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역단위 지표수-지하수 상호작용의 시공간적 변동분석
Analysis on the Spatial-temporal Variation of Surface-groundwater Interaction on the Watershed Basis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2 no.1, 2009년, pp.21 - 31  

김남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문연구실) ,  유상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문연구실) ,  정일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문연구실) ,  이정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문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표수-지하수 상호작용의 특성과 강도 및 방향은 지하수두, 수리전도도와 하상지형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요소들은 공간적으로 매우 불균질하여 결과적으로 상호작용은 유역 전체 물수지에도 영향을 준다. 그러나 지표수-지하수 상호작용의 시공간적인 범위나 강도에 관한 조사 및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며 대개 작은 하천 구간의 단면해석으로만 치우쳐 유역기반의 지표수-지하수 상호작용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완전연동형 지표수-지하수 결합모형인 SWAT-MODFLOW를 안양천 유역에 적용하여 하천과 대수층의 상호작용의 범위와 강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안양천 유역은 강수집중 기간을 제외하면, 연중 기저유출의 공급으로 인해 이득하천의 특성을 잘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표수-지하수 상호작용의 영향범위는 표고가 낮은 하류로 갈수록 점점 커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aracteristics, intensity and direction of groundwater.surface water interactions are controlled by groundwater head gradients, hydraulic conductivity and by the riverbed geometry. As a result of the spatial heterogeneity of these factors and the subsequent variability of the impact of these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길성 등(2006a)은 안양천 지역에 SWAT을 적용하여 유황곡선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갈수량과 필요 수량의 비교를 통해 하천유지유량을 산정하였다. 각 소하천에서의 지하수 취수가 하천수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실제 하천수량이 하천정비기본계획에서 제시된 하천유지유량보다 매우 적어 지류하천의 하천유지유량 산정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길성 등(2006b)은 안양천 중상류 지역에 대한 물수지 분석을 통해 안양천 지역 건천화의 현황과 이를 방지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수자원 계획등을 수립하여 안양천 지역의 물순환 개선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표수-지하수 교환의 시간적인 변화 뿐 아니라 공간적인 변동성을 파악하기 위해 대상 유역의 상·하류 하천 수직단면의 지하수위 변화를 살펴봄으로서 지표수와 지하수가 서로 교환되는 범위를 알아보았다.
  • 따라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하천의 길이나 폭을 가질 경우 공간적인 위치에 따라 교환량이 어떤 차이를 갖는지 알아보기 위해 유역의 상·중·하류의 대표 소유역의 단위면적당 교환량의 값을 비교해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안양시를 통과하는 대표적인 도시하천인 안양천 중상류 유역을 대상으로 완전연동형 지표수-지하수 통합모형인 SWAT-MODFLOW을 사용하여 지하수 유출입량을 평가하였다. 이는 기존에 사용된 Darcy의 법칙, 침윤계를 이용한 직접측정법, 추적자법 등의 방법(Corbett et al.

가설 설정

  • 4(b)). 또한 지하수 분수령이 유역의 경계와 같다고 가정하여 유역 경계는 No-flow Boundary로 설정하였다(Fig. 4(a)).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역에서 지하수란 무엇인가? 유역에서 지하수는 갈수기에 하천으로 흐르는 지표 수의 주요 공급원이 되고 홍수기에는 지표수가 지하수로 함양되어 지하수위에 영향을 끼치는 등 지표수와 지하수는 따로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는 상호 연결성을 가진다(Winter, 1999). 따라서 지표수와 지하수 어느 한쪽이 오염되거나 개발이 될 경우 상호간에 영향을 주며 이는 수자원의 관리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하규철 등, 2006).
지표수-지하수 상호작용의 특성과 강도 및 방향은 무엇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지표수-지하수 상호작용의 특성과 강도 및 방향은 지하수두, 수리전도도와 하상지형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요소들은 공간적으로 매우 불균질하여 결과적으로 상호작용은 유역 전체 물수지에도 영향을 준다.
완전연동형 지표수-지하수 결합모형인 SWAT-MODFLOW를 안양천 유역에 적용하여 하천과 대수층의 상호작용의 범위와 강도를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완전연동형 지표수-지하수 결합모형인 SWAT-MODFLOW를 안양천 유역에 적용하여 하천과 대수층의 상호작용의 범위와 강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안양천 유역은 강수집중 기간을 제외하면, 연중 기저유출의 공급으로 인해 이득하천의 특성을 잘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표수-지하수 상호작용의 영향범위는 표고가 낮은 하류로 갈수록 점점 커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김남원, 정일문, 원유승 (2004a). “완전 연동형 SWATMODFLOW 결합모형, (I) 모형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6호, pp. 499-507 

