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일부 응급구조사들의 응급처치 시행내용과 관련 요인
The Contents of Emergency Treatment Practice Conducted by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and Related Factors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34 no.3, 2009년, pp.346 - 358  

정상길 (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광양보건대학 응급구조과) ,  김기순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조수형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  강명근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한미아 (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여러 기관에 근무하는 응급구조사들의 응급처치 시행내용과 관련요인을 파악코자 2008년 6월 대한응급구조사협회에서 주최하는 보수교육에 참여한 자중 80명과 특정지역 119구급대 소속 53명, 총 133명에게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조사대상 응급구조사들의 응급처치 내용별 빈도를 보면 생체징후감시가 가장 많았고 그다음이 산소포화도 측정, 산소투여, 지혈 및 창상처치, 심전도 감시 순으로 많았다. 응급처치 23개 전체항목 시행횟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요인은 거주지 구분과 자격종류이었으며 단일 응급처치항목으로서 정맥로 연결 시행횟수의 유의한 관련요인은 대상자의 성별, 정맥로 연결에 대한 중요성 인식도이었고 근무기관의 종류도 경계역에서 유의한 관련요인으로 선정되었다. 심전도 감시 시행횟수의 유의한관련요인은 대상자의 성별로 남성보다 여성이 시행횟수가 많았다. 따라서 응급구조사들의 응급처치 시행횟수를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유지케 하기 위해서는 응급구조사들의 응급처치에 대한 중요성 인식도, 응급처치에 대한 자신감 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남성 응급구조사, 2급 응급구조사,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응급구조사들에 대한 관리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응급구조사들의 응급처치 시행에 대한 적절성 평가와 더불어 응급구조사 역할 발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A study was conducted by analysing the contents and frequency of emergency treatment practiced by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EMTs) in emergency situations and contains related factors. Methods: The study subjects included 80 EMTs who participated in ongoing education classes during th...

Keyword

참고문헌 (19)

  1. Kreis D, Plascencia G, Augenstein D, Davis JH, Echenique M, Vopal J. Preventable trauma deaths:Dade country, Florida. J Trauma 1986;26:649-54 

  2. Kim Y. To improve the qualit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J Korean Hospital Assoc 2004;12:31-49(Korean) 

  3. Kim Y, Jung KY, Cho KH, Kim H, Ahn HC, Oh SH, Lee JB, Yu SJ, Lee DI, Im TH, Kim SE, Park JH. Preventable trauma deaths rates and management errors in emergency medical system in Korea. J Korean Soc Emerg Med 2006;17(5):385-394(Korean) 

  4. Ahn KO, Hong GY, Kim Y, Jung KY. Appropriate interhospital transfer of emergency patients. J Korean Soc Emerg Med 2005;17(2):138-145(Korean) 

  5. 강병우.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서울, 청구문화사, 2009, 쪽122-123 

  6. 양미숙. 일 대학 병원 응급의료센터 이용자의 병원전 응급의료체계의 인식도와 만족도 분석.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7. Kim ML, Cho SH, Cho NS, Kim SJ. Perception of satisfaction with future of 119 rescue in the view of the user. J Korean Soc Emerg Med 2003;14(4):353-359(Korean) 

  8. 기은영. 소방응급의료서비스의 유료화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9. 김윤. 응급의료 기본계획 수립 및 응급의료 운영 체계평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5 

  10. Ko JM, Kim JH, Jo JM. Improvement of device on scope of practice of paramedic in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s act. The J Korean Soc Med Technology 2007;11(3):17-30(Korean) 

  11. Choi GS, Kim YG. Analysis of prehospital care report for improving emergency service at prehospital phase. The J Korean Soc Emerg Med Technology 2007;11(3):163-173(Korean) 

  12. 노상균. 119구급대의 응급처치 업무 및 제도개선 방안.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3. 안기옥. 국내 병원전 전문응급처치 현황. 대한응급의학회 초록집 2008, 쪽59-68 

  14. Song KJ, Jeong JS, Hong KJ, Shin SD, Suh GJ. Evaluation of the appropriateness of prehospital emergency care by 119 rescue servic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J Korean Soc Emerg Med 2008;19(3):233-244(Korean) 

  15. 윤한덕. 병원전 전문응급처치체계의 과제와 발전방향. 대한 응급의학회 초록집 2008, 쪽74-76 

  16. Stiell IG, Spaite DW, Field B, Nesbitt LP, Munkley D, Maloney J, Dreyer J, Toohey LL, Campeau T, Dagnone E, Lyver M, Wells GA. Advanced life support for out-of-hospital respiratory distress. N Engl J Med 2007;24(356):2156-2164 

  17. 신상도. 바람직한 한국형 병원 전 전문응급처치 체계의 방향. 대한 응급의학회 초록집 2008, 쪽77-83 

  18. Warren J, Fromm RE Jr, Orr RA, Rotello LC, Horst HM. American College of Critical Care Medicine. Guidelines for the inter-and intrahospital transport of critically ill patients. Crit Care Med 2004;32(1):256-262 

  19. 이강현. 응급의료서비스 체계에서의 응급의료 정보의 역할. 한국응급구조학회 초록집 2008, 쪽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