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잠김-압박 금속판을 사용하여 MIPPO 수기를 적용한 원위부 경골 골절의 치료: 관절내 골절과 관절외 골절의 비교
Treatment of Distal Tibia Fracture using MIPPO Technique with Locking Compression Plate: Comparative Study of the Intraarticular Fracture and Extraarticular Fracture 원문보기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v.13 no.2, 2009년, pp.162 - 168  

정수태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명지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김형수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명지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차승도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명지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유정현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명지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박재형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명지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김주학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명지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정진하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명지병원 정형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e minimally invasive percutaneous plate osteosynthesis (MIPPO) with locking compression plate (LCP) for distal tibial metaphyseal intra-articular fracture compared with extra-articular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2006 to June 2008, 21 pat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85세(범위, 24~76세)였다. 32예에서 비골 골절이 동반되었고, 이중 27예의 외과 골절에 대해서는 1/3 관상 금속판(1/3 tubular plate)을 이용하여 고정하였으며 5예의 전위가 경미한 근위부 비골 골절에 대해서는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총 21예에서 관절내 골절이 있었고, 이 경우 모두 외과 골절이 동반되었다.
  • 외과 골절이 동반된 경우 관혈적 정복술 및 내부 고정술을 시행하여 비골의 길이를 맞춘 뒤, 전위가 있는 관절내 골절의 경우 골절면의 위치가 외측에 있을 경우에는 외과 골절의 수술 절개면을 이용하여 전외방 관절막을 절개한 뒤 관절 면을 정복하였으며, 골절면의 위치가 내측에 있을 경우 관절 전내측의 최소 절개를 통하여 관절면을 정복하고 유관 나사 고정을 시행하였다. 경골 골절에 대해 피부 바깥에서 정복 겸자를 이용하여 비관혈적 정복 후에, K-강선이나, 정복 겸자로 골절부의 일시적인 고정을 유지한 후(Fig. 3), 적절한 길이의 금속판을 경골 내측면의 피부에 압박하여 방사선 투시경하에 적절한 위치를 확인하고, 경골 내과 부위에 2 cm, 골절 근위부 골간단부에 2 cm 크기의 최소 피부 절개 후 피부와 피하층을 경골로부터 조심스럽게 박리하고 골막 박리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경골면을 따라 잠김 압박 금속판(LCP, distal medial tibia plate, Synthes, Swiss)을 원위부에서 근위부를 향하여, 골막하로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경피적으로 삽입하였다(Fig. 4). 금속판의 원위부 끝 부위는 경골 내과의 정측면에 대해 약간 전방에 위치하게 하였고 근위 부위는 경골 내측면의 중앙에 위치하게 하고, 골절에서 근위부로 네 홀 이상이 되도록 하였다.
  • 총 21예에서 관절내 골절이 있었고, 이 경우 모두 외과 골절이 동반되었다. 관절 골절면의 전위가 1 mm이내인 7예에서는 잠김 나사가 골절선을 지나 고정되도록 하였으며, 이들을 제외하고 14예에서 경골의 관절내 골절에 대해 최소 절개를 통한 유관 나사못(cannulated screw) 고정을 시행하였다. AO/OTA 분류에 의하면 A1형이 11예, A2형이 6예, A3형이 3예로 관절외 골절이 20예, B1형이 10예, B2형이 3예, B3형이 1예, C1형이 2예, C2형이 4예, C3형이 1예로 관절내 골절이 21예였다.
  • 금속판의 원위부 끝 부위는 경골 내과의 정측면에 대해 약간 전방에 위치하게 하였고 근위 부위는 경골 내측면의 중앙에 위치하게 하고, 골절에서 근위부로 네 홀 이상이 되도록 하였다. 방사선 투시경 하에 금속판 위치와 골절 정복된 상태를 확인하면서 잠김 나사못(locking screw) 고정을 경피적으로 실시하였다(Fig. 5). 정복 후에 만족스럽게 정복이 된 경우 일반 나사를 삽입하지 않고 내적 외고정 장치(internal external fixation)의 개념으로 잠김 나사못으로만 고정을 하였으며, 정복 후 약간의 전위나 일반 나사를 이용하여 골절면의 압박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일반 나사를 이용하여 압박하거나 골절 편을 금속판으로 밀착시켜 좀 더 정복하는 방법으로 고정을 시행하였다.
