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물성 오메가-3계 지방산 급원인 아마씨 및 들깨의 항돌연변이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Linum usitatissimum and Perilla frutescens as Sources of Omega-3 Fatty Acids on Mutagenicity and Growth of Human Cancer Cell Line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9 no.12 = no.116, 2009년, pp.1737 - 1742  

임선영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식물 종자들 중에서 특히 $\alpha$-linolenic acid의 급원으로 대표적인 아마씨와 들깨를 중심으로 Ames 실험을 이용한 돌연변이 유발 및 인체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에 대해 비교 검토하였다. 간접돌연변이 $AFB_1$ (0.7 mg/plate)에 대해 들깨 메탄올 추출물은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돌연변이 억제효과가 증가하였다. 첨가농도 2.5 및 5 mg/plate일 때 각각 86% 및 94%의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아마씨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도 첨가농도 2.5 및 5 mg/plate일 때 각각 74% 및 75%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보였다. 직접 돌연변이인 MNNG (0.6 mg/plate)에 대한 들깨 및 아마씨 메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성 실험을 한 결과, 첨가농도 1.25 mg/plate일 때부터 활성이 나타나 5 mg/plate 일 때는 각각 78, 63%의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 대한 $AFB_1$과 MNNG의 돌연변이 유발실험에서 두 가지 종자인 들깨와 아마씨는 직접돌연변이원에 대해서보다는 간접돌연변이원에 의해 유발된 돌연변이 저해에 더 효과적이었으며 들깨에 의한 항돌연변이 효과가 더 우수하였음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 한편, 아마씨 메탄올 추출물을 0.5, 1, 2 mg/ml의 농도별로 인체 위암세포(AGS)에 처리했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증가하여 1 mg/ml 첨가농도에서 64%의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고, 2 mg/ml 농도에서 79%의 높은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들깨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도 아마씨 메탄올 추출물과 유사하게 농도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켰으며 첨가농도 2 mg/ml일 때 68%의 증식 억제효과를 살펴 볼 수가 있었다. 인체 결장암세포(HT-29)의 경우, AGS 세포에 처리했을 때처럼 아마씨 메탄올 추출물은 첨가농도 0.5 mg/ml에서부터 활성을 타나내어 첨가농도 2 mg/ml에서는 72%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들깨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첨가농도 0.5 mg/ml에서는 43%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첨가농도 2 mg/ml에서는 64%로 결장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켰다. 인체 간암세포(Hep 3B)에 의한 증식 억제효과는 이상의 암세포에 대한 효과보다 다소 낮았으나 아마씨 및 들깨 메탄올 추출물은 첨가농도 2 mg/ml에서 각각 65% 및 59%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has been known that Linum usitatissimum and Perilla frutescens are dietary sources of possible chemopreventive compounds such as lignans and $\alpha$-linolenic acid. Here, we investigated and compared the inhibitory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Linum usitatissimum and Perilla fru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Lee 등[16]도 종실 상태의 들깨 채유 후에 남는 들깨박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얻어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돈지에 첨가했을 때 높은 항산화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물 종자들 중에서 특히 a-linolenic acid의 급원으로 대표적인 아마씨와 들깨를 중심으로 Ames 실험을 이용한 돌연변이 유발 및 인체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며 아울러 상대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잘 연구되지 않았던 아마씨에 의한 항돌연변이 및 항암 활성을 들깨와 비교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mes, B. N., J. McGann, and E. Yamasaki. 1975. Method for detecting carcinogens and mutagens with the SaImonellsa/mammalian-microsome mutagenicity test. Muta. Res. 31, 347-364 

  2. Bommareddy, A., X. Zhang, D. Schrader, R. S. Kaushil, D. Zeman, D. P. Matthees, and C. Dwivedi. 2009. Effects of dietary flaxseed on intestinal tumorigenesis in Apc (Min) mouse. Nutr. Cancer 61, 276-283 

  3. Cognault, S., M. L. Jourdan, E. Germain, R. Pitavy, E. Morel, G. Durand, P. Bougnoux, and C. Lhuillery. 2000. Effect of an a-linolenic acid-rich diet on rat mammary tumor growth depends on the dietary oxidative status. Nutr. Cancer 36, 33-41 

