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균일한 휘도를 갖는 창면의 불쾌글레어 평가실험
An Experiment of Discomfort Glare from Non-uniform Glare Source 원문보기

照明·電氣設備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23 no.2, 2009년, pp.1 - 9  

신주영 (경희대학교 건축공학과) ,  김정태 (경희대학교 건축공학과) ,  김원우 (경희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연채광은 건물 재실자에게 시각적 편안함과 쾌적함을 제공하여 건강성을 향상시키며 조명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중요한 조명환경 요소이다. 자연광에 의해 발생되는 창면에서의 글레어는 장시간 노출될 시 시각의 저하, 시각적 불쾌감의 원인이 된다. 창면에 의한 불쾌글레어 평가시에는 창면에서 글레어 광원을 어떻게 선별할 것인가가 중요한 문제이다. 기존의 불쾌글레어 평가법을 적용하더라도 글레어 광원을 한정할 방법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글레어 광원 선별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불균일한 대광원의 휘도차가 불쾌글레어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120{\times}120[cm]$의 정사각형 모형창을 제작하였다. 실험변수는 균일과 불균일한 휘도분포의 광원의 휘도비와 광원크기로 선정하였다. 실험방법은 모형창을 3분할한 후, 각기 다른 휘도비를 설정하여, 1[m], 1.5[m], 3[m] 거리에서 불쾌글레어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두 개의 결론을 얻었다. 첫째, 광원의 평균휘도가 증가할수록 불쾌글레어 평가값이 증가하였으며, 둘째, 창면 상부의 천공 부분만을 글레어 광원으로 볼 수 없으며 하부면도 블쾌글레어 평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채광창으로부터의 불쾌글레어 평가 시 글레어 광원을 선택하는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mpact of daylighting on the visual environment can improve occupant's well-being by providing visual comfort. Also, daylighting can save energy. However, glare from window can be a direct hazard to vision and can cause serious discomfort. Selecting glare source on a window plane is very important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불균일한 휘도분포를 갖는 글레어광원을 만들기 위하여 인공조명의 글레어 광원용 모형창을 제작하고 이를 3분할하여 서로 다른 휘도를 설정하였다. 그림 1에 모형창의 모습을 나타낸다.
  • 본 연구에서는 불균일한 휘도분포를 갖는 모형창의 불쾌글레어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휘도비가 서로 다른 3분할된 모형창을 제작하여 비교면 휘도비를 다르게 설정한 휘도조건과 글레어 광원의 크기조건을 변수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의 최종목표는 불균일한 휘도분포를 갖는 창 면에서 글레어광원을 선별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형창을 천공, 지물, 천공과 지물의 중간부분으로 3분할하여 불쾌글레어 평가를 진행하고 평가값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 연구를 위하여 휘도비가 서로 다른 3분할된 모형창을 제작하여 비교면 휘도비를 다르게 설정한 휘도조건과 글레어 광원의 크기조건을 변수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창면의 싱하부 휘도차가 글레어 광원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상부의 휘도를 고정시키고 각 비교면마다 균일한 휘도비 차이가 있도록 설정하였다. 또한 3 분할된 창면에서 상부를 천공, 하부를 지물, 중간부분을 천공과 지물의 교차지점이라고 가정하였다. 기준휘도별로 휘도 조절은 한지와 모조지를 이용하여 매수를 조정하면서 각각 약 0.
  • 실험조건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험을 위해 설정된 모형창의 휘도 기준은 일반적인 천공휘도가 4, 000[cd/E]에서 15,000[cdW] 사이라고 가정하여이 범위 안에서 4* , 173[cd/n (A세트) 8, 030[cd/m!](B 세트), 14, 867[cd/m'](C세트)로 각각 선정하였다. 광원휘도는 분할된 창면의 5지점을 선정하여 각각 CS-100휘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배경휘도는 모형창 주변의 20개 지점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측정하고,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IE S 008/E-2001, "Lighting of indoor work places", CIE 2001 

  2. 이진숙, 김원도, "조명광원의 휘도 및 면적 변화에 따른 불쾌글레어감의 영향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3권, 제12호, 2007 

  3. 김원우, 김정태. "창면의 상하부 휘도차에 따른 글레어 광원의 인식 변화",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2007.08 

  4. Hopkinson R.G., Bradley R.C., "A Study of glare from very large sources, Illumination Engineering, 1960, 55, pp.291 

  5. 이진숙, 김병수, 김선화, "창면불쾌글레어 평가를 위한 인공창 실험의 타당성 검토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2003.12 

  6. 김원우, 신인중, " 불균일한 휘도분포를 갖는 글레어 광원의 등가크기",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5.01 

  7. 이진숙, 김병수, 김선화, "창의 면적, 위치, 개수변화에 따른 불쾌글레어감의 영향평가", 대한건축학회 계획계, 제21권 6호, 2005 

  8. 김원우. 신인중, "채광창의 평균휘도가 불쾌글레어의 주관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004.06 

  9. 김원우, 김정태, "대광원의 상하부 휘도차가 불쾌글레어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07.10 

  10. 김원우, 신주영, 김정태, "불쾌글레어의 주관적 평가를 위한 한국어 척도 평가",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007.04, pp.367-375 

  11. CIE117-1995, "Discomfort glare in interior lighting", 1995 

  12. Hokinson R. G, "Glare from daylighting in buildings" Appl.Ergon, 1972.03, pp.206-215 

  13. Tuaycharoen N, Tregenza PR, "View and discomfort glare from windows" Lighting Res. Technol, 39-2, 2007, pp.185-200 

  14. Nazzal A., "A new evaluation method for daylight discomfort glare",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35, 2005, pp.295-306 

  15. Waters C,E., Mistrick R,G,m Bernecjer C.A, "Discomfort glare from sources of nonuniform luminance, Jillum.eng.soc, 1995, 24(2) 

  16. Wonwoo Kim, Hyun Tae Ahn, Jeong Tai Kim, "A first approach to discomfort glare in the presence of non-uniform luminance" Building and Environment, 43,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