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바이오-메디컬 자성나노입자 연구의 현황과 전망
Research Status and Prospectives of Magnetic Nanoparticles in Bio-medical Applications 원문보기

韓國磁氣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v.19 no.1, 2009년, pp.28 - 34  

민지현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 미래유망 파이오니어 생체응용 나노결정 융합연구단) ,  송아영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 미래유망 파이오니어 생체응용 나노결정 융합연구단) ,  김영근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 미래유망 파이오니어 생체응용 나노결정 융합연구단) ,  우준화 (고려대학교 공학기술연구소, 미래유망 파이오니어 생체응용 나노결정 융합연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성나노입자초상자성 특성 및 물리적, 화학적으로 안정된 특성으로 인하여, MRI 조영제, 약물전달, 세포분리, 열치료법 등을 비롯한 바이오-메디컬 분야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초기에는 균일한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미세하면서도 균일한 크기의 나노입자 제조에 연구가 집중되었으나, 최근에는 바이오-메디컬 분야에 직접 응용하기 위하여, 수용액에 대한 분산도 향상과 생체적합성 및 생체기능화를 부여하는 것에 연구의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성나노입자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진행 방향에 대하여 조망해 보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gnetic nanoparticles are widely used for bio-medical applications such as MRI contrast agents, drug-delivery systems, cell separation and hyperthermia, thanks to their unique magnetic propertie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the early stage, efforts were focused on synthesis of unifor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성능/효과

  • 미국 과학재단(NSF)의 2002년 인간의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융합기술 발전방안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세계적으로 자성, 금속, 반도체, 세라믹, 고분자 등 다양한 물성을 가진 나노 구조물의 특성에 대한 기초연구가 광범위하게 진행됨에 따라, 이를 토대로 미래 거대 신산업 창출을 위한 융/복합 신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나노-바이오 기술 분야에서 진단 및 치료 목적으로 DNA, 단백질, 세포 등과 같은 바이오 물질의 분리, 정제, 영상처리 등과 같은 분야가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는데, 특히 상기보고서는 ‘visionary technology’의 하나로 리포좀, 나노입자, 멤브레인 등과 같은 나노플랫폼을 활용하여 생체분자를 합성하거나 분석할 수 있는 생물학적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제시한 바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i) 분자수준의 질병을 검지/진단/치료할 수 있는 나노약물, (ii) 독성/전염병의 추적이 용이한 매개체, (iii) 기초생물실험을 위한 생체분자 나노시스템 설계 등을 추구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국가 R&D total roadmap(Fig.
  • 률을 보이고 있다(Kalorama Information, 2004). 또한, 나노 의약품의 핵심기술인 나노 약물전달체의 관련 시장 성장률은 연간 20 % 정도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후속연구

  • 최근, 자성나노입자의 생의학적 적용 가능 여부는 시장의 규모와 기술의 발전 속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나노기술로 제조된 의약품에 대하여, 생체 유해 여부를 조사하는 연구에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으며, 따라서 향후 나노입자 제조 기술은 단순한 다기능성 나노입자 제조를 넘어서서, 생체 적합성을 가진 광학, 자성 등의 기능이 포함된 나노입자 제조로 진화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겠다. Table I과 Table II에서는 자성나노입자를 생체 내/외에 응용할 경우, 치료 및 진단 등의 바이오-메디컬 분야에서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 1에서는 복합기능 나노입자가 응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세부분야를 도식적으로 표현하였다. 바이오-메디컬 분야 뿐만 아니라 환경 및 전자기기 등 폭넓은 분야에서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구체적으로는 영상진단, 바이오 센서, 분리분석시스템, 세포 치료를 비롯하여 환경센서, 고집적 메모리, 차세대 디스플레이 등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견된다.
  • 더불어, 바이오-메디컬 기술의 특성 향상을 위한 광학 특성 첨가 기술 또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향후 바이오-메디컬 분야에서는 자성, 생체적합성, 생체기능성 등을 비롯, 광학, 전기적 특성 등을 모두 갖춘 복합기능 나노입자에 대한 필요가 커질 것으로 예견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성나노입자는 어떤 특성이 있는가? 자성나노입자는 초상자성 특성 및 물리적, 화학적으로 안정된 특성으로 인하여, MRI 조영제, 약물전달, 세포분리, 열치료법 등을 비롯한 바이오-메디컬 분야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초기에는 균일한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미세하면서도 균일한 크기의 나노입자 제조에 연구가 집중되었으나, 최근에는 바이오-메디컬 분야에 직접 응용하기 위하여, 수용액에 대한 분산도 향상과 생체적합성 및 생체기능화를 부여하는 것에 연구의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
자성나노입자가 널리 응용되고 있는 분야는? 자성나노입자는 초상자성 특성 및 물리적, 화학적으로 안정된 특성으로 인하여, MRI 조영제, 약물전달, 세포분리, 열치료법 등을 비롯한 바이오-메디컬 분야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초기에는 균일한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미세하면서도 균일한 크기의 나노입자 제조에 연구가 집중되었으나, 최근에는 바이오-메디컬 분야에 직접 응용하기 위하여, 수용액에 대한 분산도 향상과 생체적합성 및 생체기능화를 부여하는 것에 연구의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
자성나노입자의 연구 동향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자성나노입자는 초상자성 특성 및 물리적, 화학적으로 안정된 특성으로 인하여, MRI 조영제, 약물전달, 세포분리, 열치료법 등을 비롯한 바이오-메디컬 분야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초기에는 균일한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미세하면서도 균일한 크기의 나노입자 제조에 연구가 집중되었으나, 최근에는 바이오-메디컬 분야에 직접 응용하기 위하여, 수용액에 대한 분산도 향상과 생체적합성 및 생체기능화를 부여하는 것에 연구의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성나노입자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진행 방향에 대하여 조망해 보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V. Kalambur, Nanotechnology, 16, 1221 (2005) 

