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지역 장애아어머니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ies of Lives in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in Seoul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7 no.1 = no.97, 2009년, pp.73 - 88  

유혜경 (서울예술대학 교양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factors such as self-esteem, social supports, socio-economic status of parents, degree of disability in child, stress coping, religion, and sports.exercise on the qualities of lives in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Data were collec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의미하는 것은?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결혼만족도를 비롯하여 삶의 질이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우선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보면, 김의철 등(2000)은 2,789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하여 청소년과 성인, 노인 모두에 있어서, 세대간 인식 차이에도 불구하고, 자기효능감과 더불어 사회경제적 지위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자아존중감이란? 자아존중감은 한 개인이 자신을 얼마나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며 또 자신을 어느 정도 가치가 있다고 보는가 하는 것으로서, 다르게 말하면 개인이 자신의 가치나 중요성에 대해 갖는 일종의 평가적 태도라 할 수 있다. 자아존중감은 자아개념과 유사하게도 사용되지만, 많은 경우 자아존중감이 위계상으로는 자아개념의 하위 요인으로, 그리고 특성상으로는 평가적 요소로 간주된다.
가정 내에서 어머니의 존재를 강조하는 연구들은? 그러기에 어머니가 한 가정 내에서 얼마나 행복한가 하는 문제는 가족 구성원 전체의 행복과 관련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어머니의 문제는 혼자만의 문제가 아니라 가족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조추용 등, 2006)을 비롯하여, 어머니가 스트레스가 심할 경우 가족 전체가 무기력한 침체 상태에 빠질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한 연구(김정진·김미옥, 2002), 또 부모와 자녀 간 생활만족도와 스트레스의 관련성에 있어서 어머니와 자녀 간의 상관이 아버지와 자녀 간의 상관보다 더 높다고 보고한 연구(김의철·박영신, 2001) 등은 모두 가정 내에서 어머니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1)

  1. 강선경(2002). 장애자녀를 둔 부모의 태도, 스트레스 대처 및 사회적 지원이 그들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4(2), 7-35 

  2. 권경득(2000). 종교활동이 인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보상적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하 김관해교수 정년기념논문집, 317-341 

  3. 김광득. 현대여가론. 서울: 백산출판사. 1993 

  4. 김광기(2002). 여가복지와 생활 질의 관련성에 관한 고찰. 체육 연구, 16. KERIS 

  5. 김광호.오광진(2004). 장애아 어머니의 생활체육 참여와 생활 만족의 관계.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2(4), 55-67 

  6. 김교헌.변주환(2000). 청각장애, 정신지체 및 정상아동 어머니의 생활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지원 및 부적 감정 경험. 난청과 언어장애연구. 23(1), 327 

  7. 김나영.윤호열(2000). 정신지체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가족 결합력. 대한가정학회지, 38(7), 53-65 

  8. 김명소.김혜원.차경호(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 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9. 김미옥.방부경.윤수정.최은주(2002). 중년여성의 지각된 생활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및 우울의 관계. 전인간호과학 연구소 학술모음집, 창간호, 97-113 

  10. 김봉선 (2007). 장애인의 삶의 질 결정요인: 뇌성마비인의 환경적 특성과 사회 적 참여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29. 5-28 

  11. 김의철.박영신(2001). IMF시대 한국 학생과 부모의 스트레스와 대처양식 및 생활만족도에 대한 연구:사회적 지원과 자기 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77-105 

  12. 김의철.박영신.김명언.이건우.유호식(2000). 청소년, 성인, 노인 세대의 차이와 생활만족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1), 119-145 

  13. 김정진(2002). 정신장애를 가진 어머니의 양육자원과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4, 69-98 

  14. 김정진.김미옥(2002). 장애아동 어머니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자존감의 향상과 우울감의 감소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14, 7-36 

  15. 김정희(1987).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이 우울에 대한 작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박내천(2007). 청각장애아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양육 스트레스,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선영.김준희 (2000). 생활체육 참가 주부의 가족스트레스와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지, 14(2), 39-53 

  18. 박진영.박태영. 2001. 발달장애아동 자녀를 둔 어머니의 결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7, 114-117 

  19. 박혜진.박경란(2004). 장애아동 어머니가 지각하는 스트레스 및 대처행동과 생활만족도. 한국생활과학지, 13(5), 625-636 

  20. 송정애.이정덕(2001). 저소득 편모들의 자아존중감, 심리적 복지감, 부모역할 수행의 특성 및 상호관계. 동국대학교 대학원 연구논집, 31, 281-318 

  21. 손상희.박재국(2003). 지체부자유아 가족의 삶의 질에 대한 부모의 인식. 중복.지체부자유아 교육, 42, 159-182 

  22. 심미경(1997). 장애아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대처유형,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간호학회지, 27(3), 673-681 

  23. 양귀화(2001). 자폐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오세란. 2005. 생활시설 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재활복지, 9(2), 29-51 

  25. 오승아 (2002). 장애아동 가족의 수입, 내구력, 누적 스트레스, 의사소통, 가족적 응에 대한 구조모델 검증. 대한가정학회지, 40(9), 175-189 

  26. 이경희(1993). 장애아동 가족 스트레스와 적응의 구조모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이명신(1998). 주거형태와 주관적 삶의 질. 한국심리학회: 사회문제, 3(1), 97-105 

  28. 이미연 (2005). 청각장애인의 종교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9. 이상훈.정영숙.이상복(1998). 대구경북지역의 장애아와 장애아가족의 삶의 질. 정서.학습장애연구, 14(2), 1-38 

