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산소운동과 생활양식 프로그램 병행이 비만 여자청소년의 비만유래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erobic Exercise Plus Lifestyle Modification Program on Obese-Induced Metabolic Syndrome in Obese Adolescent Girl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9 no.2 = no.106, 2009년, pp.198 - 205  

박찬호 (부산대학교 체육학과) ,  박태곤 (부산대학교 체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비만 여자중학생을 대상으로 12주간 유산소운동군(AEG), 유산소운동과 생활양식수정 병행 실시군(ALG), 대조군(CG)으로 구분하여 이들의 신체구성과 대사증후군 유병률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 연구대상자 전체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48.1%로 나타났으나, 프로그램 실시 후 AEG, ALG에서 각각 33.3, 27.8%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개선되었다.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는 AEG와 ALG에서 허리둘레, TG, 혈당 및 수축기혈압이 CG보다 더 개선되었다. 그러나 HDL-C와 이완기혈압의 변화는 집단간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대사증후군의 모든 항목의 변화에서 AEG와 ALG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유산소운동과 생활양식수정 병행 실시군의 이 같은 긍정적인 변화는 생활양식수정 실시의 추가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음으로 유산소운동의 단독효과인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a 12-week aerobic exercise plus lifestyle modification on obese-induced metabolic syndrome in obese adolescent girls. A total of 52 obese adolescent girls (13-14 years old; body mass index (BMI) ${\geq}$95th percentiles for age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군다나 대사증후군의 가장 이상적인 예방과 중재방법으로 권장되어지고 있는 운동트레이닝과 생활양식수정을 병행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청소년들의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아직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산소운동과 생활양식수정을 병행한 프로그램을 12주간 비만여중생에게 실시하여 이들의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비만 여자중학생을 대상으로 12주간 유산소운동군(AEG), 유산소운동과 생활양식수정 병행 실시군(ALG), 대조군(CG)으로 구분하여 이들의 신체구성과 대사증후군 유병률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 연구대상자 전체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4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과 청소년의 비만 유병률 증가 원인은 무엇인가? 아동과 청소년비만 증가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가릴 것 없이 전 세계적인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 같은 아동과 청소년의 비만 유병률 증가 원인은 사회ㆍ경제적 여건의 향상, 운동부족, 영양과잉, 신체활동부족 등을 들 수 있다[26]. 아동과 청소년비만은 인슐린저항성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여 이상지혈증, 고혈압, 제2형 당뇨병과 같은 심혈관질환 발병 위험인자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 같은 위험인자들이 성인기까지 이어진다는 사실이 밝혀져 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이 이미 어린 나이부터 시작되고 이에는 비만이 중심 역할을 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14].
비만 여자중학생을 대상으로 12주간 유산소운동이 신체구성과 대사증후군 유병률 및 다사 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본 연구는 비만 여자중학생을 대상으로 12주간 유산소운동군(AEG), 유산소운동과 생활양식수정 병행 실시군(ALG), 대조군(CG)으로 구분하여 이들의 신체구성과 대사증후군 유병률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 연구대상자 전체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48.1%로 나타났으나, 프로그램 실시 후 AEG, ALG에서 각각 33.3, 27.8%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개선되었다.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는 AEG와 ALG에서 허리둘레, TG, 혈당 및 수축기혈압이 CG보다 더 개선되었다. 그러나 HDL-C와 이완기혈압의 변화는 집단간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대사증후군의 모든 항목의 변화에서 AEG와 ALG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유산소운동과 생활양식수정 병행 실시군의 이 같은 긍정적인 변화는 생활양식수정 실시의 추가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음으로 유산소운동의 단독 효과인 것으로 생각된다.
대사증후군은 어떠한 증상인가? 복부비만, 인슐린저항성, 고혈당증, 고요산혈증, 고혈압, 이상지혈증과 같은 대사적 위험인자들이 군집을 이루어 심혈관질환과 제2형 당뇨병 발병위험을 증가시키는 증상인 대사증후군은 결국 심장마비와 뇌졸중을 유발하여 생명을 위험하게 하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다[23]. 최근 우리나라와 미국의 국민건강영양조사보고서(12-19세 청소년)의 자료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분석한 결과 그 유병률이 각각 50%와 44%로 나타나 공중보건상 매우 심각한 문제로 부각되었다[3,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rner, P. 1995. Differences in lipolysis between human subcutaneous and omental adipose tissues. Ann. Med. 27, 435-438 

