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양 내 토착 미생물에 의한 바이오필름 형성과 흡착을 통한 용존 중금속 제거
Removal of Dissolved Heavy Metals through Biosorption onto Indigenous Bacterial Biofilm Developed in Soil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2 no.5, 2009년, pp.435 - 444  

김상호 (STX 에너지) ,  전효택 (서울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이종운 (전남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토양 입자 표면에 형성한 토착 미생물 바이오필름에 의하여 중금속을 흡착하므로써 하부 생태계로 이동하지 않고 원위치에 고정화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토양으로 충진한 컬럼에 초산염, 유산염, 포도당 등의 탄소원을 10일간 공급함으로써 토양에 바이오필름을 형성하였다. 바이오필름 형성 기간 중, 초산염, 유산염, 포도당을 공급한 컬럼의 유출 수량은 탈이온수를 공급한 컬럼의 유출수량에 비하여 각각 98.5%, 97.3%, 94.7%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유출수량의 감소는 형성된 바이오필름에 의한 토양 공극 폐색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바이오필름이 형성된 토양 컬럼에 Cd, Cr(VI), Cu, Pb, Zn 용액을 주입하며 시간에 따라 유출수를 채집, 중금속을 정량하였다. 바이오필름 컬럼을 통과하여 나온 유출수 중 Cd, Cr(VI), Cu, Zn 농도는 탈이온수 컬럼에 비하여 낮았으며, 이는 토양 입자에 비하여 바이오필름에 의한 이들 중금속 흡착 효율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바이오필름에 의한 중금속 제거 효율은 토착 미생물에 공급한 탄소원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 내에 중금속을 원위치 고정화하는 기술 개발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situ stabilization of heavy metals through adsorption onto indigenous bacterial biofilm developed on soil particles was investigated. Biofilms were developed in soil columns by supply of various carbon sources such as acetate, lactate and glucose. During development of biofilms, acetate, lact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된 사례가 거의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유기물과 같이 생물학적으로 분해되는 물질이 아닌 분해되지 않는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에서 바이오 필름 형성을 촉진하고 미생물의 흡착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용존 중금속의 이동을 억제하는 방법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컬럼 내 토양에 바이오 필름 형성을 위한 탄소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별도의 수조에 초산염 (acetate), 유산염 (lactate), 포도당 (glucose) 각 10mM을 넣고 연동식 펌프를 통해 컬럼에 상향식으로 주입하였다. 세 가지 탄소원을 사용한 것은 토양 내 토착 미생물 집단이 탄소원에 따라 바이오 필름을 형성하는 속도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였다. 초기 탄소원 용액 통과 속도는 0.
  • 왔다. 이 연구에서는 중금속으로 오염된 자연 상태의 토양을 대상으로 미생물학적 흡착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용존 중금속이 하부 생태계로 유입되지 않고 토양 중에 원위치 고정화(in situ stabilization)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때 중금속을 흡착한 미생물이 토양 내에서 자유유영 (planktonic) 상태로 존재한다면 토양수 및 지하수의 흐름을 띠라 하부생태계로 이동하므로 고정화의 효과를 전혀 기대할 수 없게 된다.
  • 이는 토양 내 바이오필름이 형성될 경우, 바이오 필름을 통과하여 배출된 유출수 내에 존재하는 자유 유영상태의 미생물 개체수도 비례하여 증가할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 만약 바이오필름이 형성되며 유출 수량이 감소하는 것과 비례하여 자유유영 미생물의 개체 수가 증가한다면 유출수의 광밀도를 측정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매질 내 형성된 바이오필름의 양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 산화환원전위, 미생물 수를 측정하였다. 토양 내공 극에 바이오필름이 형성되면 주입수의 원활한 흐름을 저해할 것이므로 컬럼을 통과한 후 배출되는 유출수의 부피를 바이오필름 형성의 간접적인 지표로 사용하려 하였다. 미생물 수는 UV-vis spectrophotometer 를 사용하여 600 nm의 파장에서 유출수의 광밀도 (optical density)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환경부 (2002) 토양오염공정시험방법. 환경부고시 제2002-122호 

