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생태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에 관한 연구 ; 경관생태학 이론을 기반으로
A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Establishing Urban Ecological Network ; Based on the Landscape Ecology Theory 원문보기

한국GIS학회지 = The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ssociation of Korea, v.17 no.3 = no.50, 2009년, pp.251 - 259  

오규식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이동우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정승현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박창석 (한국환경.정책평가 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태계 회복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특히 GIS를 이용한 환경정보자료의 구축과 분석기법의 개발은 이를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하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관생태학 이론을 기반으로 도시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는 다음과 같은 4단계로 구성된다. 첫째, 생태네트워크의 주요 골격을 형성하는 핵심 녹지를 중첩기법을 통해 도출한다. 둘째, 서식지 분포자료를 이용하여 서식녹지를 파악하고, 중력모형을 적용한 연결성 평가를 통해 연결녹지의 도입이 필요한 지역을 도출한다. 셋째, 최소비용경로분석을 이용하여 파편화된 녹지를 연결하기 위한 최적의 경로를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도시 생태네트워크 분석결과와 현재 토지이용간의 비교를 통하여 분석결과의 적정성을 검증한다. 본 연구는 도시 내 생태공간을 증진하기 위한 계획적 도구로서 난개발 방지, 종 다양성 증진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 result of the current trend towards promoting conservation of the ecosystem,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conducted to determine ways to establish an ecological network. The development of analytical methods and an environmental database of GIS has made the creation of this network more ef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경관구조와 서식종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GIS분석 기반의 생태네트워크 구축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는 향 후 친환경 도시성장관리, 종다양성 증진, 열섬현상 완화를 실현함에 있어 의사결정을 위한 계획적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그러나 두가지 분석방법의 결합을 통해 각 분석방법이 지니고 있는 단점을 보완함으로써 생태네트워크 구축의 목적에 보다 부합한 결과를 도출하게 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다양한 토지이용상충이 발생하는 복잡한 도시공간을 대상으로 GIS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생태적으로 반드시 보존되어야 할 지역을 제시 하였다. 이는 도시공간을 대상으로 연결녹지의 구체적 경로를 제시하지 못하거나 녹지네트워크 내 상호 강도만 도출했던 기존의 연구한계를 극복하고 도시공간의 특성을 보다 종합적으로 반영했음을 의미한다.
  • 분석결과와 토지피복도를 비교하여 현재의 토지이용 현황과 어느 정도 부합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NDVI 분석결과와 비교하여 실제 식생지수가 높게 나타나는 지역과 분석결과가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 확인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GIS분석기법을 이용한 도시생태네트워크 설정 체계는 [그림 2]와 같다.
  • 본 연구는 경관생태학이론을 기반으로 도시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를 제시하였다. 본 체계는 과거의 분석방법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 GIS 분석의 응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과학적 연구에서 강조하고 있는 네가지 조건인 반증가능성, 논리적 일관성, 과학적 엄격성, 그리고 충분한 설명력이 보장 되어야 한다(김태진, 2008). 본 연구는 생태네트워크의 연결성 확보에 주안점을 두고 다음과 같이 도시 생태네트워크 구축 방안을 마련하였다.
  • 특히 경관생태학은 GIS분석기법의 발전과 함께 생태학에서 그 활용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관생태학 이론을 기반으로 도시생태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GIS기반의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개발에 의한 녹지의 파편화를 해결하기 위해 경부는 무엇을 제시했는가? 멀어진 경관조각 간의 거리는 종의 이동, 물질의 흐름을 방해하여 도시생태공간에 부정적인 영향을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환경부는 국가환경종합계획(2006∼2015)과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2006)을 통해 광역생태네트워크를 계획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한반도 생태계의 통합적 제고방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광역생태네트워크는 인간의 일상생활이 주로 이루어지는 도시적 차원으로의 접근이 미흡한 한계가 있다(박창석・오규식 외, 2007).
도시개발에 의한 녹지의 파편화는 어떤 문제를 야기시켰는가? 도시개발에 의한 녹지의 파편화는 서식공간 크기와 생물종의 다양성을 감소시켰다. 멀어진 경관조각 간의 거리는 종의 이동, 물질의 흐름을 방해하여 도시생태공간에 부정적인 영향을 야기하고 있다.
멀어진 경관조각 간의 거리는 무엇을 야기하는가? 도시개발에 의한 녹지의 파편화는 서식공간 크기와 생물종의 다양성을 감소시켰다. 멀어진 경관조각 간의 거리는 종의 이동, 물질의 흐름을 방해하여 도시생태공간에 부정적인 영향을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환경부는 국가환경종합계획(2006∼2015)과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2006)을 통해 광역생태네트워크를 계획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한반도 생태계의 통합적 제고방안을 제시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김태진, 2008, "국가GIS 연구를 위한 사례연구방법론의 탐색", 한국GIS학회지 16(1): pp.145-155. 