  2. C. Tsang, T. Lin, S. MacDonald, M. Pinarbasi, N. Robertson, H. Santini, M. Doerner, T. Reith, L. Vo, T. Diola, and P. Arnett, IEEE Trans. Magn., 33, 2866 (1997) 

  3. J. Nam, C. S. Thaxton, and C. A. Mirkin, Science, 301, 1884 (2003) 

  4. P. Tartaj, M. del Puerto Morales, S. Veintemillas-Verdaguer, T. Gonzalez-Carreno, and C. J Serna, J. Phys. D., 36, R182 (2003) 

  5. P. Gould, Materials Today, 7, 36 (2004) 

  6. Y. Jun, J. Choi, and J. Cheon, Angew. Chem. Int. Ed., 45, 3414 (2006) 

  7. D. Gerion, F. Pinaud, S. Williams, W. Parak, D. Zanchet, S. Weiss, and A. Alivisatos, J. Phys. Chem. B., 105, 8861 (2001) 

  8. 국가 R&D사업 Total Roadmap 중장기 발전전략안, 과학기술부 (2006) 

  9. 융합기술 종합발전 기본계획, 범부처 (2007) 

  10. H. Xu, H. Wu, F. Huang, S. Song, W. Li, Y. Cao, and C. Fan, Nucl. Acids Res., 33, e88 (2005) 

  11. K. Schulze, A. Koch, A. Petri-Fink, B. Steitz, S. Kamau, M. Hottiger, M. Hilbe, L. Vaughan, M. Hofmann, H. Hofmann, and B. von Rechenberg, J. Nanosci. Nanotech., 6, 2829 (2006) 

  12. D. Ma, J. Guan, F. Normandin, S. Denommee, G. Enright, T. Veres, and B. Simard, J. Chem. Mater., 18, 1920 (2006) 

  13. C. Lang and D. Schueler, J. Phys.: Condens. Matter, 18, S2815 (2006) 

  14. T. Douglas and M. Young, US Patent No : US 6180389 (2001) 

  15. P. Prasad, E. Bergey, C. Liebow, and L. Levy, US Patent No : US 6514481 (2003) 

  16. J. Park, M. Kim, Y. Jun, J. Lee, W. Lee, and J. Cheon, J. Am. Chem. Soc., 126, 9072 (2004) 

  17. 현택환, 박원철, 김재윤,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 10-2006-0122077, 출원일 : 2006. 12. 05 

  18. J. H. Wu, S. P. Ko, H. L. Liu, S. Kim, J. S. Ju, and Y. K. Kim, Mater. Lett., 61, 3124 (2007) 

  19. 김영근, 조지웅, 민지현, 고승필, 소준영, 최성회,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 10-0733794, 등록일 : 2007. 05. 25 

  20. 김영근, 우준화, 류홍링, 고승필, 민지현, 조지웅, 이주헌, 안부현, 한승엽, 대한민국특허, 등록번호: 10-0759715, 등록일: 2007.09.12 

  21. 김영근, 류홍링, 우준화, 민지현, 이주헌,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0759716, 등록일: 2007.09.12 

  22. 김영근, 류홍링, 우준화, 민지현, 김유송,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 10-0791731, 출원일 ; 2007.01.04 

  23. H. L. Liu, C. H. Sonn, J. H. Wu, K. M. Lee, and Y. K. Kim, Biomaterials, 29, 4003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