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운동 강도의 차이가 제2형 당뇨병 환자와 비만인의 초과산소 섭취량, 안정 시 대사량 및 생화학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Exercise Intensity on Excess Post Exercise Oxygen Consumption (EPOC), Resting Metabolic Rate (RMR), and Biochemical Variables in Obese and NIDDM Patien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8 no.10 = no.102, 2008년, pp.1455 - 1463  

곽이섭 (동의대학교 체육학과) ,  구우영 (동의대학교 체육학과) ,  유병인 (동의대학교 체육학과) ,  진영완 (동의대학교 특수체육학과) ,  최경석 (동의대학교 태권도학과) ,  조준용 (한국체육대학교 운동생화학실) ,  우진희 (동아대학교 체육학과) ,  황혜진 (동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various exercise intensity on Excess post exercise energy expenditure (EPEE), Resting Metabolic Rate (RMR),thyroid hormonal changes and biochemical variables in obese and NIDDM patients. The subject of the present study were divided into four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매 시기마다 에너지 기질과 피로와 관계되는 생화학 성분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각 운동 강도별 통제군의 30분간 에너지 소비량 값을 기준으로 훈련군, 비만군 및 당뇨군에게 같은 에너지 소비량 값이 나오도록 운동을 부여 한후 시기별 초과산소 섭취량 및 에너지 대사량 값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 운동 중에서도 고강도운동 보다는 저강도의 운동이 제2형 당뇨병 환자들에게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켜 당뇨병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결론적으로 당뇨병 환자에 대한 운동 강도의 변화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과 운동 후 EPOC 및 안정 시 대사량의 변화를 훈련군, 비만군과 함께 비교 분석하여 비만군을 포함하는 제2형 당뇨환자에게 운동을 이용한 운동처방에 중요한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 그리고 매 시기마다 에너지 기질과 피로와 관계되는 생화학 성분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각 운동 강도별 통제군의 30분간 에너지 소비량 값을 기준으로 훈련군, 비만군 및 당뇨군에게 같은 에너지 소비량 값이 나오도록 운동을 부여 한후 시기별 초과산소 섭취량 및 에너지 대사량 값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 서로 다른 강도의 운동이 안정 시 대사량의 변화를 나타낸다는 연구 결과에 대해 이것이 단순히 체지방의 감소와 제지방량의 증가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호르몬 수준에서 일어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갑상선 호르몬을 함께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갑상선 호르몬 중 TSH는 차이가 미미하다고 판단하여 본 연구에서는 안정 시대사량 측정 후 곧 바로 시기별 T3, T4, Free T3, 및 Free T4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 서로 다른 운동 강도의 운동 시 피로물질에 대한 변화를 보기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젖산, 암모니아와 운동에 대한 스트레스를 잘 반영하는 코티졸 호르몬을 함께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로 젖산은 고강도 운동 시기에 대한 반응으로 당뇨군에서 증가되어 있었고, 암모니아 역시 고강도 운동 시기에서 증가되어 있었다.
  • 운동 중에서도 고강도운동 보다는 낮은 강도의 운동이 제2형 당뇨병 환자들에게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켜 당뇨병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3]. 하지만 어느 정도의 운동 강도가 당뇨환자에게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 환자에 대한 운동 강도의 변화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과 운동 후 EPOC 및 안정 시 대사량의 변화를 훈련군, 비만군과 함께 비교 분석하여 비만군을 포함하는 제2형 당뇨환자에게 운동을 이용한 운동처방에 중요한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운동 처방에서 중요한 점은 일일에너지 소비량 중 활동에 의한 에너지 소비가 30% 정도이고 운동에 의한 초과산소섭취량과 안정 시 대사량이 운동의 효과에 대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운동 중 에너지 소비량 뿐 만이 아니라 운동 후 에너지 소비량과 다음날 안정 시 대사량을 함께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운동이 대사량에 미치는 영향으로 보고된 연구는 어떤 것이 있는가? 운동이 대사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선 많은 결과들이 알려져 있는데, 규칙적인 운동이 체지방량을 줄이고 제 지방량을 늘려 대사량을 증가 시킨다는 연구[16], 연령변화에 따른 근력운동이 안정 시 대사율의 증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10], 대사량 변화에 대한 운동과 다이어트의 복합작용이 안정 시 대사량 증가에 대한 연구[1], 일상 생활 습관의 변화가 안정 시 대사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근력운동을 포함하는 저항운동이 음식의 열량효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보고, 활동적인 남성에게 있어 연령의 증가에 따른 대사량의 감소가 통제군에 비해 더디게 일어난다는 연구보고와 여성에게 있어 운동의 방법과 강도가 안정 시 대사량에 미치는 데에 관한 연구보고가 있었으며, 이 연구 결과 수행된 운동의 형태보다는 운동의 강도가 안정 시 대사량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안정 시 대사량은 일일 에너지 소비량의 몇 %를 차지하는가? 안정 시 대사량은 일일 에너지 소비량의 60~70%를 차지하므로 안정 시 대사량의 증가는 비만을 포함하는 성인병 예방과 치료에 중요한 변인으로 여겨져 왔다. 안정 시 대사량은 여러 가지 변인 등에 의해 변화하는데 이 중 운동이 큰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NIDDM의 주된 특징은? 인슐린 저항성과 간에서의 글루코스 과다 분비는 제2형 당뇨병의 주된 특징인데, 특히 간에서의 글루코스 과다 분비는 고혈당증(hyperglycemia)의 원인이 된다. 이는 콜레스테롤 대사 장애와도 관련되어 VLDL, TG, LDL의 증가와 HDL의 감소를 보이며, 요산과다혈증과 통풍과도 연관되어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bdel-Hamid, T. K. 2003. Exercise and diet in obesity treatment. Med. Sci. Sports Exerc. 35, 400-413. 

