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조 배합사료로 사육한 양식산 넙치의 어체 품질평가; I. 지방산 및 구성아미노산 조성 비교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ed with Extruded Pellets; I. Comparison of Fatty Acid and Amino Acid Cont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1 no.1 = no.203, 2009년, pp.42 - 49  

장미순 (국립수산과학원 생명공학연구소) ,  강용진 (국립수산과학원 양식사료연구센터) ,  김강웅 (국립수산과학원 양식사료연구센터) ,  김경덕 (국립수산과학원 양식사료연구센터) ,  이해영 (국립수산과학원 양식사료연구센터) ,  허샛별 (국립수산과학원 양식사료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건조 배합사료를 공급한 양식 넙치와 생사료를 공급한 양식넙치의 품질특성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즉, 건조 배합사료로서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상품사료(CEP)와 직접 설계 제조한 실험사료(FEP) 2종을 사용하였고 생사료(MP)를 대조구로하여, 약 10달간 각각의 사료를 공급한 넙치(1.15 kg)의 등근육 및 지느러미 살을 대상으로 하여 각 사료 공급에 의한 일반성분, 지방산, 아미노산, 관능평가 및 물성측정을 통한 어육의 품질차이를 비교하였다. 넙치 등근육의 일반성분의 각 함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지느러미 살의 경우는 MP 공급구가 수분함량이 높고 조지방 함량은 낮았다. 넙치 어육의 지방산 조성은, 넙치를 사육하는 동안 공급하는 사료의 종류에 따라 등근육 및 지느러미살의 지방산 조성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주로 축산육의 품질 측정시 지표로 사용되던 18 : 0/18 : 2, 18 : 2/18 : 3 및 n-6/n-3과 같은 지방산의 비율을 활용해서 어류의 풍미와 정미성을 비롯해 어육의 질감 차이까지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MP, CEP 및 FEP를 공급한 넙치 등근육의 구성아미노산 조성 중 EAA, FAA, SAAA, SAA 및 FRAA의 함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지느러미살의 경우는 맛 관련 성분인 glutamic acid와 감미성분인 glycine 및 alanine이 각 사료구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냄새, 외관, 맛, 질감 및 종합적인 기호도면에 대해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모든 사료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경도(hardness)는 MP 공급구가 CEP 및 FEP 공급구보다 높았다. 물성측정 결과도 역시 모든 사료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본 실험 결과로부터 건조 배합사료를 공급한 넙치의 등근육 및 지느러미 살의 품질 특성은 생사료를 공급한 넙치와 큰 차이는 없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fatty acid and amino acid compositions of dorsal and fin muscles collected from olive flounder cultured using a formula feed(extruded pellets, EP) and compared them to those of fish cultured with a raw fish moist pellet(MP) feed as a control. The olive flounder in this stud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사료를 공급한 양식 넙치를 대조구로 하여, 건조 배합사료를 공급한 양식 넙치의 품질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넙치회에 주로 애용되는 등근육과 지느러미 살의 일반성분, 지질 성분, 정미성분에 관여하는 아미노산 조성을 조사하고, 관능검사 및 물성평가를 실시한 결과에 대해 비교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넙치의 지느러미 살에는 무엇이 함유되어 있어 지방질과 함께 식감에 기여하는가? 넙치의 횟감부위로 넙치의 등근육과 지느러미 살(지느러미에 붙어있는 날개살)이 주로 애용되는데, 지느러미 살은 엔피라 혹은 미도리가와(綠側)라 부르는 담기골살로 운동량이 제일 많아 가장 맛있는 부위로 알려져 있다. 여기에는 기능성 다당류인 콘드로이친황산과 고도불포화지방산이 함유돼 지방질과 함께 어우러져 입안을 감도는 오돌오돌한 씹힘이 일품이라고 알려져 있다(1). 또한, 넙치는 어린이의 발육에 필요한 라이신이 많아 성장기 어린이에게 좋고 지방질이 적어 소화가 잘되므로 노인과 당뇨병환자, 병의 회복기에 있는 사람에게도 도움이 되는 식품이다.
넙치는 우리나라 양식산 어류의 몇 퍼센트를 차지하는가? 우리나라, 일본 및 중국해 연안에서 서식하고 있는 어종인 넙치(Paralichthys olivaceus)는 우리나라 양식산 어류의 60%이상을 차지할 만큼 가장 많이 양식되는 어종으로 콜라겐 함량이 적어 단단하고 씹는 맛이 좋을 뿐 아니라 지방질 함량이 적어 담백한 맛을 느낄 수 있어 주로 횟감으로 소비되고 있다. 넙치의 횟감부위로 넙치의 등근육과 지느러미 살(지느러미에 붙어있는 날개살)이 주로 애용되는데, 지느러미 살은 엔피라 혹은 미도리가와(綠側)라 부르는 담기골살로 운동량이 제일 많아 가장 맛있는 부위로 알려져 있다.
넙치가 성장기 어린이에게 좋은 이유는 어떤 성분 때문인가? 여기에는 기능성 다당류인 콘드로이친황산과 고도불포화지방산이 함유돼 지방질과 함께 어우러져 입안을 감도는 오돌오돌한 씹힘이 일품이라고 알려져 있다(1). 또한, 넙치는 어린이의 발육에 필요한 라이신이 많아 성장기 어린이에게 좋고 지방질이 적어 소화가 잘되므로 노인과 당뇨병환자, 병의 회복기에 있는 사람에게도 도움이 되는 식품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Hong CH, Lee JM, Kim KS. Changes of nucleotides in the raw fishes during the aquarium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79-384 (2004) 