  • 수술 후 4주까지 단하지 석고 고정을 시행한 뒤 족관절 운동을 시행하였으며 관절외 골절의 경우 4주부터, 관절내 골절의 경우 6주부터 목발과 발목 보조기를 사용하여 부분 체중 부하를 시행하였다. 방사선학적 골유합 소견이 보이면 완전 체중 부하를 시행하였고 가장 마지막 추시 일을 기준으로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골절의 유합은 방사선학적으로 전후 및 측면 방사선 사진 상 4면 중 3면 이상에서 골소주가 통과하는 것과 체중 부하 시 골절부에 동통이 없을 때로 판단하였고, 부정 유합의 기준으로는 건측의 방사선 소견과 비교하여 5 mm 이상 단축이 있을 때나 5° 이상의 각 변형이나 회전 변형이 있을 때 부정 유합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 정복 후에 만족스럽게 정복이 된 경우 일반 나사를 삽입하지 않고 내적 외고정 장치(internal external fixation)의 개념으로 잠김 나사못으로만 고정을 하였으며, 정복 후 약간의 전위나 일반 나사를 이용하여 골절면의 압박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일반 나사를 이용하여 압박하거나 골절 편을 금속판으로 밀착시켜 좀 더 정복하는 방법으로 고정을 시행하였다. 수술 종료 전 금속판의 위치와 정렬을 재확인하고 피부봉합 후 단하지 석고 부목 고정을 시행하였다.
  • 수술 후 4주까지 단하지 석고 고정을 시행한 뒤 족관절 운동을 시행하였으며 관절외 골절의 경우 4주부터, 관절내 골절의 경우 6주부터 목발과 발목 보조기를 사용하여 부분 체중 부하를 시행하였다. 방사선학적 골유합 소견이 보이면 완전 체중 부하를 시행하였고 가장 마지막 추시 일을 기준으로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 환자를 전신 마취 또는 척추 마취 하에 방사선 투과성 수술대에 앙와위로 눕히고 영상 증폭기 하에 수술을 시작하였다. 외과 골절이 동반된 경우 관혈적 정복술 및 내부 고정술을 시행하여 비골의 길이를 맞춘 뒤, 전위가 있는 관절내 골절의 경우 골절면의 위치가 외측에 있을 경우에는 외과 골절의 수술 절개면을 이용하여 전외방 관절막을 절개한 뒤 관절 면을 정복하였으며, 골절면의 위치가 내측에 있을 경우 관절 전내측의 최소 절개를 통하여 관절면을 정복하고 유관 나사 고정을 시행하였다. 경골 골절에 대해 피부 바깥에서 정복 겸자를 이용하여 비관혈적 정복 후에, K-강선이나, 정복 겸자로 골절부의 일시적인 고정을 유지한 후(Fig.
  • 골절의 유합은 방사선학적으로 전후 및 측면 방사선 사진 상 4면 중 3면 이상에서 골소주가 통과하는 것과 체중 부하 시 골절부에 동통이 없을 때로 판단하였고, 부정 유합의 기준으로는 건측의 방사선 소견과 비교하여 5 mm 이상 단축이 있을 때나 5° 이상의 각 변형이나 회전 변형이 있을 때 부정 유합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건측 족근 관절의 운동 범위를 기준으로 하여 관절 운동 제한을 측정하였고, 기능적 평가를 위해 Olerud와 Molander의 족관절 평가표24)를 이용하여 90점 이상을 우수, 80~90점을 만족, 80점 이하를 불만족으로 판정하였다. 관절내, 관절외 골절을 나누어 각각의 방사선적 평가와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고 두 집단 간 항목의 통계적 유의성을 p<0.
  • 5). 정복 후에 만족스럽게 정복이 된 경우 일반 나사를 삽입하지 않고 내적 외고정 장치(internal external fixation)의 개념으로 잠김 나사못으로만 고정을 하였으며, 정복 후 약간의 전위나 일반 나사를 이용하여 골절면의 압박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일반 나사를 이용하여 압박하거나 골절 편을 금속판으로 밀착시켜 좀 더 정복하는 방법으로 고정을 시행하였다. 수술 종료 전 금속판의 위치와 정렬을 재확인하고 피부봉합 후 단하지 석고 부목 고정을 시행하였다.
  • 전통적인 관혈적 정복 및 금속판 내고정술은 광범위한 연부조직의 절개와 골막의 박리로 창상 감염, 지연 유합, 불유합의 발생율이 높으며22,23,30)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은 원위부의 골편이 작은 경우와, 관절내 골절이나 복잡 골절인 경우 충분한 고정을 얻을 수 없고, 외고정은 핀 감염과 부정 유합 등의 발생 빈도가 높다. 최근 경골 원위부 골절을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을 이용하여 좋은 결과를 낸 연구14-16,20,26)가 많이 발표되고 있어, 저자들은 원위부 경골 골절에 대해 관절내 골절인 경우 최소 절개를 이용한 관혈적 정복 후 유관나사를 고정하고, 관절외 골절의 경우는 비관혈적 정복 후 연부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금속판을 삽입하여 나사못으로 고정하는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수기를 시행하였고 그 결과를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 환자를 전신 마취 또는 척추 마취 하에 방사선 투과성 수술대에 앙와위로 눕히고 영상 증폭기 하에 수술을 시작하였다. 외과 골절이 동반된 경우 관혈적 정복술 및 내부 고정술을 시행하여 비골의 길이를 맞춘 뒤, 전위가 있는 관절내 골절의 경우 골절면의 위치가 외측에 있을 경우에는 외과 골절의 수술 절개면을 이용하여 전외방 관절막을 절개한 뒤 관절 면을 정복하였으며, 골절면의 위치가 내측에 있을 경우 관절 전내측의 최소 절개를 통하여 관절면을 정복하고 유관 나사 고정을 시행하였다.

