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WAT을 이용한 미계측 유역의 유출곡선지수 산정
Estimation of Runoff Curve Number for Ungaged Watershed using SWAT Model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1 no.6, 2009년, pp.11 - 16  

이진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김남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이정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서병하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WAT model as inputs for the estimation of CN (Curve number) if we do not have hourly rainfall and runoff data in the ungaged watershed. The daily CNs were estimated by using SWAT model for Chungju dam watershed and the CNs by hourly rainfall and runoff data in the sam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준분포형 유역수문모형인 SWAT이 이수목적의 장기유출모의 뿐만 아니라 치수목적의 설계인자를 도출할 수 있음을 입증한 것으로서 유역의 유출특성을 반영한 유출곡선지수 산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는 일강우량과 기상자료 및 국내 토양 DB 등을 이용하여 미계측 유역의 유출곡선지수를 추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유역 자료를 가지고 내부 소유역의 유출곡선지수를 산정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 유역에서 유역수문모형 SWAT (Arnold et al., 1993)의 수문성분 모델링 결과를 이용하여 유출곡선지수 산정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충주댐의 운영자료로 유입량을 계산하고 실측유량으로 간주하여 HEC-HMS 모형으로 최적화해 매개변수를 산정한 후 연 최대치 계열의 사상을 추출하여 CN을 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출곡선지수의 역할은 무엇인가? 유역의 토지 이용도 및 피복도, 토양도를 이용하여 강우량으로부터 직접유출에 기여하는 유효우량을 산정하는 유출곡선지수 (runoff curve number, CN)는 주로 단일사상의 시강우량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해 왔다. 이는 미국 농무성의 토양보전국(SCS)에서 농업용 소규모 시험유역에서의 강우-유출자료를 이용하여 개발된 방법으로 미계측 유역의 유출해석에 많이 이용해 왔다.
국내에서 유역평균 유출곡선지수를 사용 시 어떤 점이 문제가 되는가? 설계홍수량 산정을 위해서는 관측치 기반의 유출곡선지수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나, 국내에서는 미계측 유역이거나 관측치가 있더라도 시간 홍수량 자료가 극히 제한적이기에 거의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 Section 4 (NEH-4) Table에 기초한 유역평균 유출곡선지수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국내의 기후, 지형 및 토양 특성, 선행강우조건 등이 유출곡선지수법을 개발한 미국과 상이하여 유출특성이 확연히 다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값을 사용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으로 국내에서는 강우-유출자료를 이용하여 국내 유역특성이 반영된 유출곡선지수를 산정한 연구 (Yoon, Taehoon 1991; Oh, K.
국내에서 설계홍수량 산정을 위해 관측치 기반의 유출곡선지수를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설계홍수량 산정을 위해서는 관측치 기반의 유출곡선지수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나, 국내에서는 미계측 유역이거나 관측치가 있더라도 시간 홍수량 자료가 극히 제한적이기에 거의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 Section 4 (NEH-4) Table에 기초한 유역평균 유출곡선지수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국내의 기후, 지형 및 토양 특성, 선행강우조건 등이 유출곡선지수법을 개발한 미국과 상이하여 유출특성이 확연히 다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값을 사용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rnold, J.G., Allen, P.M., and Bernhardt, G. 1993, "A comprehensive surface-groundwater flow model.", Journal of Hydrology 142: 47-69 

  2. Bae, D.H., B.J. Lee, and I.W. Jeong, 2003, Runoff Curve Number Estimation for Cover and Treatment Classification of Satellite Image(Ⅰ)-CN Estimation-, Journal of KWRA, 36(6): 985-997 (in Korean) 

  3. Choi, J.Y., Engel, B.A. and Chung, H. W., 2002, "Daily streamflow modelling and assessment based on the curve-number technique." Hydrological Processes 16: 3131-3150 

  4. Kim, K.T., 1998, Analysis of Runoff Response Using GIS, Ph.D. diss., Inha University (in Korean) 

  5. Kim, N.W., B.J. Lee and J. E. Lee, 2007,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low-flow behavior based on spatial simulated flows.",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27(4B): 431-440 (in Korean) 

  6. Kim, N.W., and Lee, J. 2008, "Temporally weighted average curve number method for daily runoff simulation." Hydrological Processes, 22(25): 4936-4948 

  7. Lee, J.W., 2009, Estimation of Runoff Curve Number for Ungaged Watersheds, Ph.D. diss., Inha University (in Korean) 

  8. Lim, K.J., 2007, SWAT slope computation module, http://www.envsys.co.kr/~swat/ 

  9.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07, Analysis and modeling for surface water hydrological components,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in Korean) 

  10. Mishra, S.K., Pandey, R.P., and Jain, M.K., 2008, "A Rain Duration and Modified AMC-dependent SCS-CN Procedure for Long Duration Rainfall-runoff Events." Water resources management, 22(7): 861-876 

  11. Oh, K. D., Jun, B. H., Han, H. G., Jung, S.W., Cho, Y.H. and Park, S.Y., 2005, Curve Number for a Forested Mountainous Catchment, Journal of KWRA 38(8): 605-616 (in Korean) 

  12. Park, C.H. C.S. Yoo, and J.H. Kim, 2005, Revised AMC for Application of SCS Method: 1. Review of SCS Method and Problems in Its Application. Journal of KWRA, 38(1): 955-962 (in Korean) 

  13. Yoo, C.S. C.H. Park and J. H. Kim, 2005, Revised AMC for Application of SCS Method: 2. Revised AMC. Journal of KWRA, 38(11): 963-972 (in Korean) 

  14. Yoon, T. H,. 1991, Validity of Runoff Curve Number Method for Estimating of Effective Rainfall. Science of Water, 24(2): 97-108 (in Korean) 

  15.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Soil Conservation Service, 1972, SCS-National Engineering Handbook, Section 4: Hydrology, 548 pp.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