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06년 하계 가막만의 환경요인 변동에 따른 중형동물플랑크톤 군집의 단기 변동
Short-term Variations of Mesozooplankton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Factors in Gamak Bay during Summer, 2006 원문보기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18 no.1, 2009년, pp.21 - 32  

문성용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오현주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김숙양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hort-term variations of the meso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were investigated in Gamak Bay during summer season, 2006. The study was based on a comprehensive survey constituting from 12 stations on June 19, July 28, August 4, and August 29, respectively. Mean of temperature and chlorophyl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006년 6월.19일, 7월 28일, 8월 4일, 8월 29일까지 총 4회에 걸쳐 만조 시 정조에 정점 별 3회씩 원추형 네트(망목 200 ㎛, 망구 45 cm)를 이용하여 중형 동물플 랑크톤을 수직 으로 채 집 하였으며 , 중성 포르말린을 사용하여 최종농도가 5%가 되도록 고정하였다. 정량 분석을 위하여 유속계(Hydro-Bios model 438115, Germany)를 부착하여 여과 해수량을 측정하였다.
  • 따라서 가막만에서, 호우, 태풍 등 기상변화가 급격한 하계에 환경 변화에 따른 중형동물플랑크톤의 분포를 살펴보았고, 수괴 특성을 달리하는 12개의 정점을 선정하여 가막만 해역의 환경요인의 단기변동이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 자료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이들 환경요인들과 동물플랑크톤 군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 수질 환경요인으로는 표층과 저층을 대상으로 다항목수질측정기(YSI 6920, USA)을 이용하여 가막만의 12개 정점에서(Fig. 1) 수온, 염분, 용존산소를 측정하였다. Chlorophyll a (엽록소 a) 농도는 현장에서 취한 해수 500 ml를 공경 0.
  • 19일, 7월 28일, 8월 4일, 8월 29일까지 총 4회에 걸쳐 만조 시 정조에 정점 별 3회씩 원추형 네트(망목 200 ㎛, 망구 45 cm)를 이용하여 중형 동물플 랑크톤을 수직 으로 채 집 하였으며 , 중성 포르말린을 사용하여 최종농도가 5%가 되도록 고정하였다. 정량 분석을 위하여 유속계(Hydro-Bios model 438115, Germany)를 부착하여 여과 해수량을 측정하였다. 종 조성 및 출현 개체수의 조사에 시료의 분할이 필요할 때는 Folsom식 부차시료기를 이용하여 분할한 후, Bogorov 계수판에서 해부현미 경(Olympus SZ40)을 사용하여 가능한 종 수준까지 동정하였으며 동정되지 않은 종들은 목(order)수준까지 분류하여 계수한 후 단위 체적(1 必)당 출현 개체수로 환산하였다.
  • 정량 분석을 위하여 유속계(Hydro-Bios model 438115, Germany)를 부착하여 여과 해수량을 측정하였다. 종 조성 및 출현 개체수의 조사에 시료의 분할이 필요할 때는 Folsom식 부차시료기를 이용하여 분할한 후, Bogorov 계수판에서 해부현미 경(Olympus SZ40)을 사용하여 가능한 종 수준까지 동정하였으며 동정되지 않은 종들은 목(order)수준까지 분류하여 계수한 후 단위 체적(1 必)당 출현 개체수로 환산하였다. 중형동물플랑크톤을 동정할 때보다 세밀한 관찰이 필요한 경우는 동정에 필요한 부속지를 해부하여 고배율 광학현미경(Nikon Axiophot) 하에서 관찰하였다.
  • 종 조성 및 출현 개체수의 조사에 시료의 분할이 필요할 때는 Folsom식 부차시료기를 이용하여 분할한 후, Bogorov 계수판에서 해부현미 경(Olympus SZ40)을 사용하여 가능한 종 수준까지 동정하였으며 동정되지 않은 종들은 목(order)수준까지 분류하여 계수한 후 단위 체적(1 必)당 출현 개체수로 환산하였다. 중형동물플랑크톤을 동정할 때보다 세밀한 관찰이 필요한 경우는 동정에 필요한 부속지를 해부하여 고배율 광학현미경(Nikon Axiophot) 하에서 관찰하였다.