  2. 김남원, 정일문, 원유승 (2004b). “완전 연동형 SWAT-MODFLOW 결합모형, (II) 모형의 적용.”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6호, pp. 509-515 

  3. 김남원, 정일문, 원유승 (2006). “완전연동형 SWATMODFLOW 모형을 이용한 지표수-지하수 통합 유출모의.”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5B호, pp. 481-488 

  4. 신문주 (2006). SWAT모형을 이용한 안양천 유역의 유량확보와 수질개선에 대한 방안.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5. 안양시, 대한광업진흥공사 (2008). 안양지역 지하수 기초조사 보고서 부록 II: 자료편 

  6. 이길성, 정은성, 신문주, 김영오 (2006a). “SWAT 모형을 이용한 도시하천 상류유역의 하천유지유량 산정 방안.”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8, pp.703-716 

  7. 이길성, 정은성, 신문주, 김영오 (2006b). “도시유역의 건천화 방지를 위한 지속가능한 수자원 계획: 2. 적용.”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11호, pp.947-960 

  8. 정일문, 김남원, 이정우 (2007). “유역 유출과정과 지하수위 변동을 고려한 분포형 지하수 함양량 산정방안.”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제12권, 제5호, pp. 19-32 

  9. 정정화, 장승표, 김호일, 정연태, 허기술, 박호 (1995). “유출율 추정을 위한 토양 수문군의 분류.” 한국농공학회지, 한국농공학회, 제37권, 제6호, pp. 12-33 

  10. 하규철, 고경석, 고동찬, 염병우, 이강근 (2006). “시계열 분석을 이용한 하천수위에 따른 다심도 관정의 지하수위 변동해석.” 자원환경지질학회 논문집, 자원환경지질학회, 제39권, 제3호, pp. 269-284 

  11. Arnold, J.G., Allen, P.M., and Bernhardt G. (1993). “A comprehensive surface-groundwater flow model.” Journal of Hydrology, Vol. 142, pp. 47-69 

  12. Buttle, J.M. (1994). “Isotope hydrograph separations and rapid delivery of pre-event water from drainage basins.” Progress in physical geography, Vol. 18, No. 1 p. 16 

  13. Chaplot, V. (2005). “Impact of DEM mesh size and soil map scale on SWAT runoff, sediment, and NO3?N loads predictions.” Journal of Hydrology, Vol. 312, Issues 1-4, pp. 207-222 

  14. Corbett, D. Reide, Dillon, K., and Burnett, W. (2000). “Tracing Groundwater Flow on a Barrier Island in the North-east Gulf of Mexico.”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Vol. 51, No. 2, pp. 227-242 

  15. Fisher, S.G., Grimm, N.B., and Marti, E. (1998). “Material Spiraling in Stream Corridors: A Telescoping Ecosystem Model.” Ecosystems, Vol. 1, No. 1, pp. 19-34 

  16. Kim, N.W., Chung, I.M., Won, Y.S., and Arnold, J.G. (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integrated SWAT?MODFLOW model.” Journal of Hydrology, Vol. 356, pp. 1-16 

  17. Krause, S., Bronstert, A., and Zehe, E. (2007). “Groundwater-surface water interactions in a North German lowland floodplain - Implications for the river discharge dynamics and riparian water balance.” Journal of hydrology, Vol. 347, No. 3/4, pp. 404-417 

  18. Matthess, G. (1983). “Natural processes controlling the behaviour of contaminants in groundwater.” GeoJournal, Vol. 7, No. 5, pp. 435-443 

  19. McDonald, M.G., and Harbaugh., A.W. (1988). A Modular Three-Dimensional Finite- Difference Ground-water Flow Model. U.S. Geological Survey Techniques of Water Resources Investigations Report Book 6, Chapter A1, p. 528 

  20. Rassam, D.W., and Knight, J.H. (2007). “Groundwater head responses due to random stream stage fluctuations using basis spline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3, No. 6, pp. W06501 

  21. Winter, T.C. (1999). “Relation of stream, lakes, and wetlands to groundwater flow systems.” Journal of Hydrology, Vol. 7, pp. 28-4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