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미디어 생산시간이 미디어 정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독일총선의 TV토론을 중심으로 Under the Pressure of the Topic Selection and Representation Rules of the Mass Media over the Slow Political Process Time - For Example the Televised Debate to Elections to the Federal Assembly in Germany원문보기
미디어를 통해 정책의제 설정과 정책홍보가 늘어나면서, 정치인과 정당은 미디어의 표현기법과 뉴스 생산조건에 맞춰 나가야 하는 압박을 받고 있다. 미디어의 생산조건에 맞추는 정치로 정치인들은 정책 설명을 통해 국민을 이해시키려 하기보다는 미디어를 통해 자신의 이미지를 알리기 위한 연출기법을 배우는 데 더 의존하게 된다. 정치인들의 연출기법 차용은 효과적인 정책홍보라는 원칙에 위반되지는 않지만, 정치가 미디어의 생산조건에 맞춰나가면서 점점 더 정책의제 설명보다는 이미지 연출에 의존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폴리테인먼트를 통한 정치연출은 유권자들에게 정치인 개인에 대한 평가는 물론, 정당의 정책수행 능력평가와 대의 민주주의의 정당성 확보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미디어 생산시간에 맞춘 폴리테인먼트의 강화는 숙의 민주주의의 합리적인 발전을 어렵게 만들며, 연출을 통한 가상정치의 확산이라는 불합리한 현상까지 발생시키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미디어 생산시간이 정치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지금까지 두 차례에 걸쳐 실시된 독일총선에서의 TV토론을 사례로 분석했다. 그 결과 미디어의 연출적 요소가 미디어를 통한 정치적 토론은 물론, 정치 커뮤니케이션 전 과정에 걸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미디어를 통해 정책의제 설정과 정책홍보가 늘어나면서, 정치인과 정당은 미디어의 표현기법과 뉴스 생산조건에 맞춰 나가야 하는 압박을 받고 있다. 미디어의 생산조건에 맞추는 정치로 정치인들은 정책 설명을 통해 국민을 이해시키려 하기보다는 미디어를 통해 자신의 이미지를 알리기 위한 연출기법을 배우는 데 더 의존하게 된다. 정치인들의 연출기법 차용은 효과적인 정책홍보라는 원칙에 위반되지는 않지만, 정치가 미디어의 생산조건에 맞춰나가면서 점점 더 정책의제 설명보다는 이미지 연출에 의존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폴리테인먼트를 통한 정치연출은 유권자들에게 정치인 개인에 대한 평가는 물론, 정당의 정책수행 능력평가와 대의 민주주의의 정당성 확보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미디어 생산시간에 맞춘 폴리테인먼트의 강화는 숙의 민주주의의 합리적인 발전을 어렵게 만들며, 연출을 통한 가상정치의 확산이라는 불합리한 현상까지 발생시키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미디어 생산시간이 정치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지금까지 두 차례에 걸쳐 실시된 독일총선에서의 TV토론을 사례로 분석했다. 그 결과 미디어의 연출적 요소가 미디어를 통한 정치적 토론은 물론, 정치 커뮤니케이션 전 과정에 걸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Under the pressure of the selection of topics and the presentation rules of mass media, politics in media society increasingly resort to professionalized forms of theatrical staging as a means of self-portrayal. Although these staging methods are not contradictory to what is actually going on in pol...
Under the pressure of the selection of topics and the presentation rules of mass media, politics in media society increasingly resort to professionalized forms of theatrical staging as a means of self-portrayal. Although these staging methods are not contradictory to what is actually going on in politics, they strongly advantage the tendency to focus exclusively on the staging of an event. Through their competition for public attention, politicians have been developing sophistication regarding placement and staging of events as well as regarding factual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this transformation, politics that are issue-related and based on binding decisions are being gradually transformed into symbolic politics. Moreover, through their appearance on TV, politicians first of all need to possess presentational skills which are not necessarily related to their political achievements. Still, presentational skills decide over the success in politics of those politicians. The reason is that a politician who possesses presentational skills is still being perceived as being successful even if his political achievements notedly lag behind. On the other hand, political achievements are being underrated if a politician lacks the talent to present himself in front of the media. “The staging of politics, “politainment”, on the stage of mass media is evolving into a key structure which is responsible for a new coinage of politics in all different kinds of dimensions: the selection of staff, the role of action programs and their impact for the legitimation of political acting, even in relation to therole of pivotal political institutions such as parties and parliaments in the political process. The TV debates during the Bundestag elections of the year 2002 and 2005 are being analyzed and judged as “staging of politics”(politainment). Self-dramatization in media society concerning media discourses about politics and political self-portrayal has become a basic principle of political communication. Self-dramatization is a vital challenge for adequate political communication and content-based orientation in our present media democracies.
Under the pressure of the selection of topics and the presentation rules of mass media, politics in media society increasingly resort to professionalized forms of theatrical staging as a means of self-portrayal. Although these staging methods are not contradictory to what is actually going on in politics, they strongly advantage the tendency to focus exclusively on the staging of an event. Through their competition for public attention, politicians have been developing sophistication regarding placement and staging of events as well as regarding factual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this transformation, politics that are issue-related and based on binding decisions are being gradually transformed into symbolic politics. Moreover, through their appearance on TV, politicians first of all need to possess presentational skills which are not necessarily related to their political achievements. Still, presentational skills decide over the success in politics of those politicians. The reason is that a politician who possesses presentational skills is still being perceived as being successful even if his political achievements notedly lag behind. On the other hand, political achievements are being underrated if a politician lacks the talent to present himself in front of the media. “The staging of politics, “politainment”, on the stage of mass media is evolving into a key structure which is responsible for a new coinage of politics in all different kinds of dimensions: the selection of staff, the role of action programs and their impact for the legitimation of political acting, even in relation to therole of pivotal political institutions such as parties and parliaments in the political process. The TV debates during the Bundestag elections of the year 2002 and 2005 are being analyzed and judged as “staging of politics”(politainment). Self-dramatization in media society concerning media discourses about politics and political self-portrayal has become a basic principle of political communication. Self-dramatization is a vital challenge for adequate political communication and content-based orientation in our present media democracies.
대의 민주주의 사회에서 정치는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정치 과정의 시간(Politische Prozesszeit)’이 필요하다. 정치는 다양한 이해관계를 가진 사회구성원들이 제기한 문제와 갈등을 인지하고, 토론을 통해서 해결을 위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낸다.
선거에서 처음으로 후보자 간 TV토론이 실시된 총선은 어떤총선인가?
선거에서 처음으로 후보자 간 TV토론이 실시되었던 2002년 독일총선은 전통적 의미의 대의 민주주의가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이미지와 선언적 메시지를 통한 미디어 민주주의로 이행되는 전환점이었다(Meyer, 2001). 미디어를 통해 실현되는 정치표현은 인물 중심으로 진행되며, 연극기법이 차용되어 이야깃거리를 제공했다.
미디어 생산시간이 정치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지금까지 두 차례에 걸쳐 실시된 독일총선에서의 TV토론을 사례로 분석한 결과 무엇을 알게 되었는가?
이 연구에서는 미디어 생산시간이 정치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지금까지 두 차례에 걸쳐 실시된 독일총선에서의 TV토론을 사례로 분석했다. 그 결과 미디어의 연출적 요소가 미디어를 통한 정치적 토론은 물론, 정치 커뮤니케이션 전 과정에 걸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