  2. Cook, S., M. Weitzman, P. Auinger, M. Nguyen, and W. H. Dietz. 2003. Prevalence of a metabolic syndrome phenotype in adolescents: finding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88-1994. Arch. Pediatr. Adolesc. Med. 157, 821-827 

  3. Cook, S., P. Auinger, C. Li, and E. S. Ford. 2008. Metabolic syndrome rates in United States adolescents,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9- 2002. J. Pediatr. 152, 165-170 

  4. Cruz, M. L., M. J. Weigensberg, T. T. Huang, G. Ball, G. Q. Shaibi, and M. I. Goran. 2004. The metabolic syndrome in overweight Hispanic youth and the role of insulin sensitivity. J. Clin. Endocrinol. Metab. 89, 108-113 

  5. Deedwania, P. C. 2004. Metabolic syndrome and vascular disease: is nature or nurture leading the new epidemic of cardiovascular disease? Circulation 109, 2-4 

  6.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2001.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J. A. M. A. 285, 2486-2497 

  7. Fappa, E., M. Yannakoulia, C. Pitsavos, I. Skoumas, S. Valourdou, and C. Stefanadis. 2008. Lifestyle intervention in the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 could we improve adherence issues? Nutrition 24, 286-291 

  8. Ferguson, M. A., B. Gutin, N. A. Le, W. Karp, M. Litaker, M. Humphries, T. Okuyama, S. Riggs, and S. Owens. 1999.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and its cessation on components of the insulin resistance syndrome in obese children.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3, 889-895 

  9. Fernandez, J. R., D. T. Redden, A. Pietrobelli, and D. B. Allison. 2004. Waist circumference percentiles in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s of African-American, European- American, and Mexican-American children and adolescents. J. Pediatr. 145, 439-444 

  10. Gudat, U., S. Bungert, F. Kemmer, and L. Heinemann. 1998. The blood glucose lowering effects of exercise and glibenclamid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Diabet. Med. 15, 194-198 

  11. Horowitz, J. F. 2003. Fatty acid mobilization from adipose tissue during exercise. Trends Endocrinol. Metab. 14, 386-392 

  12. Jeon, j. Y. and Y. S. Kwak. 2007. The Effect of 12 Weeks Combined Exercise on C-reactive protein, Adiponectin and Insulin Resistance in Obese Middle School Girls. Journal of Life Science 17, 1419-1425 

  13. Kang, H. S., B. Gutin, P. Barbeau, M. S. Litaker, J. Allison, and N. A. Le. 2002. Physical training improves insulin resistance syndrome markers in obese adolescents. Med. Sci. Sports Exerc. 34, 1920-1927 

  14. Katzmarzyk, P. T., L. Perusse, R. M. Malina, J. Bergeron, J. P. Despres, and C. Bouchard. 2001. Stability of indicators of the metabolic syndrome from childhood and adolescence to young adulthood: the Quebec Family Study. J. Clin. Epidemiol. 54, 190-195 

  15. Katzmarzyk, P. T., A. S. Leon, J. H. Wilmore, J. S. Skinner, D. C. Rao, T. Rankinen, and C. Bouchard 2003. Targeting the metabolic syndrome with exercise: evidence from the HERITAGE Family Study. Med. Sci. Sports Exerc. 35, 1703-1709 

  16. Kim, H. M., J. Park, H. S. Kim, and D. H. Kim. 2006.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olescents aged 12-19 year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 and 2001. Diabetes Res. Clin. Pract. 75, 111-114 

  17. Korean Pediatrics Society. 2007. Standard growth charts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2007 

  18. Kwak, Y. S. and D. J. Kim. 2008. The Effects of the Complex Training Program o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Rate of Changes in the Elderly Women with Cardiovascular Disease. Journal of Life Science 18, 715-723 

  19. Kwon, Y. I., T. G. Park. G. H. Park, C. H. Park, J. Y. Jeon, M. G. Choi, K. H. Lee, T. U. Kim, and Y. O. Yang. 2006.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 in obese middle school boy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5, 611-621 

  20. Liese, A. D., E. J. Mayer-Davis, and S. M. Haffner. 1998. Development of the multiple metabolic syndrome: an epidemiologic perspective. Epidemiol. Rev. 20, 157-172 

  21. Marshall, W. A. and J. M. Tanner. 1969. Variations in pattern of pubertal changes in girls. Arch. Dis. Child 44, 291-303 

