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선 기반 중주파수 대역 잔향음 모델 개발 및 실측 데이터 비교
Mid Frequency Band Reverberation Model Development Using Ray Theory and Comparison with Experimental Data 원문보기

한국음향학회지=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v.28 no.8, 2009년, pp.740 - 754  

추영민 (서울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  성우제 (서울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  양인식 (국방과학연구소) ,  오원천 (국방과학연구소)

초록

실제 해양에서 음파는 해수면/해저면의 거친 경계면이나 기포층/어군과 같이 불규칙적으로 분포된 체적에 의해 산란 되며, 잔향음 신호는 이러한 산란 신호의 합으로 형성된다. 실측된 잔향음 신호를 정확하게 모의하기 위해서는 각 산란 메커니즘에 적합한 산란 모델을 음파 전달 손실 모델과 결합시켜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산란 모델과 결합이 용이한 음선 이론을 기반으로 잔향음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잔향음 모델은 (1) 해수면에 대한 산란 신호로 실험 기반의 Chapman-Harris 식과 이론 기반의 APL-UW/SSA 모델, (2) 해저면에 대해서는 실험 기반의 Lambert 법칙과 이론 기반의 APL-UW/SSA 모델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개발된 잔향음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정상 모드법 기반으로 개발된 Ellis 모델 결과와 2006 잔향음 공동웍크�乍【� 발표된 여러 잔향음 모델 결과와 비교하였다. 모델간의 비교를 통해 검증된 잔향음 모델을 이용하여 한국 근해의 중주파수 대역 잔향음 신호를 모의하고, 이를 실측 데이터와 시간 영역에서 직접 비교하였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각 해역의 해양 환경의 특성에 따라 상호 다른 잔향음 신호 경향을 고찰 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각 해역 특성을 반영하는 산란 강도 함수를 본 잔향음 모델을 통해 선정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und in the ocean is scattered by inhomogeneities of many different kinds, such as the sea surface, the sea bottom, or the randomly distributed bubble layer and school of fish. The total sum of the scattered signals from these scatterers is called reverberation. In order to simulate the reverber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비교를 통해 각 해역의 잔향음 특성을 고찰하고 나아가 각 해역에 지배적인 산란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결론에서 본 논문에서 개발된 잔향음 모델의 특징과 실측 데이터 비교 과정 및 결과에 대해 요약하였다. 또한, 한국 근해에 보다 적합한 잔향음 신호를 모의하기 위해 개선해야 할 부분에 대해 언급하였다.
  • 결론에서 본 논문에서 개발된 잔향음 모델의 특징과 실측 데이터 비교 과정 및 결과에 대해 요약하였다. 또한, 한국 근해에 보다 적합한 잔향음 신호를 모의하기 위해 개선해야 할 부분에 대해 언급하였다.
  • 시간 영역 잔향음 모델은 주파수 영역 잔향음 모델에 비해 잔향음 신호 특성을 관측하기 쉽고, 실측 데이터와의 직접 비교가 용이 하다. 본 논문에서 이러한 방법으로 모의된 시간 영역 잔향음 신호를 기존의 잔향음 모델과 비교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이론/실험 기반의 산란 모델을 음선이론과 결합하여 시간 영역 잔향음 신호 모의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모델의 목적은 잠수함 능동 소나 운영 주파수 대역인 중주파수 대역 잔향음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수신 신호에서 표적 신호를 구별하는 것이다.
  • 본 논문에서는 음선이론을 적용하여 수치 해법 기반의 거리 종속 잔향음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모델에 사용된 산란 모델은 크게 해수면/해저면에 대한 실험 기반의 산란 모델과 이론 기반으로 나눌 수 있다 (각 산란 모델의 적용 범위나 특징은 2장에서 언급한다).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이론/실험 기반의 산란 모델을 음선이론과 결합하여 시간 영역 잔향음 신호 모의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모델의 목적은 잠수함 능동 소나 운영 주파수 대역인 중주파수 대역 잔향음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수신 신호에서 표적 신호를 구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중고주파 대역에서 다른 이론 기반의 모델에 비해 효율적인 음선 이론을 본 잔향음 모델에 적용하였다.