대상 데이터

  • 2006년 2월부터 2008년 6월까지 경골 원위 간단부 이하 골절 환자로 본원에 입원하여 최소 침습적 경피적 금속판 고정술을 이용하여 치료하였던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환자 4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관절외 골절(Fig.
  • 2006년 2월부터 2008년 6월까지 경골 원위 간단부 이하 골절 환자로 본원에 입원하여 최소 침습적 경피적 금속판 고정술을 이용하여 치료하였던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환자 4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관절외 골절(Fig. 1)과 관절내 골절 군(Fig. 2)으로 나누었으며, 관절외 골절의 경우 평균 추시 기간은 15개월(범위, 12~23개월)이었으며, 남자가 10예, 여자가 10예였고 연령은 평균 52.35세(범위, 28~77세)였다. 관절내 골절의 경우 평균 추시 기간은 14.
  • 비개방성 골절이 34예, 개방성 골절은 7예로 각각 관절외 골절군에서 4예, 관절내 골절군에서 3예였으며, Gustilo-Anderson 분류상 I형이 2예, II형이 5예였다(Table 1, 2). 사용된 내고정물은 모든 예에서 잠김 압박 금속판(LCP, distal medial tibia plate, Synthes, Swiss)을 이용하였으며, 수상 후 수술까지의 기간은 수상일로부터 0~7일까지, 평균 5.6일에 수술을 시행하였다.
  • 32예에서 비골 골절이 동반되었고, 이중 27예의 외과 골절에 대해서는 1/3 관상 금속판(1/3 tubular plate)을 이용하여 고정하였으며 5예의 전위가 경미한 근위부 비골 골절에 대해서는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총 21예에서 관절내 골절이 있었고, 이 경우 모두 외과 골절이 동반되었다. 관절 골절면의 전위가 1 mm이내인 7예에서는 잠김 나사가 골절선을 지나 고정되도록 하였으며, 이들을 제외하고 14예에서 경골의 관절내 골절에 대해 최소 절개를 통한 유관 나사못(cannulated screw) 고정을 시행하였다.

