  6. 황인성, 화재 시 고성능 콘크리트의 폭렬에 미치는 재료 및 배합요인의 영향,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12 

  7. C.G. Han, Y.S. Hwang, S.H Yang, N. Gowripalan, Performance of spalling resistance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with polypropylene fiber contents and lateral confinement,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5, 2005, pp.1747-1753 

  8. Gai-Fei Peng, Wen-Wu Yang, Jie Zhao, Ye-Feng Liu, Song-Hua Bian, Li-Hong Zhao; Explosive spalling and residual mechanical properties of fiber-toughened high-performance concrete subjected to high temperatures, Cement & Concrete Research 36, 2006, pp.723-727 

  9. Gary R. Consolazio, Michael C. McVay, Jeff W. Rish III,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pore pressures in saturated cement mortar sujected to radiant heating, ACI Materials Journal, Vol. 95, 1998, pp.525-536 

  10. Long T. Phan, High performance concrete at high temperature an overview, NIST report, 2002 

  11. NIST, Fire Performance of High-Strength Concrete: A Report of the State-of-the-Art, NIST, Dec., 1996 

  12. Pierre Kalifa, Gregoire Chene, Christophe Galle, High temperature behaviour of HPC with polypropylene fibres from spalling to microstructur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1, 2001, pp.1487-1499 

  13. 一?賢一, 川口徹, 長尾覺博 ; 高溫加熱後の高强度コンク リ?トの力學的性質におよぼす骨材の影響, 日本建築學會大會學術講演梗槪集, 2002. 8 

  14. 韓千求, 李建哲, 韓敏喆, 許榮善; 有機纖維を調合使用した高 强度コンクリ一トの爆裂防止, 日本コンクリ一ト工學協會, vol. 29, No. 2, 200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