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레스토랑 식공간 연출에서의 식기와 고명의 색채 조화
Tableware Coordination and Garnish Decoration for Restaurant Space Design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15 no.3, 2009년, pp.29 - 41  

유경아 (동국대학교 호텔관광경영학부 푸드 비즈니스) ,  김영국 (동국대학교 호텔관광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푸드 스타일링 잡지에 제시된 식공간 연출 사진의 내용 분석과 실제 레스토랑에서 사용하고 있는 식공간 구성 요소인 식기와 고명을 색채와 재질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식공간 연출 1,357사진은 국내 잡지인 "쿠켄"과 "행복이 가득한 집"에서 선정하였고, 레스토랑은 서울 지역 84군데를 선정하여 직접 방문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식기 재질의분석 결과, 고가 레스토랑과 식공간 연출가의 트랜드는 일치 즉, 백자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저가 레스토랑은 플라스틱 식기 사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내었다. 둘째, 식기의 색채로는 청결을 상징하는 흰색이 가장 선호되고 있었다. 음식을 무난하게 소화하고 돋보이게 하는 고급 흰색 도자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저가 레스토랑에서 흰색 플라스틱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음식 고명으로는 녹색 계열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고, 식공간 연출가들은 적색과 녹색의 보색 대비 고명도 많이 제시하고 있었다. 고가 레스토랑에서는 오방색 고명을 이용하는 경우도 많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of tableware and garnish decoration in color and material by conducting a content analysis of 1,357 pictures from food-styling magazines and a survey of 84 restaurants in Seoul. The data used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Cookand and Best Home Magazine and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able 1]은 선행 연구(홍종숙 2003; 이재희 2001; 김명란 2000; 월간도예 1997; 권영식 1995; 김성연 1989; 월간세라믹스 1988)를 통해 식기의 종류와 기능적 특성을 재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able 1]에 제시된 재질 별로 식기의 재질을 분석하고자 한다.
  • 따라서 투자 대비 경제성면에서도 음식의 시각적 모양이나 제공되는 식기도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상품의 일부임을 인지한다면 대규모 투자가 아니라도 음식의 상차림(table setting)이나 담음새(food styling)만을 전략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레스토랑의 새로운 이미지를 창출하고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김선희 200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공간 전문가들이 제안한 음식의 상차림에서 식기와 고명의 색채를 분석해 보고, 이것이 실제 레스토랑에서 사용하는 음식의 상차림에 얼마나 적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목적을 수행할 것이다.
  • 음양오행과 관련된 식생활은 식기, 상차림 등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음식 문화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전소현·김두라 2005). 따라서본 연구를 위한 색채는 오방색인 흰색, 붉은색, 녹색, 황색, 흑색과 그 혼합색으로 분류하여 음식과 식기, 고명의 색채 배색을 분석하고자 한다.
  • 둘째, 레스토랑 실증조사를 통해 실제 상업공간에서 의식기와 고명의 색채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이들 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외식사업자들에게 바람직한 음식의 상차림을 제안함으로써 푸드 코디네이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푸드 스타일링 전문 잡지에 제시된 식공간 연출 사진과 실제 레스토랑에서 사용하고 있는 식공간 구성 요소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문제점을 제시하고 식공간 전문가와 외식사업자들에게 조화로운 음식의 상차림을 제안함으로써 푸드 코디네이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 었다. 이를 위해 식공간의 중요한 구성요소인 식기와 고명을 색채와 재질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 미국의 건축학자 문과 스팬서는 색채 조화론을 종합하여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색은 반드시 여러 색이 함께 어울려져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이들 색채간의 배색 효과는 궁극적으로 색채의 조화를 목적으로 한다고 정의하였다. 하지만 단색이 가지는 이미지나 표현감을 기본적으로 이해하지 못하고는 색의 조화를 통해 질서와 완전성을 추구하고 배색된 색들이 그 대상을 돋보이게 할수 없으므로(유수연 2008), [Table 2]를 통해 기본 6색이 가지는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푸드 스타일링 잡지에 제시된 식공간 연출 사진의 내용 분석과 실제 레스토랑에서 사용하고 있는 식공간 구성 요소인 식기와 고명을 색채와 재질로 나누어 비교 분석한 결과는 무엇인가?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식기 재질의분석 결과, 고가 레스토랑과 식공간 연출가의 트랜드는 일치 즉, 백자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저가 레스토랑은 플라스틱 식기 사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내었다. 둘째, 식기의 색채로는 청결을 상징하는 흰색이 가장 선호되고 있었다. 음식을 무난하게 소화하고 돋보이게 하는 고급 흰색 도자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저가 레스토랑에서 흰색 플라스틱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음식 고명으로는 녹색 계열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고, 식공간 연출가들은 적색과 녹색의 보색 대비 고명도 많이 제시하고 있었다. 고가 레스토랑에서는 오방색 고명을 이용하는 경우도 많았다.
식기의 특성은 무엇으로 분류할 수 있는가? 식공간 연출에 있어 음식과 식기(tableware)와의 조화가 고객에게 미치는 영향이 상당히 중요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 분야의 연구는 상당히 부족하다. 식기의 특성은 색상, 형태, 크기 등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 중 특히 식기의 색상은 고객으로 하여금 음식에 대한 직접적이고 기본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게 되고, 이렇게 생겨난 이미지는 지속적으로 이어져 레스토랑이나 음식의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김선희 2006; 문은배 2001). 따라서 레스토랑에서 음식과 식기의 색 배치를 통해 긍정적 효과를 얻으려면 색의 기본적 특성을 이해하고, 색 심리를 파악한 전문적 식기 구성이 필요한 것이다.
최근 들어 서비스산업에서 물리적 환경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수행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전통적으로 서비스산업에서는 인적 서비스 부분을 중요하게 다루어 왔으나, 최근 들어 기업의 인적 서비스 수준이 높아지고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서비스산업에서 물리적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수행되고 있다(Walter 2008; 전병길 2005; 이형룡 등 2002; Brady & Cronin 2001; 이용기 등 2000; Rust & Oliver 1994). 이들 연구의 공통적인 결과를 살펴보면 기업이 쾌적하고 청결하고 아름다운 서비스 환경을 구비함으로써 고객의 쾌락적 가치를 높여주게 되고, 이는 고객의 긍정적 감정을 유발하여 전반적 소비 경험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 직·간접적으로 고객 만족과 재방문 의도를 증가시킨다는 것이다(Walter 2008; 임붕영·김형준 2004; 이유재·라선아 2003;이유재·김우철 1998; Bitner 199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