데이터처리

  • 관절내, 관절외 골절을 나누어 각각의 방사선적 평가와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고 두 집단 간 항목의 통계적 유의성을 p<0.05를 기준으로 paired student t-test를 통하여 결정하였다(Table 1,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위부 경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점이 흔히 발생하며, 족관절과 인접해 있어서 관절내 골절이 빈번하고, 치료 후 운동장애를 일으키기 쉽다. 원위부 경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로는 관혈적 정복술 및 금속판 고정술,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 외고정술의 방법 등이 있다6,8,9). 전통적인 관혈적 정복 및 금속판 내고정술은 광범위한 연부조직의 절개와 골막의 박리로 창상 감염, 지연 유합, 불유합의 발생율이 높으며22,23,30)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은 원위부의 골편이 작은 경우와, 관절내 골절이나 복잡 골절인 경우 충분한 고정을 얻을 수 없고, 외고정은 핀 감염과 부정 유합 등의 발생 빈도가 높다.
관혈적 정복 및 금속판 내고정술의 단점은 무엇인가? 원위부 경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로는 관혈적 정복술 및 금속판 고정술,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 외고정술의 방법 등이 있다6,8,9). 전통적인 관혈적 정복 및 금속판 내고정술은 광범위한 연부조직의 절개와 골막의 박리로 창상 감염, 지연 유합, 불유합의 발생율이 높으며22,23,30)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은 원위부의 골편이 작은 경우와, 관절내 골절이나 복잡 골절인 경우 충분한 고정을 얻을 수 없고, 외고정은 핀 감염과 부정 유합 등의 발생 빈도가 높다. 최근 경골 원위부 골절을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을 이용하여 좋은 결과를 낸 연구14-16,20,26)가 많이 발표되고 있어, 저자들은 원위부 경골 골절에 대해 관절내 골절인 경우 최소 절개를 이용한 관혈적 정복 후 유관나사를 고정하고, 관절외 골절의 경우는 비관혈적 정복 후 연부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금속판을 삽입하여 나사못으로 고정하는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수기를 시행하였고 그 결과를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분석하여 보고 하고자 한다.
골절 치료의 방법 중 최소 침습적 경피적 금속판 삽입술의 장점은 무엇인가? 경골 원위부의 경우, 전내 면이 피부 직하 조직이고, 관절주위라는 특징으로 인하여 전통적인 관혈적 정복술 및 내부 고정술식을 사용 시 광범위한 피부 절개와 골막 박리 등으로 인하여 피부 괴사, 관절 강직, 불유합, 부정 유합, 골수염 등의 합병증이 흔히 발생할 수 있고5,29,31) ,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은 골간단부의 분쇄 골절 이나 관절면까지 연결되는 골절선이 있을 때 사용하기가 적절하지 않으며, 외고정술의 경우 핀 주위 감염, 불유합, 관절 강직 등의 합병증이 발생한다3,12,25). 이러한 수술들의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최소한의 피부 절개로 연부조직 손상을 최소화하며 혈액순환을 높여 골유합의 확률을 높이는 방법으로 최소 침습적 경피적 금속판 삽입술이 시도되었으며13) 이는 골절부위의 연부조직을 박리하지 않고 인대 신연 술(ligamentotaxis)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골 정렬을 맞춘뒤 피하층을 따라 금속판을 밀어 넣어 골절의 근위부와 원위 부를 나사못으로 고정하는 것으로, 조작이 간편하고 분쇄 골절 시에도 각 골절편의 혈액 순환 차단을 최소화하고 골편의 혈류와 골 형성을 촉진하는 골절의 혈종을 보존할 수 있어 불유합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17,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umgaertel F, Buhl M and Rahn BA: Fracture healing in biological plate osteosynthesis. Injury, 29: 3-6, 1998. 

  2. Bone L, Stegemann P, McNamara K, et al: External fixation of severely comminuted and open tibial pilon fractures. Clin Orthop Relat Res, 292: 101-107, 1993. 

  3. Brumback RJ and Mc Carvey WC: Fractures of the tibial plafond. Evolving treatment concepts for the pilon fracture. Orthop Clin North Am, 26: 273-285, 1995. 

  4. Chang SA, Ahn HS, Byun YS, et al: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in unstable fractures of the distal tibia. J Korean Fracture Soc, 18: 155-159, 2005. 

  5. Collinge C, Sanders R and Dipasquale T: Treatment of complex tibial periarticular fractures using percutaneous techniques. Clin Orthop, 375: 69-77, 2000. 

  6. Dehne E: Ambulatory treatment of the fractured tibia. Clin Orthop, 105: 192-201, 1974. 

  7. Dillin L and Slabaugh P: Delayed wound healing, infection, and nonunion following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tibial plafond fractures. J Trauma, 26: 1116-1119, 1986. 

