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계적 충격하중에 의한 암석의 동적손상메커니즘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Dynamic Damage Mechanism of Rocks Under Different Impact Loadings 원문보기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19 no.6 = no.83, 2009년, pp.545 - 557  

조상호 (전북대학교 자원에너지 공학과) ,  조슬기 (전북대학교 자원에너지 공학과) ,  김승곤 (전북대학교 자원에너지 공학과) ,  박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금자승비고 (일본 북해도대학교)

초록

단계별 손상에 따른 취성재료의 동적손상메커니즘을 파악하고자 국내암석을 대상으로 스플릿 홉킨슨 압력바 시스템을 이용한 단계적 충격하중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시료 내 동적손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고해상도 X-ray 단층촬영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낮은 충격하중에서는 시료 내 전반적으로 축방향 균열 즉 수직균열이 발생하지만, 충격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시료와 입사바 또는 전달바와의 접촉면에 구속효과가 발생하여 입사바와의 접촉면 중심부에 균열이 사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구속력을 적게 받는 시료의 원주표면 부근에서는 박리균열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dynamic damage mechanism of brittle materials, Split Hopkinson Pressure Bar (SHPB) have been adapted to apply different impact levels to rocks in South Korea. High resolution X-ray Computed Tomography (CT) was used to estimate the damage in tested rock samples nondestructiv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단계별 충격하중에 의한 취성재료의 동적손상 발생특성을 파악하고자 황등화강암과 보령사암을 대상으로 SHPB 시스템(조상호 외, 2008)을 이용하여 단계적 충격충격하중실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팔파 손상대 중 파괴영역이란 어떤 영역인가? 이러한 발파 손상대는 일반적으로 파괴영역(failure zone), 손상영역(damage zone), 교란영역(disturbed zone)으로 나타낸다(Chang 외, 2001, 조상호 외, 2004). 여기서 파괴영역은 발파하중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전단파괴 및 인장파괴가 발생된 영역이며, 손상영역은 암반의 미소파괴로 인하여 변형 계수 감소나 투수계수의 증가 등 암반 특성이 완전히 변화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교란영역은 응력의 재분배 등으로 인하여 응력, 수리적 특성과 같은 상태 변화가 발생하는 영역으로 암반 특성의 변화가 크지 않아 암반 특성이 원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낸다.
발파 굴착공법에 의하여 주변 암반이 손상되는 손상대는 어떤 영역으로 구분하여 나타낼 수 있는가? 터널 및 지하공간의 건설에서는 주로 발파에 의한 굴착이 이루어지는데 발파 굴착공법의 경우 폭약의 폭발에 의한 충격에너지로 암반의 파쇄를 유도하여 주변 암반에 손상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발파 손상대는 일반적으로 파괴영역(failure zone), 손상영역(damage zone), 교란영역(disturbed zone)으로 나타낸다(Chang 외, 2001, 조상호 외, 2004). 여기서 파괴영역은 발파하중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전단파괴 및 인장파괴가 발생된 영역이며, 손상영역은 암반의 미소파괴로 인하여 변형 계수 감소나 투수계수의 증가 등 암반 특성이 완전히 변화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교란영역은 어떤 영역을 나타내는 것인가? 여기서 파괴영역은 발파하중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전단파괴 및 인장파괴가 발생된 영역이며, 손상영역은 암반의 미소파괴로 인하여 변형 계수 감소나 투수계수의 증가 등 암반 특성이 완전히 변화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교란영역은 응력의 재분배 등으로 인하여 응력, 수리적 특성과 같은 상태 변화가 발생하는 영역으로 암반 특성의 변화가 크지 않아 암반 특성이 원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낸다. 암반을 대상으로 한 발파 시 충격에 대한 영향 및 발파 이후 응력의 재분배 등은 암석 및 암반 자체의 여러 물리적인 인자를 변화시킴으로써 손상영역이 나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ang S.H., M. Seto, Lee C.I. Lee, 2001, Damage and fracture characteristics of Kimachi sandstone in uniaxial compression, Geosystem Engineering, Vol. 4, pp. 18-26 

  2. 조상호, 양형식, 가네꼬카츠히꼬, 2004, SB발파에서 지발뇌관의 기폭초시오차가 암반파괴과정에 미치는 영향, 터널과 지하공간(한국암반공학회지) 14.2, pp. 121-132 

  3. 조상호, 조슬기, 천대성, 신중호, 양형식, 김승곤, 2008, 충격하중을 받은 인공취성재료의 손상평가에 관한 연구, 터널과 지하공간(한국암반공학회지) 18.6, pp. 457-464 

  4. Cho S.H, M. Yokota, Y. Ogata, S. Kobota, K. Kaneko, 2005, Microscopic visualization in a granitic rock subjected to dynamic tensile loading by using microfocus X-ray CT, Science and Technology of Energetic Material, Vol. 66, pp. 3348-3359 

  5. Vinegar H.J. 1986, X-ray CT and NMR imaging of rocks, J. Pet. Technol., 38. 3, 257-259 

  6. Lin C.L., J.D. Miller, 1996, Cone beam X-ray microtomography for three-dimensional liberation analysis in the 21st century, Int. J. Miner. Process, Vol 47, pp. 61-73 

  7. 박혁, 정교철, 2002, 단계별 손상에 따른 화강암의 손상 발달특성 연구,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12, pp. 273-284 

  8. Nasseri, M.H.B., R.P. Young, F. Rezanezhad, S.H. Cho, 2009, Application of 3D X-ray CT scanning techniques to evaluate fracture damage zone in anisotropic granitic rock, 3rd US-Canada rock mechanic symposium, Toronto, Canada, pp. 55-56 

  9. 장수호, 신일재, 최용근, 이정인, 2000, 발파에 의한 터널 주변 암반의 손상영역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16.5, pp. 129-140 

  10. 최병희, 정주환, 신중호, 조철현, 2008, 탄성파 탐사법을 활용한 광산갱도 주벽의 발파 손상대 평가, 대한화약발파공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 21-31 

  11. Kim D.S. and M.K. McCarter , 1998, Quantitative assessment of extrinsic damage in rock materials, Rock Mech. Rock Engng. 31.1, pp. 152-17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