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내 마감재료의 TVOC 방출 저감을 위한 화강섬록암 현탁액 도포효과
The Effect on the Granodiorite Suspension Coated Indoor Finishing Materials for Reduction of TVOC Emissions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8 no.5 = no.31, 2008년, pp.93 - 99  

이종규 (부경대학교 건축공학과) ,  김지현 (부경대학교 건축공학과) ,  이재용 (부경대학교 건축학부) ,  이수용 (부경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nvironment draws attention in the global community and a growing number of Koreans have interest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e importance of house environment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public. Against this backdrop, constructors have unveiled environmentally -friendly projec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새집증후군을 일으키는 문제점의 근원적 해결방안이라 할 수 있는 실내건축 마감 재료의 총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특성 및 방출 메커니즘에 대하여 고찰하고, 이러한 총 휘발성유기화합물에 의한 피해를 저감할 수 있는 화강섬록암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여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내 마감재로부터 발생하는 총 휘발성유해물질을 측정하였으며, 화강섬록암 현탁액의 유해물질 저감효과를 고찰하였다.
  • 뿐만 아니라 공기의 자연순환으로 이를 극복하지 못하는 현대 건축물의 구조를 감안한다면 강제순환이라는 에너지 소비형으로 이를 극복해야 하는데 이 또한 환경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집증후군을 일으키는 문제점의 근원적 해결방안이라 할 수 있는 실내건축 마감 재료의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특성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피해를 저감할 수 있는 화강섬록암(Granodiorite)의 활용가능성을 실험을 통해 검토하여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강동화, 바닥 난방 공간의 베이크 아웃에 의한 VOCS 방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2. 

  2. 김동한, 천연다공질 매질인 맥반석의 중금속 제거특성, 서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3. 김상식, 류기정, 실내건축자재의 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v.24 n.7, pp.213-222, 2008.7 

  4. 조연효, 신성우, 이지원, 신축 공동주택 베이크 아웃시 환기.습도 변화에 따른 실내오염물질 저감비교, 대한설비공학회 2008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702-707, 2008 

  5. 최종문, 김종민, 친환경 건축자재 D/B를 활용한 실내공기 오염물질 농도예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논문집, v.9 n.3, pp.255-261, 2007 

  6. Huang, H., Modeling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ssions and sink from building materials, Ph.D. Thesis, Concordia University, 2003 

  7. Noda K., et al., A Study on reduction effect of chemical substance emission rates from building material by using bake-out, J. Archit. Plan. Environment Eng., AIJ, n.552, pp.56-62, 2002.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