  2. Aksu, Z. (2001) Equilibrium and kinetic modelling of cadmium(II) biosorption by C. vulgaris in a batch system: effect of temperature. Separation and Purification Technol., v.3, p.285-294 

  3. Alloway, B.J. (1995) Heavy metals in in soils, 2nd ed. Chapman and Hall, 368p 

  4. Andres, Y., Thouand, G., Boualam, M. and Mergeay, M. (2000) Factors influencing the biosorption of gadolinium by micro-organisms and its mobilisation from sand. Appl. Microbiol. Biotechnol., v.54, p.262-267 

  5. Beveridge, T.J. and Murray, R.G.E. (1980) Sites of metal deposition in the cell wall of Bacillus subtilis. J. Bacteriol., v.141, p.876-887 

  6. Ceribasi, I.H. and Yetis, U. (2001) Biosorption of Ni(II) and Pb(II) by Phanerochaete chrysosporium from a binary metal system - kinetics. Water SA, v.27, p.15-20 

  7. Cordoba, A., Vargas, P. and Dussan, J. (2008) Chromate reduction by Arthrobacter CR47 in biofilm packed bed reactors. J. Haz. Mater., v.151, p.274-279 

  8. Costerton, J.W., Lewandowski, Z., DeBeer, D., Caldwell, D., Korber, D. and James, G. (1994) Biofilms, the customized microniche. J. Bacteriol., v.176, p.2137-2142 

  9. Davidson, C.M., Thomas, R.P., McVey, S.E., Perala, R., Littlejohn, D. and Ure, A.M. (1994) Evaluation of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for the speciation of 

  10. Hiebert, R. (1998) Using biological barriers to control movement of contaminated groundwater; Subsurface barrier technologies. International Business Communications 

  11. Klimmek, S., Stan, H.-J., Wilke, A., Bunke, G. and Buchholz, R. (2001)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iosorption of cadmium, lead, nickel, and zinc by algae. Environ. Sci. Technol., v.35, p.4283-4288 

  12. Kloke, A. (1979) Content of arsenic, cadmium, chromium, fluorine, lead, mercury, and nickel in plants grown on contaminated soil, UN-ECE Symp, 325p 

  13. Langley, S. and Beveridge, T.J. (1999) Metal binding by Pseudomonas aeruginosa PAO1 is influenced by growth of the cells as a biofilm. Can. J. Microbiol., v.45, p.616-622 

  14. Lee, J.-U. and Beveridge, T.J. (2001) Interaction between iron and Pseudomonas aeruginosa biofilms attached to Sepharose surfaces. Chem. Geol., v.180, p.67-80 

  15. Lovely, D.R. and Coates, J.D. (1997) Bioremediation of metal contamination. Curr. Opin. Biotechnol., v.8, p.285-289 

  16. Quintelas, C., Rocha, Z., Silva, B., Fonseca, B., Figueiredo, H. and Tavares, T. (2009) Removal of Cd(II), Cr(VI), Fe(III) and Ni(II) from aqueous solutions by an E. coli biofilm supported on kaolin. Chem. Eng. J., v.149, p.319-324 

  17. Trudinger, P.A. and Swaine, D.J. (Eds.) (1979) Biogeochemical cycling of mineral-forming elements. Elsevier Science Ltd., p.293-314 

  18. Valls, M. and de Lorenzo, V. (2002) Exploiting the genetic and biochemical capacities of bacteria for the remediation of heavy metal pollution. FEMS Microbiol. Rev., v.26, p.327-338 

  19. Vecchio, A., Finoli, C., Di Simine, D. and Andreoni, V. (1998) Heavy metal biosorption by bacterial cells. Fresenius J. Anal. Chem., v.361, p.338-342 

  20. Volesky, B. (1990) Biosorption and biosorbents. In Volesky, B. (Ed.) Biosorption of heavy metals, Boca Raton, CRC Press, p.3-6 

  21. Welch, S.A. and Ullman, W.J. (1993) The effect of organic acids on plagioclase dissolution rates and stoichiometry. Geochim. Cosmochim. Acta, v.57, p.2725-273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