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이패션에 나타난 패션구두의 조형성
A Study on the Formativeness of the Fashion Shoes in High Fashion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9 no.9, 2009년, pp.55 - 70  

이효진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formativeness of women fashion shoes shown in the high fashion since 2000 along with the necessity of study for such purposes. Fashion shoes designed for the perfection of high fashion have been positioned as an important item to increase the value of fashion. Subseq...

주제어

참고문헌 (70)

  1. Laurie lawlor (1996). Where will this shoe take you? : a walk through the history of footwear. 임자경 역(2002). 신발의 역사. 도서출판 이지북, p. 67 

  2. 위의 책, p. 117 

  3. 박세은 (2004.3.11). 패션의 계절, 구두에 중독되다, 주간한국. 자료검색일 2009. 5. 12. 자료출처 http://hankooki.com 

  4. Bronwyn Cosgrave (2000). The Complete History of Costume & Fashion. Chekmark Book, p. 24 

  5. 임자경 역. 앞의 책, p. 24 

  6. Bronwyn Cosgrave, op. cit.. p. 75 

  7. J Anderson Black & madge Garland (1982). A History of Fashion. 윤길순 역 (2005). 세계패션사, 간디서원, p. 92 

  8. 위의 책, p. 121 

  9. Bronwyn Cosgrave. op. cit., p. 108 

  10. J Anderson Black & madge Garland, op. cit., p. 149 

  11. Max von Boehn (1907-1925). Die Mode 이재원 역 (2000). 패션의 역사(상). 한길아트, pp. 130-131 

  12. 임자경 역. 앞의 책, p. 90 

  13. 이재원 역 (2000). 앞의 책, pp. 130-131 

  14. Bronwyn Cosgrave, op. cit., p. 159 

  15. Max von Boehn (1907-1925). Die Mode. 천미수 역(2002). 패션의 역사(하). 한길아트, pp. 78-79 

  16. 윤길순 역. 앞의 책, p. 308 

  17. 위의 책, p. 334 

  18. Gertrud Lehnert (2003). Schnellkurs Mode. 박수진 역 (2005). 패션, 예경. p. 107 

  19. Adrian Baily (1988). The Passion For Fashion. Dragon's world. p. 48 

  20. Valerie Mendes & Amy de la Haye (1999). 20th Century Fashion. Yale University Press, p. 51 

  21. 박수진 역. 앞의 책, p. 116 

  22. Ingrid Loschk (2001). Mode im 20. Jahrhundert : eine Kulturgeschichte unserer Zeit. 이재원 역(2002). 여성들은 다시 가슴을 높이기 시작했다. (20세기 패션문화사). 한길아트, p. 111 

  23. 이재원 역 (2002). 앞의 책, pp. 111-113 

  24. Adrian Baily (2008). The Passion For Fashion. Toronto: McClelland & Stewart Ltd, p. 154 

  25. Valerie Mendes & Amy de la Haye, op. cit., p. 86 

  26. Colin McDowell (1989). SHOES. London: Thames & Hudson, p. 178 

  27. 이재원 역 (2002). 앞의 책, p. 233 

  28. Colin McDowell. op. cit.. p. 182 

  29. Georgina O'Hara Callan (1988). Dictionary of Fashion and Fashion Designers. Thames & Hudson, p. 99 

  30. 이재원 역 (2002). 앞의 책, p. 252 

  31. 김민자, 최현숙, 이현주 (2001). 서양신발의 사적 고찰과 미적 가치 I. 복식, 51(5), p. 170 

  32. 이재원 역 (2002). 앞의 책, p. 381 

  33. Georgina O'Hara Callan. op. cit.. p. 72 

  34. 윤길순 역. 앞의 책, p. 506 

  35. Valerie Mendes & Amy de la Haye, op. cit.. pp. 166-167 

  36. Georgina O'Hara Callan, op. cit.. p. 234 

  37. Kate Mulvey & Melissa Richard (1997). DECADES of BEAUTY. New York: Checkmark books, p. 186 

  38. 이재원 역 (2002). 앞의 책, p. 476 

  39. Georgina O'Hara Callan. op. cit.. p. 75 

  40. Valerie Mendes & Amy de la Haye, op. cit., p. 263 

  41. Colin McDowell, op. cit.. p. 202 

  42. 스포츠한국. 2004.08.31, 자료검색일 2005.7.21.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post/print/postprint.jsp 