  2. 박창석.오규식 외, 2007, "도시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토지이용계획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3. 사공정회.나정화, 2006, "녹지 상호간 연계성 및 기질특성 평가를 통한 녹지 연계망 조성 방안", 한국조경학회지:34(4): pp.18-36. 

  4. 오규식. 1998. 컴퓨터응용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편저, "도시계획론". 보성각 

  5. 오규식, 권오경. 2001. "다기준-공간의사결정 지원시스템(MC-SDSS)의 구축과 활용: 폐기물 매립시설 입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GIS학회지 9(2): pp.227-238. 

  6. 이동근.송원경.전성우, 2008, "경관투과성 및 최소비용경로 분석을 통한 수도권 지역의 광역생태축 구축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1(3): pp.94-106. 

  7. 조규현.이인성, 2002, "도시공원 입지선정을 위한 GIS기반의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의 개발", 한국GIS학회지 9(1):pp.91-105. 

  8. 최희선.김현애.김귀곤, 2008,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목표종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복원녹화기술학회지 11(5): pp.12-24. 

  9. 한봉호.이수동, 2000, "도시 생태네트워크 기법연구: 서울시를 대상으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0. 환경부, 2002, "국토생태네트워크의 추진전략에 관한 연구". 

  11. 환경부, 2004, "도시지역의 자연환경성 확보방안 연구". 

  12. 환경부, 2008, "광역생태축 구축을 위한 연구". 

  13. Adriaensen, F., et al., 2003, "The application of least-cost modelling as a functional landscape model",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4: pp.233-247. 

  14. Cook, E.A., van Lier, H.N., 1994, Landscape planning and ecological networks. Elsevier, Amsterdam. 

  15. Cook, E.A., 2002, "Landscape structure indices for assessing urban ecological network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8: pp.269-280. 

  16. Fabos, J.G., 2004, "Greenway Planning in the United Stats: It's Origins and Recent Case Studi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8: pp.321-342. 

  17. Forman, R.T.T., and Godron, M., 1986, Lanscape Ecology, New York, USA:John wiley & Sonns, Inc. 

  18. Forman, R.T.T, 1995, Land Mosaics: The Ecology of Landscape and Reg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Inc. 

  19. Knaapen, J.P., Scheffer, M., Harms, B., 1992, "Estimating habitat isolation in landscape planning", Land urban plan, 23:pp.1-16. 

  20. Singelton, P.H., et al., 2002, Landscape Permeability for Large Carnivores in Washingt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Weighted-Distance and Least-Cost Corridor Assessmen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Pacific Northwest Research Station. 

  21. Tischendorf, L., Fahring. L., 2000, On the usage and measurement of landscape connectivity. Okikos 90:7-19. 

  22. van Lier, H.N and Carsjens, G.J., 2007, "Ecological networks to balance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examples from landuse planning in the Netherland", USA and Argentina 

  23. Wang H., Zhang. L., 2006, "Planning an Ecological Network of Xiamen Island (China) using Landscape Metric and Network Analysi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8 pp.449-456. 

  24. Weber, T., Sloan. A., Wolf. J., 2006, "Maryland's Green Infrastructure Assessment: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Approach to Land Conservatio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8: pp.157-170. 

  25. 법제처 홈페이지 http://www.moleg.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