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고위험 신생아에서 Bayley 발달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발달 예후인자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neurodevelopmental predictors for the results of the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II in high-risk neonate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52 no.11, 2009년, pp.1221 - 1227  

우미경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소아청소년과) ,  김동욱 (안동병원 소아청소년과) ,  허경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소아청소년과) ,  심규홍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소아청소년과) ,  최명재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소아청소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신생아 집중치료술이 발달함에 따라 미숙아 및 극소 저체중 출생아 등의 고위험 신생아의 생존율이 크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고위험 신생아의 생존율 향상과 더불어 생존 환아에서 발육 지연, 뇌성마비, 청력 저하 등 신경학적 발달 이상을 보이는 환아의 수도 증가하여 이들 환아들의 이상을 보다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추적 관찰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저자들은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서 치료 후 퇴원한 환아 중 위험한 주산기 인자들로 인하여 발달 이상의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고위험 신생아로 추적 관리를 받고 있는 환아에서 Bayley 발달 검사를 이용하여 발달 이상의 위험 인자를 확인하기 위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2002년 1월부터 2005년 11월까지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하였던 신생아 중에서 퇴원 후 외래에서 추적 관리하였던 환아 중 Bayley 발달 검사를 시행한 94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32주 미만의 재태 연령, 극소 저체중 출생아, 5점 이하의 Apgar 점수, 뇌 초음파 및 자기 공명 검사상 뇌실 내 출혈 혹은 뇌실주위 백색질 연화증 등의 이상, 신생아 소생술을 시행한 경우, 신생아 경련 또는 선천성 감염 중 한 가지 이상의 요인이 있었던 환아이다. 대상 환아들의 발달 검사로 Bayley 발달 검사(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II)를 임상심리치료사가 시행하였고, MDI와 PDI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결 과:뇌 초음파 및 자기 공명 검사는 MDI, PDI와 각각 통계적인 연관성을 보였으며(P<0.05, P<0.001), 뇌실주위 백색질 연화증의 경우 MDI는 $70.10{\pm}28.68$, PDI는 $69.70{\pm}24.91$로 의미 있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MDI보다 PDI가 뇌의 영상학적 검사 소견과 상관관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PDI는 1분 Apgar 점수 및 극소 저체중 출생아와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P<0.05). Bayley 발달 검사 결과는 성별, 재태 연령, 신생아 소생술 여부, 신생아 경련과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 결 론:신생아 집중 치료실에서 치료받은 고위험 신생아를 추적 관찰하며 Bayley 발달 검사를 시행하였을 때, 검사 결과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는 뇌의 영상학적 검사 소견, 1분 Apgar 점수 및 극소 저체중 출생아였다. 그 중 뇌의 영상학적 검사 소견상 이상이 있는 경우 발달 장애의 가능성이 가장 높고, 그 외의 위험 요인에 대해서도 주기적인 추적 관찰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poor neurodevelopmental outcomes in high-risk neonates. Methods:We studied 94 infants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t the Sanggye Paik Hospital between January 2002 and November 2005 and evaluated the follow-up data. The following events were ...

주제어

참고문헌 (33)

  1. Korean J Pediatr Lee 49 1050 2006 10.3345/kjp.2006.49.10.1050 

  2. Korean J Pediatr Jeon 50 1067 2007 10.3345/kjp.2007.50.11.1067 

  3. Early Hum Dev Stoelhorst 72 83 2003 10.1016/S0378-3782(03)00011-2 

  4. Pediatrics Vohr 105 1216 2000 10.1542/peds.105.6.1216 

  5.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Bayley 1993 2nd ed 

  6. J Pediatr Papile 92 529 1978 10.1016/S0022-3476(78)80282-0 

  7. J Korean Soc Neonatol Shin 12 233 2005 

  8. J Korean Soc Neonatol Ma 10 7 2003 

  9. BMC Pediatr Washburn 7 20 2007 10.1186/1471-2431-7-20 

  10. Pediatrics D'Angio 110 1094 2002 10.1542/peds.110.6.1094 

  11. Pediatrics Fily 117 357 2006 10.1542/peds.2005-0236 

  12. Pediatrics Delobel-Ayoub 117 1996 2006 10.1542/peds.2005-2310 

  13. J Dev Behav Pediatr Als 24 399 2003 10.1097/00004703-200312000-00001 

  14. Pediatrics Farooqi 120 118 2007 10.1542/peds.2006-2988 

  15. Arch Pediatr Adolesc Med Hack 154 725 2000 10.1001/archpedi.154.7.725 

  16. Arch Pediatr Adolesc Med Whitaker 160 1040 2006 10.1001/archpedi.160.10.1040 

  17. N Engl J Med Marlow 352 9 2005 10.1056/NEJMoa041367 

  18. J Korean Child Neurol Soc Kang 15 67 2007 

  19. Indian Pediatr Iype 45 749 2008 

  20. J Korean Pediatr Soc Lee 46 784 2003 

  21. Pediatrics van de Bor 90 196 1992 10.1542/peds.90.2.196 

  22. Pediatrics Vohr 116 635 2005 10.1542/peds.2004-2247 

  23. J Korean Soc Neonatol Lee 9 167 2002 

  24. J Pediatr Patra 149 169 2006 10.1016/j.jpeds.2006.04.002 

  25. J Pediatr De Vries 144 815 2004 10.1016/j.jpeds.2004.03.034 

  26. N Engl J Med Woodward 355 685 2006 10.1056/NEJMoa053792 

  27. Pediatrics O'Shea 122 e662 2008 10.1542/peds.2008-0594 

  28. Semin Perinatol Kinney 30 81 2006 10.1053/j.semperi.2006.02.006 

  29. J Neuroimaging O'Rourke 2008 

  30. Curr Opin Infect Dis Adams-Chapman 19 290 2006 10.1097/01.qco.0000224825.57976.87 

  31. JAMA Stoll 292 2357 2004 10.1001/jama.292.19.2357 

  32. Arch Dis Child Fetal Neonatal Ed Wood 90 F134 2005 10.1136/adc.2004.052407 

  33. Pediatrics Whitaker 98 719 1996 10.1542/peds.98.4.7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