  22. Maxwell, M. S., B. R. Goslin, R. L. Gellish, K. R. Hightower, R. E. Olson, V. K. Moudgil, and G. D. Russi. 2008. Metabolic syndrome status changes with fitness level change: a retrospective analysis. Metab. Syndr. Relat. Disord. 6, 8-14 

  23. Meigs, J. B. 2002. Epidemiology of the metabolic syndrome. Am. J. Manag. Care 8, 283-292 

  24. Melin, I. and S. Rossner. 2003. Practical clinical behavioral treatment of obesity. Patient Educ. Couns. 49, 75-83 

  25. Mellin, L. M. and M. Weston. 1994. Shapedown: Just for Teens! pp. 1-28, 5th eds., San Anselmo Avenue, San Anselmo 

  26. Must, A., J. Spadano, E. H. Coakley, A. E. Field, G. Colditz, and W. H. Dietz. 1999. The disease burden associated with overweight and obesity. J. A. M. A. 282, 1523-1529 

  27. Nicklas, B. J., T. You, and M. Pahor. 2005. Behavioural treatments for chronic systemic inflammation: effects of dietary weight loss and exercise training. C. M. A. J. 172, 1199-1209 

  28. Pan, Y. and C. A. Pratt. 2008. Metabolic syndrome and its association with diet and physical activity in US adolescents. J. Am. Diet. Assoc. 108, 276-286 

  29. Park, H. S., S. J. Sim, and J. Y. Park. 2004. Effect of weight reduction on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obese patients. J. Korean Med. Sci. 19, 202-208 

  30. Pescatello, L. S., B. E. Blanchard, J. L. Van Heest, C. M. Maresh, H. Gordish-Dressman, and P. D. Thompson. 2008. The metabolic syndrome and the immediate antihypertensiv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a randomized control design. in press 

  31. Reinehr, T., C. Roth, T. Menke, and W. Andler. 2004. Adiponectin before and after weight loss in obese children. J. Clin. Endocrinol. Metab. 89, 3790-3794 

  32. Rocchini, A. P., V. Katch, J. Anderson, J. Hinderliter, D. Becque, M. Martin, and C. Marks. 1988. Blood pressure in obese adolescents: effect of weight loss. Pediatrics 82, 16-23 

  33. Seip, R. L. and C. F. Semenkovich. 1998. Skeletal muscle lipoprotein lipase: molecular regulation and physiological effects in relation to exercise. Exerc. Sport Sc. Rev. 26, 191-218 

  34. Sinaiko, A. R., D. R. Jacobs, J. Steinberger, A. Moran, R. Luepker, A. P. Rocchini, and R. J. Prineas. 2001. Insulin resistance syndrome in childhood: associations of the euglycemic insulin clamp and fasting insulin with fatness and other risk factors. J. Pediatr. 139, 700-707 

  35. Sothern, M. S., B. Despinasse, R. Brown, R. M. Suskind, J. N. Jr. Udall, and U. Blecker. 2000. Lipid profiles of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before and after significant weight loss: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South Med. J. 93, 278-282 

  36. Svedberg, J., P. Bjorntorp, U. Smith, and P. Lonnroth. 1990. Free-fatty acid inhibition of insulin binding, degradation, and action in isolated rat hepatocytes. Diabetes 39, 570-574 

  37. Tjonna, A. E., S. J. Lee, O. Rognmo, T. O. Stolen, A. Bye, P. M. Haram, J. P. Loennechen, Q. Y. Al-Share, E. S. Skogvoll, A. Slordahl, O. J. Kemi, S. M. Najjar, and U. Wisloff. 2008. Aerobic interval training versus continuous 

  38. Wadden, T. A. and M. L. Butryn. 2003. Behavioral treatment of obesity. Endocrinol. Metab. Clin. North Am. 32, 981-1003 

  39. Watkins, L. L., A. Sherwood, M. Feinglos, A. Hinderliter, M. Babyak, E. Gullette, R. Waugh, and J. A. Blumenthal. 2003. Effects of exercise and weight loss on cardiac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syndrome X. Arch. Intern. Med. 163, 1889-1895 

  40. Yun, Y. S., K. J. Kim, and H. S. Park. 2001. Effect of multidisciplinary weight control program on weight and comorbidity in obese adolescents. Korean Society for Study of Obesity 10, 325-3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