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출용매에 따른 조릿대 잎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Bamboo (Sasa Borealis) Leaf Extract according to Extraction Solven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12, 2009년, pp.1640 - 1648  

박연옥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 ,  임현숙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조릿대 잎의 물과 70% 에탄올 조추출물 2종 및 70% 에탄올 조추출물의 분획 5종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정량하고, 이들 조추출물과 분획의 항산화 활성을 검증하고자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 환원력 및 지질과산화물 생성억제능을 측정하였다. 조추출물 2종의 수율은 물과 70% 에탄올 각각 8.5%와 11.4%이었다. 분획 5종의 수율은 5.1-0.6%이었으며, aqueous, n-butanol,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분획 순으로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물과 70% 에탄올 추출물은 두 조추출물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70%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분획 5종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aqueous, n-hexane 분획 순으로 많았고, chloroform 분획은 타 분획에 비해 유의성 있게 많았다. 각 분획별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ethyl acetate, chloroform, n-hexane, n-butanol, aqueous 분획 순으로 함량이 높았으며, chloroform과 ethyl acetate 분획은 타 분획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다. 물과 70% 에탄올 조추출물은 모두 BHT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거나 또는 같은 수준의 지질과산화물 생성억제능을 보였으며, 동일한 수준의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다. 다만, 전자공여능과 환원력은 BHT에 비해 낮았다. 물과 70% 에탄올 조추출물 간에 이들 항산화 활성은 다르지 않았다. 다만, 전자공여능만 일부 농도에서 70% 에탄올 조추출물이 물 조추출물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분획 5종은 모두 BHT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거나 같은 수준의 지질과산화물 생성억제능을 보였다. Chloroform과 ethyl acetate 및 n-butanol의 세 분획은 전자공여능과 SOD 유사활성도 BHT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다만, 환원력은 분획 5종 모두 BHT보다 낮았다. 조추출물 2종과 분획 5종의 전자공여능이나 SOD 유사활성, 환원력 및 지질과산화물 생성억제능 모두 본 연구에서 실험한 농도 범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했거나 또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해 조릿대 잎의 물 또는 70% 에탄올의 조추출물이나 70% 에탄올의 조추출물의 chloroform과 ethyl acetate 및 n-butanol 분획은 천연 항산화제로서 특히, 지질의 과산화를 방지하는 용도로서의 활용 가치가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성 소재로서의 식품산업 분야에 특히, 지질과산화물 생성억제능과 SOD 유사활성이 BHT보다 우수했고, 전자공여능을 보인 점은 이들 추출물이나 분획이 생체 내에서 활성산소종을 제거하고 생체막의 구성성분의 과산화를 방지하는 등 건강기능성 작용을 수행할 것이란 점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bamboo (Sasa borealis) leaf extract by measuring electron donating ability,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reducing power,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ory activity. Two crude extracts by water or 70% EtOH and five f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조릿대 잎의 물과 70% 에탄올 조추출물 2종 및 70% 에탄올 조추출물의 분획 5종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정량하고, 이들 조 추출물과 분획 의 항산화 활성을 검증하고자 전자공여능, SOD 유사 활성, 환원력 및 지질과산화물 생성억제능을 측정하였다. 조 추출물 2종의 수율은 물과 70% 에탄올 각각 8.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릿대 잎의 물 또는 70% 에탄올 조 추출물과 70% 에탄올 조추출물의 다섯 분획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하였고, 또한 이들의 수소 전자공여 능과 superoxide anion dismutase(SOD) 유사 활성, 환원력 및 지질과산화물 생성억제능 등 항산화 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Sadaki O. 1996.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and materials. Bioindustry 13: 44-50 

  2. Goldberg I. 1994. Functional Food. Chapman & Hall Press, New York, USA. p 530-550 

  3. Moini H, Parker L, Saris NL. 2002.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vities of alpha-lipoic acid and dihydrolipoic acid. Toxicol Appl Pharmacol 182: 84-90 

  4. Giles GI, Tasker KM, Jacob C. 2001. Hypothesis: the role of reactive sulfur species in oxidative stress. Free Radic Biol Med 31: 1279-1283 

  5. Andredis AA, Hazen SL, Comhair SAA, Erzurum SC. 2003. Oxidative and nitrosative events in asthma. Free Radic Biol Med 35: 213-225 

  6. Fubini B, Hubbard A. 2003.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reactive nitrogen species (RNS) generation by silica in inflammation and fibrosis. Free Radic Biol Med 34: 1507-1516 

  7. Lanuza TP. 1971. Kinitic of lipid oxidation in foods. CRC Crit Rev Food Technol 2: 355-405 

  8. Branen AL.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 anisole and butylated hydroxy toluene. J Am Oil Chem Soc 52: 59-63 

  9. Choe SY, Yang KH. 1982. Toxicological studies of antioxidants,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d butylated hydroxyanisol (BHA).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283-288 

  10. Ito N, Fukushima S, Hasegawa A, Shibata M, Ogiso T. 1983. Carcinogenecity of butylated hydroxy anisole in F344 rats. J Cancer Inst 70: 343-347 

  11. Oh JY, Choi U, Kim YS, Shin DH. 2003.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tive components from bark of Rhus javanica Linne. Korean J Food Sci Tecnol 35: 726-732 

  12. Lim DK, Choi U, Shin DH, Jeong YS. 1994. Antioxidative effect of propolis extract on palm oil and lard. Korean J Food Sci Tecnol 26: 622-626 

