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50세 이상 남성의 생활습관 및 식습관과 골밀도와의 관계
Associations of Lifestyle Behaviors, Dietary Habit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Men Aged 50 Years and Older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2 no.1, 2009년, pp.59 - 67  

진미란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대학원) ,  김지명 (한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혜숙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남수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festyle behaviors including dietary habits are well known to play key roles in bone metabol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BMD) including age, anthropometric parameters, lifestyle behaviors, and dietary habit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들의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의 관계를 밝혀내는 일은 점차 그 발생율이 증가하고 있는 남성의 골다공증 예방을 위해 시급히 이루어져야할 과제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50세 이상 남성을 대상으로 골밀도에 따른 생활습관 및 식습관과의 관련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지역의 50세 이상의 남성 91명을 대상으로 골밀도 정상군과 골감소군에 따른 골밀도, 신체계측, 생활습관, 식습관의 차이를 파악하고 골밀도와 신체계 측인자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다공증의 유발요인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 골다공증의 유발요인은 다요인적이고 복합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성별,7) 호르몬8) 등의 유전적 요인과 함께 영양소의 섭취 상태,9) 육체적 운동10) 등의 환경적 요인이 잘 알려져 있다. 남성 골다공증은 여성의 골다공증과는 달리 서서히 골소실이 진행되는데,3) 남성 골다공증의 이차성 원인으로는 성선 기능 저하증, 낮은 체질량지수, 흡연, 알콜 과다섭취, 스테로이드 사용, 부 갑상선 기능 항진증, 육체적 저활동 등이 있다.
골격이란? 골격은 골 흡수와 골 형성이 반복되어 골 재형성이 일어나는 대사기관이다. 골격은 성장기에 꾸준히 형성되어 성장이 끝난 후 최대치를 보이다가 연령이 증가할수록 골소실이 일어나게 된다.
골격 소실에 따른 대표적인 대사성 골 질환은 무엇인가? 골격은 성장기에 꾸준히 형성되어 성장이 끝난 후 최대치를 보이다가 연령이 증가할수록 골소실이 일어나게 된다.1) 골격 소실에 따른 대표적인 대사성 골 질환인 골다공증은 여성만의 질환으로 생각되어 왔으나, 최근의 여러 역학 연구들에서 골다공증에 의한 골절이 남성에서도 적지 않게 발생함이 밝혀져2-4) 남성 골다공증도 중요한 질환으로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골밀도 감소와 골절 위험의 증가는 남성에서도 분명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Moon SJ, Kim JH. The effects of vitamin D status on bone mineral density of Korean adults. Korean J Nutr 1998;31(1): 46-61 

  2. Eastell R, Boyle IT, Compston J, Cooper C, Fogelman I, Francis RM, Hosking DJ, Purdie DW, Ralston S, Reeve J, Reid DM, Russell RG, Stevenson JC. Management of male osteoporosis: report of the UK Consensus Group. QJM 1998;91(2): 71-92 

  3. Orwoll ES. Osteoporosis in men. Endocrinol Metab Clin North Am 1998;27: 349-367 

  4. Cooper C, Campion G, Melton LJ III. Hip fracture in the elderly: a world-wide projection. Osteoporosis Int 1992;2: 285-289 

  5. Kanis JK, Melton LJ III, Christiansen C, Johnston CC, Khaltaer N. The diagnosis of osteoporosis. J Bone Miner Res 1994;9: 1137-1141 

  6. Cooper C, Atkinson EJ, O’Fallon WM, Melton LJ III. Incidence of clinically diagnosed vertebral fractures: a population-based study in Rochester, Minnesota, 1985-1989. J Bone Miner Res 1992; 7: 221-227 

  7. Riggs BL, Melton LJ.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N Engl J Med 1992; 327: 620-627 

  8. Dawson-Hughes B. Calcium and vitamin B nutritional needs of elderly women. J Nutr 1996; 126: 1165s-1167s 

  9. Anderson JJB. Nutritional advances in human bone metabolism introduction. J Nutr 1996; 126: 1150s-1152s 

  10. Mets JA, Anderson JJB, Gallagher PN. Intakes of calcium, phosphorus, and protein, and physical activity level are related to radial bone mass in young adult women. Am J Clin Nutr 1993; 58: 537-542 

  11. Oh KW, Yun EJ, Oh ES, Im JA, Lee WY, Baek KH, Kang MI, Choi MK, Yoo HJ, Park SW. Factors associated with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middle-aged men. Korean J Med 2003; 65(3): 315-322 

  12. Ahn HS, Kim SH, Lee SS.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Adolescent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life style,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Korean J Nutr 2005; 38(3): 242-250 

  13. Choi SN, Chung NY, Song CH, Kim SR. Bone density and nutrient intake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Food Culture 2007; 22(6): 841-847 

