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자력시설의 Carbon-14 방사성유출물에 대한 감시배경의 조사
An Investigation on the Technical Background for Carbon-14 Monitoring in Radioactive Effluents 원문보기

방사선방어학회지 = Radiation protection :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adiation protection, v.34 no.4, 2009년, pp.195 - 200  

김희근 (한전 전력연구원) ,  공태영 (한전 전력연구원) ,  정우태 (한전 전력연구원) ,  김석태 (한전 전력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원전에서는 많은 종류의 방사성물질이 생성되어 일부는 환경으로 방사성유출물로서 배출되고 있다. 이러한 방사성유출물 중에서 탄소 동위원소인 Carbon-14는 자연에서 이미 높은 준위의 백그라운드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원전에서 Carbon-14가 배출되더라도 환경이나 일반인의 피폭방사선량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여 과거에는 배출감시와 환경감시를 수행하지 않았다. 그런데, 핵연료 제조기술 발달과 운전방법 개선으로 핵연료로부터 불활성기체와 입자방사성물질의 방출이 계속 감소하고 있다. 또한 방사선계측기술의 향상에 따라 삼중수소와 Carbon-14 같은 저준위 베타방사능 핵종의 검출준위가 낮아져, 이들 핵종이 일반인 선량평가에서 미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원자력시설에서 발생하는 Carbon-14에 대해 미국의 기술보고서와 논문 등을 검토하여 배출관리와 환경 영향평가에 대한 방사선감시의 기술적 배경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Carbon-14 방사성핵종의 배출감시 방안에 대한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luents to the environment. The activity of carbon-14, one of the radioactive effluents, in the environment is already high level and its effect on radiation exposure to the public and the environment is insignificant; thus, NPPs did not perform the carbon-14 monitoring in effluents in the past.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원전의 방사성유출물 감시와 원전 주민 선량평가에서 삼중수소와 Carbon-14 핵종은 해를 거듭할수록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원자력시설에서 발생하는 Carbon-14에 대해 외국의 기술 보고서와 논문을 검토하여 원전의 방사성유출물에 대한 배출관리와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방사선감시의 기술적 배경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원전의 방사성유출물 중의 하나인 Carbon-14 배출감시의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논문은 원자력시설에서 발생하는 Carbon-14에 대해 외국의 기술 보고서와 논문을 검토하여 원전의 방사성유출물에 대한 배출관리와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방사선감시의 기술적 배경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원전의 방사성유출물 중의 하나인 Carbon-14 배출감시의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arbon-14는 어디에서 생성되는가? 원전에서 배출되는 방사성유출물 중에서 탄소의 동위 원소인 Carbon-14는 우주선에 의해 다량 생성되기 때문에 환경에서 Carbon-14의 농도가 높게 유지되고 있다. 또한 1950-1960년대 핵실험에 의해 추가적으로 Carbon-14가 많이 생성되었고, 결과적으로 이 핵종이 환경에서 백그라운드를 더욱 높게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1].
원전의 가동 초창기에 누설됬던것은? 원자력시설에서는 많은 종류의 방사성유출물이 생성되 고, 일부는 환경으로 배출되고 있다. 특히 원전의 가동 초창기에는 핵연료 제조기술, 원전 운전 및 보수기술의 미숙으로 핵연료에서 생성된 불활성기체와 입자 방사성핵 종이 계통내로 누설되고, 이들 방사성핵종의 일부분은 방사성유출물로서 환경으로 배출되었다. 이에 따라 원전주 민에 대한 피폭방사선량에서 핵연료로부터 누설된 불활성가스와 입자방사성물질에 의한 원전 주민선량의 기여가 높게 나타났다 *.
저준위 베타방사선 방출 핵종의 중요성이 높아지게 된 배경은? 따라서 원자력시설에서 Carbon-14가 배출되더라도 환경이나 일반인의 피폭방사선량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 하였고, 이에 따라 과거에는 Carbon-14에 대한 배출감시와 환경감시의 필요성이 낮았다. 그런데, 핵연료 제조기 술의 발달로 연소 후 방사성물질을 핵연료 내에 밀봉하는 기술이 향상되었고, 원전의 운전과 보수방법의 개선으로 계통에서 환경으로 배출되는 불활성기체나 입자 방사성 물질의 방출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핵연료의 결함과 상관없이 일정하게 배출되는 삼중수 소나 Carbon-14와 같은 저준위 베타방사선 방출 핵종의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었다 *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National Council on Radiation Protection and Measurements. Carbon-14 in the Environment. NCRP Report No. 81. 1985 