가설 설정

  • 잔향음 신호를 모의하기 위해서는 음원에서 각 산란면적까지의 고유 음선을 구해야 하므로 수신기의 위치가 경계면에 위치한다고 가정한다. 본 잔향음 모델에서는 고유 음선을 산란 면적으로부터 음원까지 역으로 추적하여 고유 음선 탐색 범위를 줄일 수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계산의 효율성을 높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D. R. Jackson and M.D. Richardson, High-frequency seafloor acoustic, Springer, New York, 2007 

  2. P. H. DahI, "The contribution of bubbles to high-frequency sea surface backscatter: A 24-h time series of field measurements," J. Acoust. Soc. Am., vol. 113, no. 2, pp. 769-780, 2003 

  3. A. Ishimaru, Wave propagation and scattering in random media, Volume. 1, SingIe Scattering and Transport Theory, Academic, New York, 1978 

  4. R. P. Chapman and J. H. Harris, "Surface backscattering strengths measured with explosive sound sources," J. Acoust. Soc. Am., vol. 34, no. 10, pp. 1592-1597, 1962 

  5. K. V. Mackenzie, "Bottom reverberation f or 530- and 1030-cps sound in deep water," J. Acoust. Soc. Am., vol. 33. no, 11. pp. 1498-1504, 1961 

  6. D. D. Ellis, "A shallow-water normal-mode reverberation model," J. Acoust. Soc. Am., vol. 97, no. 5, pp. 2804-2814, 1995 

  7. F. Desharnais and D. D. Ellis, "Data-model comparisons of reverberation at three shallow-water sites," IEEE J. Ocean. Eng., vol. 22, no. 2, pp. 309-315, 1997 

  8. R. E. Keenan, "An introduction to GRAB eigenrays and CASS reverberation and signal excess," in Proc. OCEANS 2000 MTS/IEEE Conference, pp. 1065-1070, Sep. 2000 

  9. H. Weinberg and R. E. Keenan, "Gaussian ray bundles tor modeling high-frequency propagation loss under shallow-water conditions," J. Acoust. Soc. Am., vol. 100, no. 3, pp. 1421-1431, 1996 

  10. H. Weinberg, "CASS roots," in Proc. OCEANS 2000 MTS/IEEE Conference, pp. 1071-1076, Sep. 2000 

  11. 오택환, 라형술, 나정열, 박치형, "중주파수 양상태 잔향음 모델," 한국음향학회지, 25권, 8호, 389-394족, 2006 

  12. 하용훈, "경계면 평면화 기법을 이용한 해수면 산란해석을 위한 시간영역 유사스펙트럴 모델링," 공학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09 

  13. C. H. Harrison, "Closed-form expressions for ocean reverberation and signal excess with mode stripping and Lambert’s law," J. Acoust. Soc. Am., vol. 114, no. 5, pp. 2744-2756, 2003 

  14. 박철수, 조용진, 안종우, 성우제, "천해 음파전달 모의에 적합한 음선기반 광대역 신호 신호 모델링 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음향학회지, 25권, 6호, 298-304쪽, 2006 

  15. 김경섭, 성우제, 박철수, 김성일, "전구음원 신호를 이용한 시간영역 지음향학적 인자 역산," 한국음향학회지, 24권, 6호, 334-342쪽, 2005 

  16. Z. Y. Zhang, "A simple function for modeling three-dimensional scattering strength from the ocean surface," Acoustics Australia, vol. 33, no. 2, pp. 47-50, 2005 

  17. D. D. Ellis, “Bistatic reverberation calculations using a three-dimensional scattering function,” J. Acoust. Soc. Am., vol. 89, no. 5, pp. 2207-2214, 1991 

  18. A. G. Voronovich, Wave scattering from rough surfaces, Springer, Berlin, 1994 

  19. 최지웅, 나형술, 나정렬, "중주파수 해저면 후방산란강도 측정 및 산란모델과의 비교," 한국음향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7권, 2호, 405-406쪽, 2008 

  20. R. J. Urick, Principle of underwater sound for engineers, McGraw-Hill, New York, 1967 

  21. Reverberation workshop information, fttp:/ftp.ccs.nrl.navy.mil/pub/ram/RevModWkshp, 2006 

  22. 김대철, 김신정, 서영교, 정자헌, 김양은, 김길영, "황해 남동부 니질대의 물리적 성질: 동해 및 남해 니질대와 비교," 한국해양학회지(바다), 5권, 4호, 335-345쪽, 2000 

  23. C. Eggen and K. Williams, "APL-UW high-freqency ocean environmental acoustic handbook", Applied Physics Laboratory. University of Washington, APL-UW TR 9407, AEAS 9501, 1994 

  24. C. Eggen and K. Williams, "APL-UW high-freqency ocean environmental acoustic handbook", Applied Physics Laboratory. University of Washington, APL-UW TR 9407, AEAS 9501, 1994 

  25. R. S. Keiffer, J. C. Novarini. and G. V. Norton, "The impact of the background bubble layer on reverberation-derived scattering strengths in the low to moderate frequency range," J. Acoust. Soc. Am., vol. 97, no. 1, pp. 227-234,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