  2. Ohshima T, Wada S, Koizumi C. Comparison of lipids between cultured and wild sea breams. B. Jpn. Soc. Sci. Fish. 49: 1405-1409 (1983) 

  3. Morishita T, Uno K, Araki T, Takahashi T. Comparison of the fatty acid compositions in cultured red sea bream differing the localities and culture methods, and those in wild fish. B. Jpn. Soc. Sci. Fish. 55: 847-852 (1989) 

  4. Nakagawa H, Kumai H, Nakamura M, Kasahara S. Effect of algae supplemented diet on serum and body constituents of cultured yellow tail. B. Jpn. Soc. Sci. Fish. 51: 279-286 (1985) 

  5. Suyama M, Hirano T, Okada N, Shibuya T. Quality of wild and cultured ayu-: On the proximate composition, free amino acids and related compounds. B. Jpn. Soc. Sci. Fish. 43: 535-540 (1977) 

  6. Ohshima T, Widjaja HD, Wada S, Koizumi C. A comparison between cultured and wild ayu lipids. B. Jpn. Soc. Sci. Fish, 48:1795-1801 (1982) 

  7. Yang ST, Lee EH. Taste compounds of fresh water fishes: 5. Sensory evaluation of taste components in the extract of wild common carp and korean snakehead meat. B. Korean Fish. Soc. 15:303-311 (1982) 

  8. Yang ST, Lee EH. Taste compounds of fresh water fishes: 9. Taste compounds of wild loach meat. B. Korean Fish. Soc. 17:177-183 (1984) 

  9. Kim HY, Shin JW, Sim GC, Park HO, Kim HS, Kim SM, Cho JS, Jang YM. Comparison of the taste compounds of wild and cultured eel, puffer, and snake head.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058-1067 (2000) 

  10. Park BH, Park SH, Jo JS. A study on the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freshness of cultivated and wild Paralichthys olivaceus during storage. Korean J. Soc. Food Cook. Sci. 19: 72-78 (2003) 

  11. Sato M, Yoshinaka R, Nishinaka Y, Morimoto H, Kojima T, Yamamoto Y, Ikeda S. Comparison of nutritive components in meat of wild and cultured bastard halibut Paralichthys olivaceus. B. Jpn. Soc. Sci. Fish. 52: 1043-1047 (1977) 