  2. 한국수력원자력(주). 방사선관리연보. 2008 

  3. 한국수력원자력(주). 원자력발전소 주변 환경방사능조사 및 평가보고서. 2008 

  4. United State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Calculation of Releases of Radioactive Materials in Gaseous and Liquid Effluents from Pressurized Water Reactors. US NRC. NUREG-0017. 1976 

  5.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Cabon-14 Production in Nuclear Reactors. ORNL/NUREG/TM-12. 1977 

  6.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Public Health Consideration of Carbon-14 Discharges from the Light-Water Cooled Nuclear Power Reactor Industry. US EPA. ORP/TAD-76-3. 1976 

  7.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Health Impact Assessment of Carbon-14 Emissions from Normal Operations of Uranium Fuel Cycle Facilities. EPA-520/5-80-004. 1981 

  8. United State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Measuring, Evaluating, and Reporting Radioactivity in Solid Wastes and Releases of Radioactive Materials in Liquid and Gaseous Effluents from Light-Water-Cooled Nuclear Power Plants. US NRC. Regulatory Guide 1.21. 1974 

  9. Killough GG, Rohwer PS. A New Look at the Dosimetry of C-14 Released to the Atmosphere as Carbon Dioxide. Health Physics 1978;34:141-159 

  10. Kunz C. C-14 Discharges at Three Light-Water Reactors. Health Physics 1985;49:25-35 

  11. Indian Point Nuclear Power Plants Unit 3. Offsite Dose Calculation Manual and Annual Radiological Environmental Operating Report. 2001 

  12. Indian Point Nuclear Power Plants Unit 3. Radioactive Effluent Report (Radiological Impact on Man). Docket No. 50-286(NL-03-074). 2002 

  13. Sejkora K. Carbon-14 Monitoring in the United States. Proceeding of the 10th Annual RETS-REMP Workshop. 2001 

  14.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Review of the Release of Carbon-14 in Gaseous Form from High-Level Waste Disposal. US EPA. EPA-SAB-RAC-93-010. 1993 

  15. 한전 전력연구원, 공무국외여행보고서 - 미국원전의 방사선감시계통 성능평가 및 경보설정 기술현황 조사. TC.00NE20.O2001.363. 2001 

  16. United State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Calculation of Annual Doses to Man from Routine Releases of Reactor Effluents for the the Purpose of Evaluating Compliance with 10 CFR Part 50. US NRC. Regulatory Guide 1.109. Appendix I. 1977 

  17. United State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Measuring, Evaluating, and Reporting Radioactivity in Solid Wastes and Releases of Radioactive Materials in Liquid and Gaseous Effluents from Light-Water-Cooled Nuclear Power Plants. US RC. DG-1186 for Regulatory Guide 1.21. 2008 

  18. United State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Measuring, Evaluating, and Reporting Radioactivity in Solid Wastes and Releases of Radioactive Materials in Liquid and Gaseous Effluents from Light-Water-Cooled Nuclear Power Plants. USNRC. Regulatory Guide 1.21. 2009 

  19.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Generic Models for Use in Assessing the Impact of Discharges of Radioactive Substances to the Environment. IAEA. Safety Series No. 19. 2001 

  20. Swedish Radiation Protection Authority. Carbon-14 in Nordic BWRs - Production and Chemical Forms. SSI Report P1294.01. 2002 

  21. Swedish Radiation Protection Authority. Review of C-14 Inventory for SFR Facility. SSI Report 2002:14. 2002 

  22. Canadian Standards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lculating Derived Release Limits for Radioactive Material in Airborne and Liquid Effluents for Normal Operation of Nuclear Facilities. CAN/CSAN288.1-M87. 1987 

  23. Advisory Committee on Radiological Protection of Canada. Report of a Working Group of the ACRP - The Management of Carbon-14 in Canadian Nuclear Facilities. ACRP-14.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