  13. Lim DK, Choi U, Shin DH. 1996. Antioxidative activity of some extract from Caesalpinia sappan L. Korean J Food Sci Tecnol 28: 77-82 

  14. Lee YS, Jang SM, Kim NW. 2007.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 of the Angelica dahurica roo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20-26 

  15. Choi JH, Kim DI, Park SH, Kim DW, Lee JS, Ryu KS, Lee WC. 1999. Effects of mulberry leaf extract on oxygen radicals and their scavenger enzymes in serum of rats. Korean J Seric Sci 41: 135-140 

  16. Kim SJ, Kweon DH, Lee JH. 2006. Investig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stability of ethanol extracts of licorice root (Glycyrrhiza glabra). Korean J Food Sci Tecnol 38: 584-588 

  17. Kim HJ, Jo C, Kim TH, Kim DS, Park MY, Byun MW. 2006. Biological evaluation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Eriobotrya japonica and its irradiation effe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84-690 

  18. Yoon KY, Hong JY, Nam HS, Moon YS, Shin SR. 2007. Antioxidant activities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effects of hot-water extracts from fruits of Elaeagnus multiflora Thunb. in matur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19 

  19. 허준. 2005. 동의보감. 3차 개정판. 여강출판사, 서울. p 3059- 3061 

  20. 최진규. 2005. 산야초의 효능. 한국토종약초연구학회, 서울. p 145-149 

  21. 허창걸. 2000. 북한 동의보감 약재편. 창조문화, 서울. p 288- 291 

  22. Jeong YH, Chung SY, Han AR, Sung MK, Jang DS, Lee J, Kwon YJ, Lee HJ, Seo EK. 2007. P-glycoprotein inhibitory activity of two phenolic compounds, (-)-syringaresinol and tricin from Sasa borealis. Chem Biodivers 4: 12-16 

  23. Yoon KD, Kim CY, Huh H. 2000. The flavone glycosides of Sasa borealis. Kor J Pharmacogn 31: 224-227 

  24. Park HS, Lim JH, Kim HJ, Choi HJ, Lee IS. 2007. Antioxidant flavone glycosides from the leaves of Sasa borealis. Arch Pham Res 30: 161-166 

  25. Kim JH. 2003. Cytotoxicity of Sasamorpha purpurascens extract against HL60 cells and L1210 cells with alterations of ROS scavenging enzymes activities. M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Seoul, Korea. p 1-21 

  26. Lee MJ, Moon GS. 2003. Antioxidative effects of Korean bamboo trees, Wang-dae, Som-dae, Maengjong-JUK, Jolit-dae, O-Juk.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226-1232 

  27. Jeong EY. 2006. Effect of the Sasa borealis leaves extract on metabolic syndrome in C57BL/6J mice fed a high fat diet.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p 14-40 

  28. Kim EY. 2007. Effect of the Sasa borealis leaves extract on cytokine levels in C57/BL6J mice.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p 20-48 

  29. Hwang JY, Han JS. 2007. Inhibitory effects of Sasa borealis leaves extracts on carbohydrate digestive enzymes and postprandial hyperglycem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989-994 

  30. Park YO, Lim HS. 2007. Effects of the extract of bamboo (Sasa borealis) leaves on the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908-914 

  31. Kim MJ, Byun MW, Jang MS. 1996. Physiological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bamboo (Sasa coreana Nakai) leaves. J Korean Soc Food Nutr 25: 135-142 

  32. Gutifinger T. 1958. Polyphenols in olives. J Am Oil Chem Soc 58: 966-968 

  33. Moreno MIN, Isla MIN,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nthropharmacol 71: 109-114 

  3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120 

  35.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36. Oyaizu M. 1986. Stud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apanese J Nutr 44: 307-315 

  37. Buege JA, Aust SD.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Method Enzymol 52: 302-306 

  38. Jin TY, Park JR, Kim JH. 2004. Electron donating abilities, nitrite scavenging effect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milax china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621-625 

  39. Kim HK, Kim YE, Do JR, Lee YC, Lee BY. 1995.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0-85 

  40. Ju IO, Jung GT, Ryu J, Choi JS, Choi YG. 2005.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bamboo (Phyllostachys bambusoides Starf) extracts prepared with different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542-548 

  41. Cha JY, Kim HJ, Chung CH, Cho YS. 1999.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310-1315 

  42. Lee JH, Lee SR. 1994. Analysis of phenolic substances content on Korea plant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10-316 

  43. Moon JS, Kim SJ, Park TM. 2004. Activities of antioxidation and alcohol dehydrogenase inhibition of m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 Korean J Food Preserv 11: 201-206 

  44. Kim JY, Lee JA, Park SY. 2007. Antibacterial activities of Oenothera laciniat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255-261 

  45. Ju JC, Shin JH, Lee SJ, Cho HS, Sung NJ.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7-14 

  46. Choi SY, Cho HS, Sung NJ. 2006. The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solvent extracts from wild grape (Vitis Coignetiea) sk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961-966 

  47. 최중갑. 2006. 대나무의 항산화 성분분석. 담양 지역혁신특성화 사업(RIS) 2차년도 보고서. 전남대학교, 광주. p 2-9 

  48. Kang MJ, Shin SR, Kim K. 2002. Antioxida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ater extract from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Korean J Food Preserv 9: 253-259 

  49. Jeong CH, Bae YI, Shim KH, Choi JS. 2004.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lantain (Plantago asiatica L.)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601-1605 

  50. Lim JA, Na YS, Baek SH. 2004.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ethanol extract from Phyllostachys bambusoid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06-3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