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7년과 2008년 Cochlodinium 적조발생규모에 영향을 미친 주요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적조발생기간 중 해양학적, 기상학적 특징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2007년도 남해연안과 동해연안에서 115억원의 수산피해를 일으킨 대규모 적조발생원인은 적조발생기간 중 집중강우, 냉수대발생으로 인한 연안용승, 수온성층 약화로 인한 연안역의 풍부한 영양염과 낮은 포식 동물플랑크톤 때문으로 해석되었다. 한편, 2008년도 남해안 일부 연안에서 수산피해없이 발생한 소규모 적조원인은 적조발생기간 중 지속된 가뭄과 빈영양 외양수가 연안역에 강하게 영향을 미침으로써 연안역의 낮은 영양염과 예년보다 월등히 높은 밀도의 포식 동물플랑크톤 영향 때문으로 풀이되었다. 따라서, 영양염 농도, 외양수 영향, 포식 동물플랑크톤은 2007년과 2008년 적조발생 규모에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understand major factors that affected on distinct Cochlodinium bloom scale in Korean coasts in 2007 and 2008, oceanographic and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during Cochlodinium bloom period were compared. The main reason for large scale blooms in 2007, covering both southern coast and eastern ...

주제어

참고문헌 (41)

  1. 강양순, 권정노, 손재경, 정창수, 홍석진, 공재열. 2003. 2002년 통영연안의 적조발생전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36: 515-521 

  2. 강영실, 조영조, 고우진, 김성수, 전경안, 오현주, 2000. 한국 남해안에서 살파류(Tunicata: Thaliuceae)의 대번식과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5: 47-58 

  3. 국립수산과학원, 2005a. 2004년도 한국연안의 적조발생상황집, 154 pp 

  4. 국립수산과학원, 2005b. 2005년도 한국연안의 적조발생상황집, 95 pp 

  5. 국립수산과학원, 2007. 2006년도 한국연안의 적조발생상황집, 97 pp 

  6. 국립수산과학원, 2008. 2007년도 한국연안의 적조발생상황집, 127 pp 

  7. 국립수산과학원, 2009. 2008년도 한국연안의 적조발생상황집, 154 pp 

  8. 국립수산과학원 해양수산연구정보. http://portal.nfrdi.re.kr 

  9. 김형철, 김동명, 이대인, 박청길, 김학균, 2001. 조류성장잠재력 시험에 의한 사량동 연안 Cochlodinium polykrikoides적조의 제한영양염. 한국수산학회지, 34: 457-464 

  10. 김형철, 이창규, 이삼근, 김학균, 박청길, 2001. Cochlodinium polykrikoides 의 성장에 미치는 물리.화학적인 요인과 영양염 이용. 한국수산학회지, 34: 445-456 

  11. 양재삼, 최현용, 정해진, 정주영, 박종규, 2000. 전남 고흥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연구:I. 물리.화학적인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5: 16-26 

  12. 이문옥, 문진한, 2008. Cochlodinium polykrikoides적조의 최초발생해역인 나로도 주변해역의 해양환경.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1: 113-123 

  13. 이영식, 박영태, 김영숙, 김귀영, 박종수, 고우진, 조영조, 박승윤, 2001. Cochlodinium polykrikoides적조 발생기작과 대책:1. Cochlodinium polykrikoides적조발생과 소멸의 환경특성.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6: 259-264 

  14. 이영식, 임월애, 이삼근, 2007.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가 발생하는 해역에서 호우에 의한 담수유입 범위과 질소, 인의 농도변화. 한국환경과학회지, 16: 1119-1125 

  15. 임윌애, 2004. 한국 남해안의 적조발생과정에 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99 pp 

  16. 임윌애, 이영식, 박종규, 2009. 2008년 남해동부해역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발생특성.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4: 155-162 

  17. 임윌애, 이영식, 이삼근, 2008. 2007년 남해동부해역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적조발생과 소멸에 마치는 환경특성.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3: 323-332 

  18. 정창수, 최우정, 김학균, 정영균, 김정배, 임윌애, 1999. 1998년도 남해도 인근수역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적조발생과 동물플랑크톤의 분포특성. 수진연구보고, 57: 153-161 

  19. Anton, A., P.L. Teoh, S.R. Mohd-Shaleh and N. Mohammad-Noor, 2008. First occurrence of Cochlodinium blooms in Sabah, Malaysia. Harmful algae, 7: 331-336 

  20. Azanza, R.Y., L.T. David, R.T. Borja, I.U. Baula and Y. Fukuyo, 2008. An extensive Cochlodinium bloom along the western coast of Palawan, Philippines. Harmful Algae, 7: 324-330 