  8. Donald G and Seligson D: Treatment of tibial shaft fractures by percutaneous Kuntscher nailling: technical difficulties and a review of 50 consecutive cases. Clin Orthop, 178: 64-73, 1983. 

  9. Edge AJ and Denham RA: External fixation for complication tibial fracatures. J Bone Joint Surg, 63-B: 92-97, 1981. 

  10. Francois J, Vandeputte G, Verheyden F and Nelen G: Percutaneous plate fixation of fracture of the distal tibia. Acta Orthop Belg, 70: 148-154, 2004. 

  11. Frigg R: Locking compression plate(LCP). An osteosynthesis plate based on the dynamic compression plate and the point contact fixator(PC-Fix). Injury, 32 Suppl 2: 63-66, 2001. 

  12. Gerber A and Ganz R: Combined internal and external osteosynthesis a biological approach to the treatment of complex fractures of the proximal tibia. Injury, 29 Suppl 3: C22-28, 1998. 

  13. Gerber C, Mast JW and Ganz R: Biological internal fixation of fractures. Arch Orthop Trauma Surg, 109: 295-303, 1990. 

  14. Ha SH, Lee JY, Sohn HM and Shin MK: Minimally invasive percutaneous plate fixation for distal tibia shaft fractures. J Korean Orthop Assoc, 39: 386-390, 2004. 

  15. Hasenboehler E, Rikli D and Babst R: Locking compression plate with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in diaphyseal and distal tibia fractures: a retrospective study of 32 patients. Injury 38: 365-370, 2007. 

  16. Hazarika S, Chakravarthy J and Cooper J: Minimally invasive locking plate osteosynthesis for fractures of the distal tibia ?results in 20 patients. Injury, 37: 877-887, 2006. 

  17. Helfet DL, Shonnard PY, Levine D and Borrelli J: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of distal fractures of the tibia. Injury, 28 Suppl 1: A42-47, 1997. 

  18. Helfet DL and Suk M: Minimally invasive percutaneous plate osteosynthesis of fractures of the tibia. Inst Course Lect, 53: 471-475, 2004. 

  19. Kellam JF and Waddell JP: Fractures of the distal tibial metaphysis with intra-articular extension-the distal tibial explosion fracture. J Trauma, 19: 593-601, 1979. 

  20. Lee HS, Kim JJ, Oh SK and Ahn HS: Treatment of distal tibial metaphyseal fracture using MIPPO technique. J Korean Foot Ankle Soc, 8: 166-170, 2004. 

  21. Mast JW, Spiegel PG and Pappas JN: Fractures of the tibial pilon. Clin Orthop Relat Res, 230: 68-82, 1988. 

  22. Moore TJ, Watson T, Green SA, et al: Complications of surgically treated supracondylar fractures of the femur. J Trauma, 27: 402-406, 1987. 

  23. Oh CW, Oh JK, Jeon IH, et al: Minimally invasive percutaneous plate stabilization of proximal tibial fractures. J Korean Fracture Soc, 17: 224-229, 2004. 

  24. Olerud C and Molander H: A scoring scale for symptom evaluation after ankle fracture. Arch Orthop Trauma Surg, 103: 190-194, 1984. 

  25. Ovadia DN and Beals RK: Fractures of the tibial plafond. J Bone Joint Surg, 68-A: 543-551, 1986. 

  26. Park KC and Park YS: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for distal tibial metaphyseal fracture. J Korean Fracture Soc, 18: 264-268, 2005. 

  27. Ruedi T and Allgower M: Fractures of the lower end of the tibia into the ankle joint. Injury, 1: 92-99, 1969 

  28. Ruedi T, Sommer C and Leutenegger A: New techniques in indirect reduction of long bone fractures. Clin Orthop, 347: 27-34, 1998. 

  29. Teeny SM and Wiss DA: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tibial plafond fractures. Variables contributing to poor results and complications. Clin Orthop Relat Res, 292: 108-117, 1993. 

  30. Whiteside LA and Lesker PA: The effects of extraperiosteal and subperiosteal dissection. II. On fracture healing. J Bone Joint Surg, 60-A: 26-30, 1978. 

  31. Wyrsch B, McFerran MA, McAndrew M, et al: Operative treatment of fractures of the tibial plafond. J Bone Joint Surg, 78-A: 1646-1657,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