  14. World Health Organization. Assessment of fracture risk and its application to screening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WHO Technol Report Series, 843. Geneva: WHO; 1994 

  15. Harman SM, Metter EJ, Tobin JD, Pearson J, Blackman MR. Longitudinal effects of aging on serum total and free testosterone levels in healthy men. J Clin Endocrinol Metab 2001; 86: 724-731 

  16. Hannan MT, Felson DT, Dawson-Hughes B, Tucker KL, Cupples LA, Wilson PW, Kiel DP. Risk factors for longitudinal bone loss in elderly men and women. J Bone Miner Res 2000; 15: 710-720 

  17. Douhi T, Yamamoto S, Kuwahata R, Oki T, Yamasaki H, Nagata Y. Effect of non-weight-bearing body fat on bone mineral density before and after menopause. Obstet Gynecol 2000; 96(1): 13-17 

  18. Choi YH, Sung CJ. Effects of physiological factors and lifestyles on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 Nutr 2007; 40(6): 517-525 

  19. Kim KR, Kim KH, Lee EK.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in adult women-based on the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Nutr 2000; 33(3): 241-249 

  20. Sung JJ, Choi SH, Kim MH, Choi YH, Lee DH, Baek SK. A study on nutritional status maternal factors, and lifestyles according to BMD in rural post- menopausal woma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1; 6(2): 192-204 

  21. Carrenza-Lira S, Rosas M, Murillo A, Martinez N, Santos L.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Mexico City): 1. Risk factors. Intern J of Fertil Womens Med 2002; 47(1): 22-25 

  22. Seo HJ, Kim SG, Kim CS. Risk factors for bone mineral density at the calcaneus in 40-59 year-old male workers: A cross-sectional study in Korea. BMC Public Health 2008; 8: 253 

  23. Baik EC, Kim SY, Cho HG, Choi E, Lee YG, Kweon IG. Exercise pattern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women. J Korean Acad Rehab Med 1996; 20(1): 194-200 

  24. Cho JH, Jae SY, Park WH, Chang KT. Relationship of back strength and aerobic capacity to lumbar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 Sports 1997; 15(1): 76-85 

  25. Specker BL. Evidence for an interaction between calcium intake and physical activity changes in bone mineral density. J Bone Miner Res 1996; 11(10): 1539-1544 

  26. Lamichhane AP. Osteoporosis-an update. J Nepal Med Assoc 2005; 44(158): 60-66 

  27. Sneve M, Emaus N, Joakimsen RM, Jorde R.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parathyroid hormone and bone mineral density, and the impact of smoking: the Tromso Study. Eur J Endocrinol 2008; 158(3): 401-409 

  28. Grainge MJ, Coupland CA, Chilvers CE, Hosking DJ. Cigarette smoking, alcohol and caffeine consump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The Nottingham EPIC Study Group. Osteoporosis Int 1998; 8(4): 355-363 

  29. Barger-Lux MJ, Heaney RP. Caffeine and the calcium economy revisited. Osteoporosis Int 1995; 5(2): 97-102 

  30. Harris SS, Dawson-Hughes B. Caffeine and bone loss on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Am J Clin Nutr 1994; 60(4): 8573-8578 

  31. Kim MS, Koo JO.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with different age among adult women in Seou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7; 12(5): 559-568 

  32. Kim JH. Determinants of bone mineral density in adult women living in community dwellings [Master thesis]. Kyunggi: Kyunggi; 2002 

  33. Tkatch L, Rapin CH, Rizzoli R, Slosman D, Nydegger V, Vasey H, Bonjour JP. Benefits of oral protein supplementa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fracture of the proximal femur. J Am Coll Nutr 1992; 11(5): 519-525 

  34. Rapuri PB, Gallagher JC, Haynatzka V. Protein intake: effects on bone mineral density and the rate of bone loss in elderly women. Am J Clin Nutr 2003; 77(6): 1517-1525 

  35. Yu CH, Lee JS, Lee LH, Kim SH, Lee SS, Kang SA. Nutritional factors related to bone mineral density in the different age groups of Korean men. Korean J Nutr 2004; 37: 132-142 

  36. Daly RM, Brown M, Bass S, Kukuljan S, Nowson C. Calciumand vitamin $D_{3}$ -fortified milk reduces bone loss at clinically relevant skeletal sites in older men: a 2-yea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Bone Miner Res 2006; 21: 397-405 

  37. Heaney RP. Calcium needs of the elderly to reduce fracture risk. J Am Coll Nutr 2001; 20: 192s-197s 

  38. Schuete SA, Linkswiler HM. Effect on Ca and P metabolism in humans by adding meat, meat plus milk, or purified proteins plus Ca and P to a low protein diet. J Nutr 1982; 112(2): 338-34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