대상 데이터

  • 분석에 대한 각 대상의 출현 개체수 자료는 조사시기별, 종간의 심한 개체군 밀도차이에 의한 자료의 편중을 피하고 대상 자료의 분포를 정규화하기 위하여 대수변환[(loge(x+l)]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중형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정점 간 유사도 측정을 위해 Baiy-Curtis 유사도 지수를 토대로 비가중 산술평균(UPGMA)에 의하여 정점간 수지도(dendrogram)를 작성하여 군집 화하는 계보적 집괴분석(hierarchical cluster analysis)을 수행하였다.
  •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출현빈도에 대한 자료는 다변량 분석법 인 분류법 (classification)과 배열법 (ordination)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사용된 자료는 전체 출현 개체수에 순위를 정한 후 총 출현 개체수 중 상위 1% 이상 출현한 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에 대한 각 대상의 출현 개체수 자료는 조사시기별, 종간의 심한 개체군 밀도차이에 의한 자료의 편중을 피하고 대상 자료의 분포를 정규화하기 위하여 대수변환[(loge(x+l)]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 하계 가막만의 중형동물플랑크톤의 단기군집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2006년 6월 19일, 7월 28일, 8월 4일 및 8월 29일 4차례에 걸쳐 12개 정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표층의 수온과 엽록소 a 농도는 저층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만 입구보다 북서부 내만에서 높게 나타났다.

데이터처리

  • 조사시 기 에 따른 환경요인과 중형 동물플랑크톤종 조성과 출현 개체수의 변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test)을 수행하여 환경 요인들의 평균값 사이의 차이를 검정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환경요인들은 Turkey의 사후 분석(Post-Hoc analysis)을 실시하여 차이를 검정하였다. 각 조사에 이용된 통계 유의성은 p<0.
  • 분석에 대한 각 대상의 출현 개체수 자료는 조사시기별, 종간의 심한 개체군 밀도차이에 의한 자료의 편중을 피하고 대상 자료의 분포를 정규화하기 위하여 대수변환[(loge(x+l)]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중형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정점 간 유사도 측정을 위해 Baiy-Curtis 유사도 지수를 토대로 비가중 산술평균(UPGMA)에 의하여 정점간 수지도(dendrogram)를 작성하여 군집 화하는 계보적 집괴분석(hierarchical cluster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이론/모형

  • 1) 수온, 염분, 용존산소를 측정하였다. Chlorophyll a (엽록소 a) 농도는 현장에서 취한 해수 500 ml를 공경 0.45 ㎛인 Millipore membrane filter 여과지로 거른 후 Parsons")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Lee G. H., 1992, The pattern of sea water circulation in Kamak Bay, Bull. Korean Soc. Fish. Tec., 28(2), 117-131 

  2. 해양수산부, 2001, 환경관리해역 시범해역관리 시행계획 수립 연구, 275pp 

  3. Lee Y. S., Moon S. Y., 2006, The water quality in the Soho coastal seawaters of Gamak Bay before and after a Typhoon, J. Korean Soc. oceano., (The Sea), 11(3), 117-123 

  4. Yoon J. S., 1998, A study on the upwelling phenomena of anoxic bottom water (Blue tide phenomena) in the coastal areas, J. Env. Sci., 7(3), 291-299 

  5. Kim J. B., Lee S. S., Choi Y. H., Jung C. S., Lee P. Y., 2006, The characteristic of oxygen deficient water mass in Gamak Bay,. J. korean Soc. Mar. Env. 

  6. Moon S. Y., Soh H. Y., Choi S. D., Jung C. S., Kim S. Y., Lee Y. S., 2006, Effect of a low oxygen layer o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Gamak Bay, Korean J. Env. Bio., 24(3), 240-247 

  7. Hanazato T., 1997, Development of low-oxygen layer in lake and its effect on zooplankton communities, Korean J. Limnol., 30, 506-511 

  8. Stadler, Marcus, 1997, Zooplankton responses to hypoxia: behavioral patterns and survival of three species of calanoid copepods, Mar. BioI., 127, 599-607 

  9. Soh H. Y., Lee I. T., Yoon Y. H., Choi S. D., Lee S. N., Han M. 1., Kim B. S., Kang Y. H., Lee W. B., 2002, Species composition and occurrence patterns of zooplankton in Gamag Bay, Korean J. Env. Bio., 20(2), 118-129 