  12. Lee KH, Lee YS. Muscle quality of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Korean J. Soc. Food Sci. 13: 448-452 (1997) 

  13. Lee KH, Lee YS. The effect of lipid and collagen content, drip volumn on the muscle hardness of cultured and wild red sea bream (Pagrosomus auratus) an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olivaceus). Korean J. Soc. Food Sci. 16: 352-357 (2000) 

  14. Lee KH, Lee YS. Observation of muscle structure and DSC measurement of collagen of the cultured and wild red sea bream and flounder. Korean J. Soc. Food Cook. Sci. 17: 549-554 (2001) 

  15. Kim HY, Shin JW, Park HO, Choi SH, Jang YM, Lee SO. Comparison of the taste compounds of red sea bream, rockfish, and flounders differing in the localities and grow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550-563 (2000) 

  16. Ioka H, Yamanaka H. Quality evaluation of the muscle of cultured plaice fed with three different diets. Nippon Suisan Gakk. 63: 370-377 (1997) 

  17. Kim KW, Kang YJ, Kim KD, Choi SM, Lee JY, Moon Lee HY, Bai SC C. Long-term evaluation of muscle quality of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ed with extruded pellet. J. Aquaculture 20: 51-55 (2007) 

  18.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 ^{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lington, VA, USA (1990) 

  19. Folch J, Lees M, Sloane Stanley GH.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1957) 

  20. Hatae K, Lee KH, Tsuchiya T, Shimada A. Textural properties of cultured and wild fish meat. Nippon Suisan Gakk. 55: 363-368 (1989) 

  21. Duncan DB. Multiple-range and multiple F tests. Biometrics. 11:1-42 (1955) 

  22. Grundy SM. Comparison of mpnounsaturated fatty acids and carbohydrates for lowering plasma cholesterol. New Engl. J. Med. 314: 2855-2856 (1986) 

  23. Lunt DK, Smith SB. Wagyu beefs holds profit potential for U.S. feed lot. Feedstuffs 19: 18-26 (1991) 

  24. Dryden FD, Marchello JA. Influence of total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upon the palatability of three bovine muscles. J. Anim. Sci. 31: 36-43 (1970) 

  25. Campo MM, Nute GR, Wood JD, Elmore SJ, Mottram DS, Enser M. Modeling the effect of fatty acids in odour development of cooked meat in vitro: Part Sensory perception. Meat Sci. 63: 367-375 (2003) 

  26. Elmore JS, Mottram DS, Enser M, Wood JD. Effect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 composition of beef muscle on the profile of aroma volatiles. J. Agr. Food Chem. 48: 1619-1625 (1999) 

  27. Wood JD, Richardson RI, Nute GR, Fisher AV, Campo MM, Kasapidou E, Sheard PR, Enser M. Effect of fatty acids on meat quality: A review. Meat Sci. 66: 21-32 (2004) 

  28. Shackelford SD, Reagan JO, Haydon KD, Miller MF. Effects of feeding elevated levels of monounsaturated fats to growing-finishing swine on acceptability of boneless hams. J. Food Sci. 55:1485-1517 (1990) 

  29. Whittington FM, Prescott NJ, Wood JD, Enser M. The effect of dietary linoleic acid on the firmness of backfat of 85kg live weight. J. Sci. Food Agr. 37: 753-761 (1986) 

  30. Busboom JR, Miller GJ, Field RA, Crouse JD, Riley ML, Nelms GE, Ferrell CL. Characteristics of fat from heavy ram and wether lambs. J. Anim. Sci. 52: 83-92 (1981) 

  31. Vatansever L, Kurt E, Enser M, Nute GR, Scollan ND, Wood JD, Richardson RI. Shelf life and eating quality of beef from cattle of different breeds given diets differing in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 composition. J. Anim. Sci. 71: 471-482 (2000) 

  32. Lee EH, Sung NY. The taste compounds of fremented aquid, Loligo robien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9: 255-263 (1977) 

  33. Park BH. Study on the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freshness of cultivated and wild Paralichthys olivaceus.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