  4. Dwivedi, c., K. Natarajan, and D. P. Mattees. 2005. Chemopreventive effects of dietary flaxseed oil on colon tumor development. Nutr. Cancer 51, 52-58 

  5. Franceschi, R. T., W. M. James, and G. Zerlauth. 1985. 1 $\alpha$ , 25-dihydroxy vitamin D3 specific regulation of growth, morphology and fibronectin and a human osteosarcoma cell line. J. Cell PhysioI. 123, 401-409 

  6. Goldburg, E., H. Nitowsky, and S. Colowick. 1965. The role of glycolysis in the growth of tumor cells. J. BioI. Chem. 240, 2791-2796 

  7. Hirose, M., A. Masuda, N. Ito, K. Kamano, and H. Okuyama. 1990. Effects of dietary perilla oil, soybean oil and safflower oil on 7,12-dimethylbenz [a] anthracene (DMBA) and l,2-dimethy-hydrazine (DMH)-induced mammary gland and colon carcinogenesis in female SD rats. Carcinogenesis 11, 731-735 

  8. Hong, E. Y., H. J. Kang, C. S. Kwon, Y. J. Nam, M. J. Suh, and J. S. Kim. Modulation of cellular quinone reductase induciblity by roasting treatment and acid hydrolysis of perilla. J. Kor. Soc. Food Sci. Nutr. 26, 186-192 

  9. Jelinska, M., A Tokarz, R. Oledzka, and A Czorniuk-Sliwa. 2003. Effects of dietary linseed, evening primose or fish oils on fatty acid and prostaglandin E2 contents in the rat livers and 7,12-dimethylbenz[a]anthracene-induced tumores. Biochim. Biophys. Acta 1637, 193-199 

  10. Karp, F., C. A Mihaliak, J. L. Harri, and R. Croteau. 1990. Monoterpene biosynthesis specificity of the hydroxylactions of (-)-limonene by enzyme preparations from peppermint (Mentha spicata), and perilla (Perilla jrutescens) leaves. Arch. Biochem. Biophys. 276, 219-226 

  11. Kelley, D. S., G. J. Nelson, C. M. Serrato, P. C. Schmidt, and L. B. Branch. 1988. Effects of type of dietary fat on indices of immune status of rabbits. J. Nutr. 118, 1376-1384 

  12. Kim, E. H. and D. H. Kim. 1981.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extracts of defatted soybean, sesame, and perilla flours in a soybean oil-water emulsion system. Kor. J. Food Sci. Technol. 13, 283-288 

  13. Kim, J. S., Y. J. Nam, and J. W. Kim. 1995. Screening of quinone reductase induces from agricultural byproducts using mouse hepatoma cell line. Kor. J. Food Sci. Technol. 27, 972-977 

  14. Komaki, C., M. Okuno, N. Onogi, H. Moriwaki, T. Kawamori, T. Tanaka, H. Mori, and Y. Muto. 1996. Synergistic suppression of azoxymethane-induced foci of colonic aberrant crypts by the combination of $\beta$ -carotene and perilla oil in rats. Carcinogenesis 17, 1897-1901 

  15. Kurowska, E. M., G. K Dresser, L. Deutsch, D. Vachon, and W. Khalil. 2003. Bioavailablity of omega-3 essential fatty acids. Prostaglandins Leukotrienes Essential Fatty Acids 68, 207-212 

  16. Lee, Y. L D. H. Shin, Y. S. Chang, and J. I. Shin. 1993. Antioxidantvie effect of some edible plant solvent extracts with various synergists. Kor. J. Food Sci. Technol. 25, 683-688 

  17. Maron, D. M. and B. N. Ames. 1983. Reversed methods for the Salmonella mutagenicity test. Muta. Res. 113, 173-215 

  18. Nagatsu, A, K Tenmaru, H. Matsuura, N. Murakami, T. Kobayashi, H. Okuyama, and J. Sakakibara. 1995. Novel antioxidants from roasted perilla seeds. Chem. Pharm. Bull. 43, 887-889 