  21. Crocker, K.M., A.L. Alldredge and D.K. Steinberg, 1991. Feeding rated of the doliolid, Dolioletta gegenbauri, on diatoms and bacteria. J. of Plankton Research, 13: 77-82 

  22. Curtiss, C.C., G W. Langlois, L.B. Busse, F.Mazzillo and M.W. Silver, 2008. The emergence of Cochlodinium along the Califomia Coast (USA). Harmful Algae, 7: 337-346 

  23. Doucette, G.J. and C.K. Lee, 2008. Preface to the Harmful Algae Special Issue: Recent progress on the research and management of Cochlodinium blooms. Harmful Algae, 7: 259-260 

  24. Han, I.S., L.H. Jang, Y.S. Suh and K.T. Seong, 2008.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distributions and outbreaks of harmful algal blooms in Korean Waters. J. Fish. Sci. Technol, 11: 50-60 

  25. Jeong, H.J., Y.D. Yoo, J.S. Kim, T.H. Kim, J.H. Kim, N.S. Kang and W.H. Yih, 2004. Mixotrophy in the phototrophic harmful algae Cochlodinium polykrikoides (Dinophycean): Prey species, the effects of prey concentration and grazing impact. J. Eukaryol. Microbiol., 51:563-569 

  26. Kang, Y.S., H.G Kim, W.A. Lim, C.K. Lee, S.G Lee and S.Y. Kim, 2002. An unusual coastal environment and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in 1995 in the South Sea of Korea. J. Kor. Soc.Oceano., 37: 212-223 

  27. Katechakis, A., H. Stibor, U. Sommer and T. Hansen, 2004. Feeding selectivities and foos niche separation of Acartia clausi, Penilia avrostris(Crustacea)and Doliolum denticulatum(Thalisceae) in Blanes Bay(Catalan Sea, NW Mediterranean). J. of Plankton Research, 26: 589-603 

  28. Kim, C.S., S.G Lee, C.K. Lee, H.G Kim and J. Jung, 1999a. Reactive oxygen species as causative agents in the ichthyotoxicity of the red tide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J. Plankton Res, 21: 2105-2115 

  29. Kim, C.S., S.G Lee and H.G Kim, 2000. Biochemical responses of fish exposed to a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Joumal of Experirn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254: 131-141 

  30. Kim, D.K., T. Oda, T. Muramatsu, D.I. Kim, Y. Matsuyama and T. Honjo, 2002. Possible factors responsible for the toxicity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a red tide phytoplankton. Comparative Biochemistry and Physiology Part C: Toxicology & Pharmacology, 132: 415-423 

  31. Kim, H.G, W.J. Choi, Y.G Jung, C.S. Jung, J.S. Park, K.H. An and C.I. Baek, 1999b. Initiation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and it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round the Narodo Island in the Westem part of South Sea of Korea, Bull. Nat'l. Fish. Res. Dev. Inst. Korea, 57: 51-159 

  32. Lee, D.K., 2008.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and eco-physical conditions in the South Sea of Korea. Harmful Algae, 7: 318-323 

  33. Lee, M.O. and J.K. Kim, 2008. Characteristics of algal bloom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Marine Environmental Research, 65: 128-147 

  34. Lee, Y.S. and S.Y. Lee, 2006. Factors affecting outbreaks of Cochlodinium 

  35. Park, T.G. and Y.T. Park, 2009. Detection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and Gymnodinium impudicum (Dinophyceae) in sediment samples from Korea using real-time PCR, Harmful Algae, In press, Corrected Proof, Available online 11.2009 

  36. Strickland, J.D.H. and T.R. parsons, 1972. A practical handbook of seawater analysis. Bull. Fish. Res. Bd. Canada, 310pp 

  37. Tang, Y.Z. and C.J. Gobler, 2009. Characterization of the toxicity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isolates from Northeast US estuaries to finfish and shellfish. Harmful Algae 8:454-462 

  38. Tomas, C.R., 1997. Identifying Marine Phytoplankton. Academic press, 853 pp 

  39. Tomas, C.R. and T.J. Smayda, 2008. Red tide blooms Cochlodinium polykrikoides of in a coastal cave. Harmful Algae, 7: 308-317 

  40. Yamaji, I., 1984. Illustration of the Marine Plankton of Japan. 3rd ed. Hoikushm Publishing Co., 158 pp 

  41. Whyte, J.N.C., N. Haigh, N.G. Ginther and L.J. Keddy, 2001. First record of blooms of Cochlodinium sp. (Gymnodiniales, Dinophyceae) causing mortality to aquacultured salmon on the west coast of Canada. Phycologia, 40: 298-3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