  2. Adiels, M., S. O. Olofsson, M. R. Taskinen and J. Boren. 2008. Overproduction of very low-density lipoproteins is the hallmark of the dyslipidemia in the metabolic syndrome.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8, 1225-1236. 

  3. Bell, L. M., K. Watts, A. Siafarikas, A. Thompson, N. Ratnam, M. Bulsara, J. Finn, G. O'driscoll, D. J. Green, T. W. Jones and E. A. Davis. 2007. Exercise alone reduces insulin resistance in obese children independently of changes in body composition. J. Clin. Endocrinol. Metab. 92, 4230-4235. 

  4. Byrne, H. K. and J. K. Wilmore. 2001. The effects of a 20-week exercise trining program on resting metabolic rate in previously sedentary, moderately obese women. Int. J. Sport Nutr. Exerc. Metab. 11, 15-31. 

  5. Di Pietro, L., J. Dziura and S. N. Blair. Estimated change in physical activity level (PAL) and prediction of 5-year weight change in men: the Aerobics Center Longitudinal Study. 2004.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8, 1541-1547. 

  6. Earnest, C. P. 2008. Exercise interval training: An improved stimulus for improving the physiology of pre-diabetes. Med. Hypotheses. Epub ahead of print. 

  7. Gibbons, M. R., C. J. Henry, S. J. Ulijaszek and H. J. Lightowler. 2004. Intra-individual variation in RMR in older people. Br. J. Nutr. 91, 485-489. 

  8. Gill, J. M and A. R. Cooper. 2008. Physical activity and prevention of type 2 diabetes mellitus. Sport Med. 38, 807-824. 

  9. Kunwar, P. S., C. Tudorache, M. Eyckmans, R. Blust and G. De Boeck. 2008. Influence of food ration, copper exposure and exercise on the energy metabolism of common crap(Cyprinus carpio). Comp biochem. physiol. C Toxicol. Pharmacol. Epub ahead of print. 

  10. Lemmer, J. T., F. M. Ivey, A. S. Ryan, G. F. Martel, D. E. Hurlbut, J. E. Metter, J. L. Fozard, J. L. Fleg and B. F. Hurley. 2001. Effect of strength training on resting metabolic rate and physical activity: age and gender comparisons. Med. Sci. Sports Exerc. 33,532-541. 

  11. Mediano, M. F., J. S. Barbosa, R. Sichieri and R. A. Pereira. 2007. Effects of exercise on insulin sensitivity in obese women submitted to a weight loss program. Arq. Bras. Endocrinol. Metabol. 51, 993-999. 

  12. Santa-Clara, H., L. Szymanski, T. Ordille and B. Fernhall. 2006.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on resting metabolic rate in postmenopausal African American and Caucasian women. Metabolism 55, 1358-1364. 

  13. Short, K. R., J. L. Vittone, M. L. Bigelow, D. N. Proctor and K. S. Nair. 2004. Age and aerobic exercise training effects on whole body and muscle protein metabolism.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86, E92-101. 

  14. Speakman, J. R. and C. Selman. 2003. Physical activity and resting metabolic rate. Proc. Nutr. Soc. 62, 621-634. 

  15. Stiegler, P and A. Cunliffe. 2006. The role of diet and exercise for maintenance of fat-free mass and resting metabolic rate during weight loss. Sports Med. 36, 239-262. 

  16. Stromme, S. B and A. T. Hostmark. 2000. Physical activity, overweight and obesity. Tidsskr. Nor. Laegeforen. 120, 3578-3582. 

  17. Weyer, C., R. L. Walford, I. T. Harper, M. Milner, T. MacCallum, P. A. Tataranni and E. Ravussin. 2000. Energy metabolism after 2 y of energy restriction: the Biosphere 2 experiment. Am. J. Clin. Nutr. 72, 946-953. 

  18. Zhang, K., M. Sun, P. Werner, A. J. Kovera, J. Albu, F. X. Pi-Sunyer and C. N. Boozer. 2002. Sleeping metabolic rate in relation to body mass index and body composition. I. J. of Obes. 26, 376-3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