  19. Narisawa, T., M. Takahashi, H. Kotanagi, H. Kusaka, Y. Yamazaki, H. Koyama, Y. Fukaura, Y. Nishizawa, M. Kotsugai, Y. Isoda, J. Hirano, and N. Tanida. 1991. Inhibitory effect of dietary perilla oil rich in the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 alpha-linoleic acid on colon carcinogenesis in rats. Jpn. J. Cancer Res. 82, 1089-1096 

  20. Narisawa, T., Y. Fukaura, K Yazawa, C. Ishikawa, Y. Isoda, and Y. Nishizawa. 1994. Colon cancer prevention with a small amount of dietary perilla oil high in alpha-linolenic acid in an animal model. Cancer 15, 2069-2075 

  21. Onogi, N., M. Okuno, C. Komaki, H. Moriwaki, T. Kawamori, T. Tanaka, H. Mori, and Y. Muto. 1996. Suppressing effect of perilla oil on azoxymethane-induced foci of clonic aberrant crypts in rats. Carcinogenesis 17, 1291-1296 

  22. Park W. K, B. H. Park and Y. H. Park. 2000. Encyclopedia of food and food science. Shin Kwang Publishibg Co. seoul Korea. pp. 234 

  23. Park, D. S., K I. Lee, and K Y. Park. 2001. Quantitative analysis of dietary fibers from perilla frutescens seeds and antimutagenic effect of its extracts. J. Kor. Soc. Food Sci. Nutr. 30, 900-905 

  24. Rose, D. P., J. M. Connolly, J. Rayburn, and M. Coleman. 1995. Influence of diets containing eicosapentaenoic or docosahexaenoic acid on growth and metastasis of breast cnacer cells in nude mice. J. Natl. Cancer Inst. 87, 587-592 

  25. Sandstrom, B., S. BugaeL C. Lauridsen, F. Nielsen, C. Jensen, and L. H. Skibsted. 2000. Cholesterol-lowering potential in human subjects of fat from pigs fed rapseed oil. Br. J. Nutr. 84, 143-150 

  26. Thuy, N. T., P. He, and H. Takeuchi. 2001. Comparative effect of dietary olive, safflower, and linseed oils on spontaneous liver tumorigenesis in C3H/He mice. J. Nutr. Sci. Vitaminol. (Tokyo) 47, 363-366 

  27. Tou, J. C. L. and L. U. Thompson. 1999. Exposure to flaxseed or its lignan component during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influences rat mammary gland structures. Carcinegenesis 20, 1831-1835 

  28. Wachi, AM., L. A Sinclair, R. G. Wilkinson, M. Enser, J. D. Wood, and A V. Fisher. 2002. Effect of dietary fat source and breed on the carcass composition, n-3 polyunsaturated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content of sheep meat and adipose tissue. Br. J. Nutr. 88, 697-709 

  29. Wang, L., J. Chen, and L. U. Thompson. 2005. The inhibitory effect of flaxseed on the growth and metastasis of estrogen receptor negative human breast cancer xenografts is attributed to both its lignan and oil components. Int. J. Cancerm. 116, 793-798 

  30. Watanabe, S., N. Sakai, Y. Yasui, Y. Kimura, T. Kobayashi, T. Mizutani, and H. Okuyama. 1994. A high a-linolenate diet suppresses antigen-induced immunoglobin E response and anaphylactic shock in mice. J. Nutr. 124, 1566-1573 

  31. Williams, D., M. Verghese, L. T. Walker, J. Boateng, L. Shackelford, and C. B. Chawan. 2007. Flax seed oil and flax seed meal reduce the formation of aberrant crypt foci (ACF) in azoxymethane-induced colon cancer in fisher 344 male rats. Food Chem. Toxicol. 45, 153-159 

  32. Yan, L., J. A Yee, D. Li, M. H. McGuire, and L. U. Thompson. 1998. Dietary flaxeed supplementation and experimental metastasis of melanoma cells in mice. Cancer Lett. 124, 181-186 

  33. Zaidi, N. H., P. J. O'Connor, and W. H. Butler. 1993. N-methyl-N' -nitro-N-nitrodoguamidine-induced carcinogenesis: differential pattern of upper gastointestinal tract tumours in Wistar rats after single or chronic oral dose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