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화수에서 계면활성제 임계미셀농도 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hanges of Surfactants in Magnetized Water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53 no.2, 2009년, pp.125 - 132  

이성현 (강릉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  이석근 (강릉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과 구강병리학교실) ,  전상일 (강릉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화수는 물분자의 수소결합에 의한 배열이 특이한 구조를 갖게 됨에 따라 다양한 물리 화학적 성질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자화수가 계면활성제의 임계미셀농도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s, CMC)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과 같이 관찰하였다. $25\;{^{\circ}C}$에서 전도도계(conductivity meter)를 이용하여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SDS (sodium dodecyl sulfate)와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CTAB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의 CMC를 측정하였고, 표면장력계를 사용하여 SDS와 CTAB 그리고,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Pluronic F-68의 CMC를 측정하였다. 또한 Isothermal titration calorimeter (ITC)를 이용하여 $25\;{^{\circ}C}$에서 SDS의 열량변화를 측정하여 CMC의 변화율을 측 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자화수에서 계면활성제의 CMC는 증류수에 비해 현저하게 낮아지는 경 향을 보였는데, SDS는 자화수에서 약 $2.7{\sim}6.5$% 정도 낮아짐을 보였고, CTAB는 자화수에서 약 $2.3{\sim}3.0$% 정도 낮아짐을 보였으며, Pluronic F-68은 자화수에서 약 24.2% 정도 낮아짐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gnetized water is known to have a unique pattern of hydrogen bond between water molecules, thereby producing different physicochemical properties from the ordinary water. We have examined the effect of magnetized water on the change of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s (CMC) of some surfactan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계면활성제의 CMC 형성에 대조군인 증류수와 자화수는 계면활성제 종류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영향을 주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Lielmezs, J.; Alleman, H. Thermochim Acta. 1977, 21(2), 225. 

  2. Simola, J.; Virtamo, J. J. Phys. B. 1978, 11(19), 3309 

  3. Vacek, V. Thermochim. Acta. 1980, 35(2) 181. 

  4. Zhang, Y. S.; Wu, H. W. Z. Urol. Nephrol. 1987, 80(9), 517. 

  5. Ma, Y. L. H.; Ren, S.; Ren, E. K.; Zhen, G.; Hao, Y.; Zhao, W. J. Tongji Med. Univ. 1992, 12(4), 193. 

  6. Jeon, S. I.; Kim, D-R.; Lee, S. K. J. Korean Chem Soc. 2001, 45, 2, 116. 

  7. Jeon, S. I.; Kim, D-R.; Lee, S. H.; Kim, D. S., Lee, S. K. J. Korean Chem Soc. 2002, 46, 1, 7. 

  8. K. Shinoda, Colloidal surfactants; Academic Press: New York, U. S. A., 1963. 

  9. Tokiwa, F.; Tsujii, K. J. Colloid Interface Sci., 1972, 42, 343. 

  10. Goddard, E. D.; Benson, G. C. Can. J. Chem., 1957, 35, 986 

  11. Mukerjee, P.; Mysels, K. J.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s of Aqucous Surfactants System;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Washington D. C, U. S. A., 1970. 

  12. H.Heerklotz, J.Seelig.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2000, 1508, 69. 

  13. Schimmelpfeng, J.; Dertinger, H. Bioelectromagnetics 1997, 18(2), 177. 

  14. Hazlewood, C.F.; Nichols, B. L.; Chang, D. C.; Brown, B. Johns Hopkins Med. J. 1971, 128(3), 117. 

  15. Akber, S. F. Med. Hypotheses 1997, 48(1), 71. 

  16. Akver, S. F. Eur. J. Radiol. 1989, 9(4), 198. 

  17. Rosen, M. J. Surfactants and Interfacial Phenomena; 3rd, Wiley, New York, U. S. A., 2004. 

  18. Tanford, C. The Hydrophobic Effect; Wiley, New York. U. S. A., 1972. 

  19. Lumny, R.; Eyning, H. J. Phys. Chem. 1954, 58, 110. 

  20. Jeon, S. I.; Jhon, M. S. J. Polym. Sci. Polym. Chem. Ed. 1984, 22, 3555. 

  21. Kim, W. G.; Jeon, S. I.; Jhon, M. S. J. Polym. Sci. Polym. Chem. 1987, Vol. 25, 467. 

  22. Jeon, S. I.; Andrade, J. D. J. Colloid Interface Sci. 1991, 142, 159. 

  23. Jeon, S. I.; Jhon, M. S. J. Polym. Sci. Polym. Chem. 1989, 27, 237. 

  24. Myers, D. Surfactant Science and Thechnology; VCH, New York, U. S. A., 1988. 

  25. Atkins, P. W., Physical Chemistry; Freeman and Company, San Francisco, U. S. A., 1990. 

  26. Coey, J. M. D.; Cass, S. J. Magnetism and Magnetic Materials. 2000, 209, 71. 

  27. Higashitani, K.; Oshitani, J. J. Colloid Interface Sci. 1998, 204(2), 363. 

  28. Murphy, D.; Pinho, M. N. D. J. Membrane Sci. 1995, 106, 245. 

  29. Kawagoe, M.; Takeshima, M.; Nomiya, M.; Qiu, J.; Morita, M.; Mizuno, W.; Kitano, H. Polymer, 1999, 40, 13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