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펠트(Felt) 사용범위와 특성
The Usage and Feature in Joseon Dynasty's Felt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2 no.10, 2008년, pp.1559 - 1570  

민보라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홍나영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brought into from the economic life of nomads, the felt, the target of this study, has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of giving the functions of class symbol as well of protection against the cold and of ornamentation. Therefore, the study on how the felt was developed in Joseon Dynasty and 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게다가 氈의 주원료가 되는 질 좋은 羊毛는 조선시대 특성상 다량 생산할 수 없는 원료였기 때문에 그 희소가치성을 지닐 수 밖에 없었다. 다음의 조선시대 펠트제작실태에서 조선시대의 양 사육과 생산지에 대해 살펴보면서 이에 대한 해답을 풀어가기로 한다.
  • 이는 기본적으로 자연환경적 요인이 다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사회문화적인 요소에서 오는 차이점이 있을 것으로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의 펠트는 어떤 위치였고 상층과 하층계급에 따라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그 사회적 배경을 다각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문화를 형성하는 자연 환경적 요소, 사회 .
  • 또한 당시 조선시대의 경제와 사회문화적 특수성이 유목문화와는 다르게 전개될 수 있는 중요한 배경을 제공해주었다. 앞으로 유목사회에서 펠트의 전개 과정을 같이 비교해 본다면 더욱더 풍성한 연구 결과가 나올 수 있으리라 생각하며 다음의 연구과제로 남긴다.
  • 경제 . 문화적 요소 등 서로 다른 영역과의 연관성 속에서 어떤 영 향을 주고받았는지 파악하고 분석 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고려대학교박물관. (2008). 고려대학교박물관 명품도록. 서울: 그라픽네트 

  2. 국립민속박물관. (2005). 한민족역사도감의 생활.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3. 국립중앙박물관. (2001). 조선시대 풍속화.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4. 광주시립민속박물관. (2000). 霞川 高雲 출토유물.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5. 김경선. (1832). 燕轅直指. 임기중 편 (2001). 燕行錄全集, 71. 서울 : 동국대학교출판부 

  6. 김연옥. (1985). 한국의 기후와 문화.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7. 김종직. (1640). 畢齋集. 임정기 역. (1997).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8. 문화재관리국. (1987). 韓國의 甲胄. 서울 :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9. 문화재청. (2007). 한국의 초상화. 서울: 눌와 

  10. 박사호. (1829). 心田稿. 임기중 편 (2001). 燕行錄全集, 86. 서울 : 동국대학교 출판부 

  11. 박성훈. (2002). 한국 삼재도회. 서울: 시공사 

  12. 박지원. (1780). 熱河日記. 이상호 역 (2004). 파주: 보리 

  13. 변광석. (2001). 조선후기 시전상인 연구. 서울: 혜안 

  14. 서유구. (1827). 林園十六誌. 민속원 편집부 엮음 (2005). 서울: 민속원 

  15. 성현. (1493). 樂學軌範. 이혜구 역 (2001). 서울: 국립국악원 

  16. 양성지, 이행. (1530). 新增東國輿地勝覽. 한국고전번역원. 자료검색일 2007, 12. 13, 자료출처 http://www.minchu.or.kr 

  17. 오희문. (1539-1613). ?尾錄 . 이민수 역 (1990). 서울: 해주 오씨추탄공파종중 

  18. 유승주, 이철성. (2002). 조선후기 중국과의 무역사. 서울: 경인문화사 

  19. 유형원. (1670). 磻溪隨錄. 한장경 역 (1962). 대전: 충남대학교 

  20. 이긍익. (조선). 燃藜室記述. 민족문화추진회 역 (1976).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21. 이덕무. (조선). 靑莊館全書. 민족문화추진회 역 (1978).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22. 이미식, 송미경. (2001). 조선시대 충정관의 보존처리. 박물관보존과학, 3, 29?36 

  23. 이성시. (1999). 동아시아의 왕권과 교역. 서울: 청년사 

  24. 이익. (조선후기). 星湖僿說 민족문화추진회 역 (1976).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25. 이재. (1844). 四禮便覽. 이수영 역 (1992). 서울: 이화문화출판사 

  26. 이제신. (1629). 淸江先生?鯖?語 . 민족문화추진회 역 (1991). 大東野乘, 1.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27. 이해응. (1804). 山紀程. 임기중 역 (2001). 燕行錄全集, 66. 서울: 동국대학교 출판부 

  28. 장숙환. (2003). 전통 남자 장신구. 서울: 대원사 

  29. 정약용. (1819). 雅言覺非. 김종권 역 (1976). 서울: 일지사 

  30. 정약용. (조선후기). 茶山詩文集. 민족문화추진회 역 (1994).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31. 조영식. (2006). 제품 기호학, 제품에 얽힌 기호 이야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32. 최남선. (1947). 朝鮮常識. 최상진 역 (2007). 서울: 두리미디어 

  33. 최종남, 류근배, 박원규. (1992). 아한대 침엽수류 연륜연대기를 이용한 중부 산간지역의 고기후 복원. 한국제4기학회지, 6(1), 21?32 

  34. 한국국제교류재단. (1997). 일본소장 한국문화재. 서울: 한국국제교류재단 

  35. 홍만선. (조선). 山林經濟. 농촌진흥청 역 (2004). 수원: 농촌진흥청 

  36. 貢弊.市弊. (조선후기). 강만길 역 (1985). 韓國商業史資料叢書, 2. 서울: 여강 

  37. 田中千. (1998). 服飾事典. 東京: 同文書院 

  38. 高麗史. (조선). 고전연구실 편 (2002). 서울: 신서원 

  39. 農政書. (조선후기). 농촌진흥청 역 (2002). 수원: 농촌진흥청 

  40. 萬機要覽. (1808). 민족문화추진회 역 (1972).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41. 武藝圖譜通志. (1790). 김위현 역 (1995). 서울: 민족문화사 

  42. 三國史記. (1573). 고전연구실 역 (2000). 서울: 신서원 

  43. 尙方定例. (1752).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자료실 

  44. 承政院日記. (조선). 국사편찬위원회 역 (1977).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45. 日省錄. (1800). 민족문화추진회 역 (1998).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46. 增補文獻備考 (190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 (1996). 서울:세종대왕기념사업회 

  47. 太宗實錄. (1431). 국사편찬위원회 역 (1958). 서울: 국사편찬위원회 

  48. 世宗實錄. (1473). 국사편찬위원회 역 (1958). 서울: 국사편찬위원회 

  49. 文宗實錄. (1455).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 (1977).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50. 成宗實錄. (1499).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 (1995).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51. 燕山君日記. (1507). 민족문화추진회 역 (1972).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52. 中宗實錄. (1530). 민족문화추진회 역 (1989).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53. 宣祖實錄. (1616). 민족문화추진회 역 (1994).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54. 孝宗實錄. (1661). 민족문화추진회 역 (1994).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55. 英祖實錄. (1781).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 (1994).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56. 正祖實錄. (1805). 민족문화추진회 역 (1995).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57. 獻宗實錄. (1851).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 (1990).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58. Burkett, M. E. (1979). The art of the felt maker. Kendall: Abbot Hall Art Gallery 

  59. Huntington, E. (1915). Civilization and climate. New Haven: Yale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