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500W급 풍력발전기 복합계 블레이드의 설계 및 충격손상 안전성 연구
Investigation on Design and Impact Damage for a 500W Wind Turbine Composite Blade 원문보기

복합재료 : 한국복합재료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osite Materials, v.22 no.1, 2009년, pp.22 - 31  

공창덕 (조선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  최수현 (조선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  박현범 (조선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  김상훈 (조선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화석 연료가 고갈됨에 따라 대체 에너지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여러 대체 에너지들 중 풍력 발전기는 바람의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바꾸어 주는 시스템으로 매우 친환경적이기 때문에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표는 500W급 소형 풍력 발전용 블레이드의 개발로서 외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풍속이 낮은 국내와 같은 지역에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 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피로수명을 고려한 고효율 경량화 블레이드의 공력설계 및 구조설계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구조해석으로 선형 정적해석, 좌굴해석, 진동모드해석이 수행되었다. 또한 풍력 발전 시스템에 발생할 수 있는 유체충돌해석을 모사하였다. 해석결과들은 유압시험장비를 이용한 구조시험 빛 성능시험의 결과와 비교되었고, 비교적 잘 일치하여 설계결과의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wind energy has been alternatively used as a renewable energy resource instead of the mostly used fossil fuel due to its lack and environmental issues. This work is to propose a structural design and analysis procedure for development of the 500W class small wind turbine system which w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검토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 해석적 접근을 수행하였으므로 적용한 유한요소 코드인 MSC/DYTRAN을 이용한 조류 충돌 해석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7].
  • 또한, 풍력발전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50m/s의 풍속을 동반하는 폭풍이 부는 경우 작동을 제한하지만, 이 경우 역시 거센 바람에 휩쓸려 블레이드에 어떤 물체가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물체를 조류로 가정하여 폭풍이 부는 상황의 조류 충돌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여 블레이드의 조류 충돌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여기서 충돌 위치는 회전중심으로 터 0.

가설 설정

  • 4m로 임의로 설정되었다. 본 연구 대상인 블레이드는 Glass/Epoxy 재질을 가지고있으므로 준등 방성으로 가정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Table 7은 블레이드와 조류에 적용된 물성값을 나타내고, Table 8은 해석결과값이고 Fig.
  •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 블레이드의 형상이 작고 국내에 가장 많이 서식하는 조류가 참새 이므로 충격 모델로 참새를 가정하였다. 조류형상은 앞뒤 반구에 원통형 형상으로 가정하여 구현하였으며 Fig.
  • 조류형상은 앞뒤 반구에 원통형 형상으로 가정하여 구현하였으며 Fig. 12에 조류의 형상을 나타내었다. 결정된 조류 형상을 바탕으로 알루미늄 평판에 충돌해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선행 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신뢰성 검증을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공창덕, 방조혁, "1 kW급 소행 풍력 발전용 블레이드의 공력 설계 변수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우주학회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2003 

  2. 공창덕, 방조혁, 오경원, "1 kW급 소형 풍력 발전용 블레이드의 구조 설계", 한국항공우주학회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2003 

  3. Dieter, G. E et al., "Assessment of Research Needs for Wind Turbine Rotor Materials Technology," National Academy Press, pp. 5-65, 1991 

  4. Gourieres, D. L., "Wind Power Plant," Pergamon Press, 1982 

  5. 공창덕, "항공기 구조역학," 조선대학교 출판부, 2004 

  6. Spera D. A., "Dynamic Loads in Horizontal Axis Wind Turbines Part II : Empirical Equations," Windpower '93, 1993 

  7. 손 정삼, "수막해석을 위한MSC/Dytran 입력 파일 생성 전문가 프로그램 개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8. 문창오 외 "항공기용 Windshield의 조류충돌 저항성 평가", 한국항공우주학회지, 제24권, 제2호, 1996, pp. 95-1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