  43. 변미연. 이언영. 이인성 (2006). 디자이너 장 폴 고티에의 페티시즘에 관한 패러다임. 한국생활과학회지, 15(6), p. 1064 

  44. 위의 책, p. 1064 

  45. Valerie Steele (1996). Fetish.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p. 91 

  46. Colin McDowell. op. cit., p. 78 

  47. 최재우 (2005. 11. 7). FEM COLLECTION 2006 s/s. vol. 18, modanews co. ltd.. p. 252 

  48. STYLE.COM KOREA. 2007-08 f/w Jean Paul Gaultier. 자료검색일 2009. 4. 9. 자료출처 http://www.style.co.kr/ 

  49. STYLE.COM KOREA. 2009 s/s Christian Dior. 자료검색일 2009. 7. 6. 자료출처 http://www.style.co.kr/ 

  50. Colin McDowell. op. cit.. p. 208 

  51. STYLE.COM KOREA, 2007 s/s Balenciaga. 자료검색일 2009. 4. 9. 자료출처 http://www.style.co.kr/ 

  52. 이태형 (2007. 4. 9). COLLECTION 2007-08 f/w, (주)동아TV. p. 179 

  53. STYLE.COM KOREA, 2007-08 f/w Christian Dior. 자료검색일 2009. 5. 21, 자료출처 http://www.style.co.kr/ 

  54. STYLE.COM KOREA, 2009 f/w Balmain, 자료검색일 2009. 7. 6, 자료출처 http://www.style.co.kr/ 

  55. 이효진 (2003). 현대복식에 표현된 맥시멀리즘 연구. 복식문화연구, 11(2), p. 279 

  56. 위의 책, p. 276 

  57. 이태형 (2003. 4. 8). COLLECTION 2003-04 f/w, (주)동아TV, p. 88 

  58. 이태형 (2004. 11. 11). COLLECTION 2005 s/s, (주)동아TV, p. 240 

  59. 최재우. 앞의 책, p. 252 

  60. STYLE.COM KOREA. 2008 s/s Sergio Rossi, 자료검색일 2009. 5. 10, 자료출처 http://www.style.co.kr/ 

  61. STYLE.COM KOREA, 2009 f/w Bruno Frisoni, 자료검색일 2009. 7. 6, 자료출처 http://www.style.co.kr/ 

  62. STYLE.COM KOREA, 2009 f/w Nicholas Kirkwood, 자료검색일 2009. 7. 6, 자료출처 http://www.style.co.kr/ 

  63. 두산 백과사전 (2009. 4. 10), 자료검색일 2009. 4. 7. 자료출처 http://EnCyber & EnCyber.com 

  64. STYLE.COM KOREA, 2009 s/s Giambattista Valli, 자료검색일 2009. 7. 6, 자료출처 http://www,style.co.kr/ 

  65. STYLE.COM KOREA, 2009 s/s Roger Vivier. 자료검색일 2009. 7. 6, 자료출처 http://www.style.co.kr/ 

  66. STYLE.COM KOREA, 2005-06 f/w Dolce & Gabana, 자료검색일 2009. 4. 9, 자료출처 http://www.style.co.kr/ 

  67. STYLE.COM KOREA, 2008s/s Christian Lacroix, 자료검색일 2009. 5. 10, 자료출처 http://www.style.co.kr/ 

  68. STYLE.COM KOREA, 2009s/s Christian Dior, 자료검색일 2009. 7. 6, 자료출처 http://www.style.co.kr/ 

  69. STYLE.COM KOREA, 2008 s/s Givenchy, 자료검색일 2009. 5. 10, 자료출처 http://www.style.co.kr/ 

  70. STYLE.COM KOREA, 2009 f/w Brian Atwood. 자료검색일 2009. 7. 6, 자료출처 http://www.style.c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