  30. 이상훈.정영숙.이상복(1999). 장애아 가족의 경제적 복지와 대응적 태도. 정서.학습장애연구, 15(1), 57-76 

  31. 이수정.안신호(2005). 행복이란 무엇인가? 행복에 관한 연구 개관. 심리과학연구, 4, 123-143 

  32. 이영자(1994).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과 우울 및 불안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이용호.정용균.구영진.조수철(1999). 장애아동의 행동특성과 가족환경이 어머니의 정서적 안녕감 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소아 . 청소년정신의학, 10(1), 100-112 

  34. 이윤화.권진욱(2002). 장애아동 형제의 부담감에 관한 연구: 대전 지역을 중심으로. 연세사회복지연구, 8, 59-85 

  35. 이창미 (2007). 장애아 가족과 비장애아 가족 삶의 질 관련요인 비교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1(1). 69-92 

  36. 이현지 (2004). 사회적 지지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정서.장애아동연구, 20(3), 73-95 

  37. 임성옥.박민정(2006). Q 방법론을 이용한 장애아 부모의 스트레스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8, 203-226 

  38. 임승엽(2000). 기혼여성의 생활체육 참여와 운동 몰입경험 및 가정생할만족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임지향(2000). 정신지체아 부모가 지각한 가족기능과 일상 스트레스 대처 방식.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임희섭(1996). 삶의 질의 개념적 논의. 한국행정연구, 5(1), 5-18 

  41. 장순용.김송희(2003). 여가활동유형에 따른 여가만족 및 생활 만족 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24, 17-30 

  42. 장진국(1995). 정신지체아 부모와 일반아 부모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전수진(2005).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양육부담 절감 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조추용 외(2006). 가족복지론. 서울: 창지사 

  45. 전병제(1974). 자아개념 측정 가능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연세논총, 11(1), 107-130 

  46. 전유경(2003). 장애자녀 어머니와 일반자녀 어머니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아존중감 비교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전혜자.김미량(2006).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0(3), 115-124 

  48. 정미영(2004). 장애유형에 따른 장애아어머니의 스트레스와 주관적 삶의 질.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정재은.최희선(1995). 정신지체아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13(1), 123-133 

  50. 정청자(1988). 장애아 가정의 긴장(스트레스)과 적응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제갈광철(2000). 정신지체아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최중옥.허정옥(2002). 뇌성마비 학생 어머니와 정신지체 어머니의 스트레스 정도와 대처 수준 비교 연구. 특수교육아동연구, 4(2), 55-75 

  53. 통계청(2008). 2007년 한국의 사회지표. http//www.nso.go.kr 

  54. 황미희(2002). 장애아 부모의 양육부담과 사회복지 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Arthaud-Day M. S., Rode, J. C., Mooney, C. H., Near, J. P.(2005). The subjective well-being construct: A test of its convergent, discrimina, and factorial validity. Social Indicators Research, 74, 445-476 

  56. Aspinwall, I. G. & Taylor, S. E.(1992). Modeling cognitive adaptation: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the impact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coping on college adjustment and performa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 989-1003 

  57. Bristol, M. M., Gallogher, J. J., & Shopler, E.(1988). Mothers and fathers of young developmentally disabled and nondisabled boys Developmental Psychology, 23(3), 441-451 

  58. Brookman-Frazee, L.(2004). Using parents/clinician partnership in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6(4), 195-213 

  59. Campbell, A. & Converse, P. E.(1981). The sense of wellbeing in America. New York: McGrow Hill 

  60. Fagan, J., & Schor, D.(1993). Mothers of children with spina bifidal factors related to maternal psychosocial functioning.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63(1), 146-152 

  61. Friedrich, W. N., & Friedrich, W. S.(1981). Psychological assets of parents of handicapped and nonhandicapped children. American Jr. of Mental Deficiency, 85(5), 551-553 

  62. Hadaway, C. K. & Roof, W. C.(1978). Religious commitment and the quality of life in American society. Review of Religious Research, 19(3), 295-307 

  63. Lazarus, R. S., & Folkman, S.(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Y.: Springer Publishing Co. 

  64. Miller, E. E.(1986). Self-imagery: creating your own good health. Berkeley: Celestial Arts 

  65. Park, J. H., Hoffman, L., Marquis, J., Turnbull, P., Poston, D., Mannan, H., Nelson, L. L. (2003). Toward assessing family outcomes of service delivery: Validation of a family quality of life survey.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47(4), 367-384 

  66. Pearlin, L. I., & Mullan, J. T., & Skaff, M. M.(1990). Care giving and the stress process: An overview of concepts and their measures. The Gerontologist, 30(5), 583-594 

  67. Rosenberg, M.(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ston, N. J.: Prinston Univ. Press 

  68. Scheussler, K. F.(1979). Continuities in social prediction. In H. L. Costner(Ed). Sociological methodology. San Francisco: Jossy-Bass 

  69. Singers, L., & Farkas, K. J.(1989). The impact of infant disability on maternal perception of stress, Family Relations, 38, 444-449 

  70. Sloper, P. C., Truner, K. S., Cunningham, C.(1991). Factors related to stress and satisfaction with life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down's syndrom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32, 655-676 

  71. Turnbull, A. P. & Turnbull, H. R.(2001). Families, professionals, and exceptionality: A special partnership. Columbus, OH: Charles, E. Merill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