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태양풍 매개변수를 이용한 Dst 예측
Dst Prediction Based on Solar Wind Parameters 원문보기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v.26 no.4, 2009년, pp.425 - 438  

박윤경 (경북대학교 과학교육학과) ,  안병호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E 위성에서 제공되는 1998년에서 2006년까지 9년간 관측된 양질의 1시간 평균 태양풍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Burton et al.(1975)의 Dst 예측식을 재검토했다. 이 기간 동안 60개의 단순 발달형 자기폭풍을 골랐다. Burton et al.(1975)의 Dst 예측식의 에너지 공급항(Q)과 소멸 시간 ($\tau$)을 추정하기 위해 상기 자기폭풍 기간 동안 $Dst^*$$VS_s$, ${\Delta}Dst^*$$VS_s$ 그리고 ${\Delta}Dst^*$$Dst^*$의 상관관계를 구했다. 이 때 ACE 위성으로부터 지구까지 전파 시간(1시간)과 태양풍과 지구 자기권 사이의 지연 시간(0.5시간) 고려했다. 그 결과 $VB_s$ > 0.5mV/m일 때 $Q(nT/h)=-3.56VB_s$이였고, $VB_s\;{\leq}\;0.5mV/m$일 때는 Q(nT/h)=0으로 두었다(Burton et al., 1975) 그리고 $Dst^*$가 -175nT보다 작은 음의 값을 가질 때 $\tau(h)\;=\;0.060Dst^*\;+\;16.65$이고, $Dst^*$가 -175nT보다 큰 음의 값을 가질 때 $\tau(h)\;=\;6.15$로 추정됐다. 이 연구에서 얻은 Q와 $\tau$를 Burton et al.(1975)의 Dst 예측식에 대입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60개 자기폭풍을 예측한 결과, 관측된 $Dst^*$와 예측된 $Dst^*$상관계수는 0.88이였다. 이를 다른 연구 결과와 비교하기 위해 Burton et al.(1975)과 O'Brien & McPherron(2000a)의 $Dst^*$ 예측 방법을 같은 자기폭풍에 적용한 결과, 관측된 $Dst^*$와 예측된 $Dst^*$의 상관계수는 각각 0.85였다. 이 연구는 기존 연구보다 다소 개선된 결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Dst^*\;{< \atop \sim}\;-200nT$의 강한 자기폭풍의 예측에 효과적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reevaluate the Burton equation (Burton et al. 1975) of predicting Dst index using high quality hourly solar wind data supplied by the ACE satellite for the period from 1998 to 2006. Sixty magnetic storms with monotonously decreasing main phase are selec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injection ter...

Keyword

참고문헌 (33)

  1. Ahn, B.-H. & Park, Y.-K. 2008, JA&SS, 25, 129 

  2. Akasofu, S.-I. 1981, SSR, 28, 121 

  3. Alexeev, I. I., Belenkaya, E. S., Kalegaev, V. V., Feldstein, Y. I., & Grafe, A. 1996, JGR, 101, 7737 

  4. Baker, D. N., Zwickl, R. D., Bame, S. J., Hones, Jr. E. W., Tsurutani, B. T., Smith, E. J., & Akasofu, S.-I. 1983, JGR, 88, 6230 

  5. Burton, R. K., McPherron, R. L., & Russell, C. T. 1975, JGR, 80, 4204 

  6. Chapman, S. & Bartels, J. 1940, Geomagnetism (Clarendon: Oxford), pp.272-337 

  7. Daglis, I. A. 1997, magnetic storms (AGU Monograph 98: Washington DC), pp.107-116 

  8. Daglis, I. A., Thorne, R. M., Baumjohann, W., & Orsini, S. 1999, Rev. Geophys., 37, 407 

  9. Fenrich, F. R. & Luhmann, J. G. 1998, GRL, 25, 2999 

  10. Friedrich, E., Rostoker, G., Connors, M. G., & McPherron, R. L. 1999, JGR, 104, 4567 

  11. Gonzalez, W. D. & Echer, E. 2005, GRL, 32, doi:10.1029/2005Gl023486 

  12. Gonzalez, W. D., Joselyn, J. A., Kamide, Y., Kroehl, H. W., Rostoker, G., Tsurutani, B. T., & Vasyliunas, V. M. 1994, JGR, 99, 5771 

  13. Greenspan, M. E. & Hamilton, D. C. 2000, JGR, 105, 5419 

  14. H \ddot{a} kkinen, L. V. T., Pulkkinen, T. I., Nevanlinna, H., Pirjola, R. J., & Tanskanen, E. I. 2002, JGR, 107, doi:10.1029/2001JA900130 

  15. Hamilton, D. C., Gloeckler, G., Ipavich, F. M., Studemann, W., Wilken, B., & Kresmer, G. 1988, JGR, 93, 14,343 

  16. Jordanova, V. K., Farrugia, C. J., Quinn, J. M., Thone, R. M., Ogilvie, K. W., Lepping, R. P., Lu, G., Lazarus, A. J., Thomsen, M. F., & Belian, R. D. 1998, GRL, 25, 2971 

  17. Kamide, Y. 2001, JASTP, 63, 413 

  18. Kamide, Y. 2009, 개인서신 

  19. Kamide, Y., Baumjohann, W., Daglis, I. A., Gonzalez, W. D., Grande, M., Joselyn, J. A., McPherron, R. L., Phillips, J. L., Reeves, E. G. D., Rostoker, G., Sharma, A. S., Singer, H. J., Tsurutani, B. T., & Vasyliunas, V. M. 1998, JGR, 103, 17705 

  20. Langel, R. A. & Estes, R. H. 1985, JGR, 90, 2487 

  21. Lui, A. T. Y., McEntire, R. W., & Baker, K. B. 2001, JGR, 28, 3413 

  22. MacMahon, R. M. & Gonzalez, W. D. 1997, JGR, 102, 14199 

  23. MacMahon, R. M. & Llop-Romero, C. 2008, Ann. Geophys., 26, 2543 

  24. Murayama, T. 1982, RGSP, 20, 623 

  25. O’Brien, T. P. & McPherron, R. L. 2000a, JGR, 105, 7707 

  26. O’Brien, T. P. & McPherron, R. L. 2000b, JASTP, 62, 1295 

  27. Perrault, P. & Akasofu, S.-I. 1978, GJRAS, 54, 547 

  28. Roeder, J. L., Fennell, J. F., Chen, M. W., Schultz, M., Grande, M., & Livi, S. 1996, ASR, 17, 17 

  29. Sugiura, M. 1964, Ann. Int. Geophys. Year, 35, 9 

  30. Temerin, M. & Li, Xinlin. 2002, JGR, 107, 1472 

  31. Turner, N. E., Baker, D. N., Pulkkinen, T. I., & McPherron, R. L. 2000, JGR, 105, 5431 

  32. Valdivia, J. A., Sharma, A. S., & Papadopoulos, K. 1996, GRL, 23, 2899 

  33. Wang, C. B., Chao, J. K., & Lin, C.-H. 2003, JGR, 108, 134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