  10. Moon S. Y, Y oon H. S., Soh H. Y., Choi S. D., 2006, Environmental factors and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Gamak Bay, Ocean a Polar Res., 28(2), 79-94 

  11. Calbet A., Garrido S., Saiz E., Alcaraz M., Duarte C. M., 2001, Annual zooplankton succession in coasta NW Mediterranean waters: The importance of the smaller size fractions, J. Plankton Res., 23, 319-331 

  12. Parsons T. R., Matia Y., Lalli C. M., 1984,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173pp 

  13. 윤양호, 1995, 가막만 북부해역의 해양환경과 식물 플랑크톤 군집의 변동특성, 1. 식물플랑크톤 군집이 계절동태와 적조원인생물, 여수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논문집, 4, 1-15 

  14. Choi W. J., Park C. K., Lee S. M., 1994, Numerical simulation of the formation of oxygen deficient water-masses in Jinhae Bay, J. Korean Fish. Soc., 27(4), 413-433 

  15. Kimura H., Izimi M., 1994, Effect of oxygen deficiency of the sea bottom of environment of bay, Fish. Eng., 31, 41-45 

  16. Richards F. A., 1965, Anoxic basins and Fijords, In Chemical Oceanography, Vol. 1, Academic Press, 611-645 

  17. Lee Y. S., 2002, An influence of inflowing fresh water on the diatom blooms in the estern coast of Dolsan, Yosu, Korea, J. Korean Soc. Env. Eng., 24(3), 477- 488 

  18. Longhurst A. R., Seilbert D. L. R., 1972, Oceanic distribution of Evadne in the eastern Pacific (Cladocera), Crustaceana, 22, 239-248 

  19. Onbe T., 1977, The Biology of Marine Cladocerans in Warm Temperate Water. Proceedings of a Symposium on Warm Water Zooplankton, Publica. Especial, UNESCO/National Institute of Oceanography, Goa, 383-393 

  20. Roman M. R., Gauzens A. L., Rhinehart W. K., White J. R., 1993, Effects of low oxygen waters on Chesapeake Bay zooplankton, Limnol. Ocenogr., 38, 1603-1614 

  21. Keister J. E., Houde E. D., Breitburg D. L., 2000, Effects of bottom-layer hypoxia on abundances and depth distributions of organisms in Patuxent River, Chesapeake Bay, Mar. Ecol. Prog. Ser., 205, 43-59 

  22. Bollens S. M., Frost B. W., 1991, Diel vertical migrations in zooplankton: rapid individual response to predators, J. Plankton Res., 136, 1359-1365 

  23. Youn S. H., Choi J. K., 2003,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Kyeonggi Bay, J. Korean Soc. oceano. (The Sea), 8, 243-250 

  24. 이정근, 1995, 야광충(Noctiluca scintillans)의 증식과 환경조건에 관한 기초연구, 1995년 춘계 수산관련 공동학회 발표요약집, 한국수산학회지, 19-41 

  25. Uye, 1981, Fecundity studies of neritic calanoid copepods Acartia clausi Giesbrecht and A. steueri Smimov: A simple empirical model of daily egg production, J. Exp. Mar. BioI. Ecol., 50, 255-271 

  26. Uye S., Shimazu T. M., Yamamura M., Ishitobi Y., Kamiya H., 2000, Geographical and seasonal variations in mesozooplankton abundance and biomass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parameters in Lake Shinji-Ohashi River-Lake Nakanmi brackish water system, Japan. J. Mar. Sys., 26, 193-207 

  27. Soh H. Y., Suh H. L., 1993, Seasonal fluctuation of the abundance of the planktonic copepods in Kwangyang Bay, Korean J. Env. Bio., 11(1), 26-34 

  28. Park C., Lee P. G., Yang S. R., 2002, Variation of zooplankton distribution in the season and salinity gradients, J. Korean Soc. oceano. (The Sea), 7(2), 51-59 

  29. Jang M. C., Jang P. G., Shin K., Park D. W., Jang M., 2004, Seasonal varia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Gwangyang Bay, Korean J. Env. Bio., 22(s), 11-2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