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월 및 연강수량의 경년변동 분석
Analysis of the Secular Trend of the Annual and Monthly Precipitation Amount of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9 no.6, 2009년, pp.17 - 30  

김광섭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임태경 (주식회사 삼안 수자원부) ,  박찬희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BK21)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강수량, 월 최대강수량, 강수일수, 일강수량 20 mm, 30 mm 및 80 mm 이상인 일수의 장기추세의 통계적 유의성을 비모수 검정법인 Mann-Kendall 검정기법과 62개 지점의 1905년부터 2004년 기간 사이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한반도 강수특성은 연강수량과 월 최대강수량의 증가, 강수일수 감소 그리고 20 mm, 30 mm, 80 mm 이상의 일강수를 가진 강수일수 증가로 요약될 수 있다. 또한 자료의 월별 추세분석 결과는 1, 5, 6, 7, 8, 9월 강수량과 월 최대강수량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3, 4, 10, 11, 12월에는 감소추세를 보인다. 또한 6, 7, 8, 9월의 일강수량 20 mm와 30 mm 이상인 강수일수는 증가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Mann-Kendall 검정결과 90%와 95% 유의수준에 대하여 유의한 증감추세를 가지는 지점의 비율은 매우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각 변수의 선형 증감에 따른 장기 변동보다 자료들이 가지고 있는 분산형태의 불확실성이 매우 우세함을 의미하므로 수자원 계획 등에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existence of possible deterministic longterm trend of precipitation amount, monthly maximum precipitation, rain day, the number of rain day greater than 20mm, 30mm, and 80mm was analyzed using the Mann-Kendall rank test and the data from 62 stations between 1905 and 2004 in Sou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러한 연강수량의 증가추세를 수자원 계획에 활용함에 있어서 즉 내년의 강수량이 올해보다 더 많을 것을 혹은 내년 특정월의 강수량이 대상 특정월의 증감 경향에 대응하여 올해 특정월의 강수량보다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을 보장하지 않는다. 이는 자료 변동성과 상관한 문제로 본 연구에서는 추세분석에 사용된 변수들에 대한 대상 기간별 연 및 월자료의 유의수준별 증감추세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엇이 기후변화의 주범으로 여겨지는가? 기후변화 및 변동의 원인과 그 국지적 특성에 대한 논의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기후변화의 주범으로 여겨지고 있는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의 대기 중 농도는 1950년대 이후로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증가된 온실가스는 지구 온난화의 원인이 되었고, 기온과 강수 같은 기후특성을 전 지구적 또는 국지적으로 상당히 변화시켰다.
경향성분석은 어떤 정보를 제공해 주는가? 경향성분석은 장기간의 강수량과 유량 값에 대한 발생 가능성이 있는 장래의 경향성에 대해 정보를 제공해 주므로 수자원 계획의 수립과 운영에 있어서 유용한 도구이다. 회귀분석과 함께 비모수 검정기법의 하나인 Mann-Kendall 검정을 이용하여 대상 유역에 대한 장기간 강수 시계열 자료의 특정 기간에 대한 자료의 추세를 검정하였다.
한반도 강수관련 자료의 장기 변동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한 본 연구의 월별 추세분석 결과는? 월별 추세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75~2004년 자료에 대하여 1, 5, 6, 7, 9월 강수량과 월 최대강수량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3, 4, 10, 11, 12월에는 감소추세를 보인다. 또한 6, 7, 8, 9월의 일강수량 20 mm와 30 mm 이상인 강수일수는 증가추세를 보였다. 이는 초봄과 겨울철의 강수량 감소로 인해서 수자원 관리에 유의해야함과 특히 여름철 강수량 증가추세는 이수측면에서 유리하다기보다 치수적인 측면에서 주의를 기울여야함을 나타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절에서 분석한 바와 같이 각 자료에 대한 유의한 월별 선형추세를 보이는 관측 지점의 비율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강수관련 자료들이 월별로 증가 또는 감소의 장기추세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장기추세를 보이는 확률은 매우 적으며 이는 선형 증감에 따른 장기 변동보다 자료들이 가지고 있는 분산형태의 불확실이 매우 우세함을 의미하고 이러한 특성들은 수자원의 장기 계획 등에 있어서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김규범, 이강근 (2003) 수질 장기관측자료를 활용한 우리나라의 지하수 수질변동 특성.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춘계학술대회, pp. 94-96 

  2. 배덕효, 정일원 (2005) 기후변화에 따른 바람직한 유역관리. 제13회 "세계 물의 날" 기념 심포지움, pp. 19-35 

  3. 이승호, 권원태 (2004) 한국의 여름철 강수량 변동. 대한지리학회지, 제39권, 제6호, pp. 819-832 

  4. 이진용, 이명재, 이재명, 안경환, 원종호, 문상호, 조민조 (2006) 국가 지하수관측소 지하수위, 전기전도도 및 수온자료에 대한 모수적 및 비모수적 변동 경향성 분석.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제11권, 제2호, pp. 56-67 

  5. 최광용, 권원태 (2008) 현재와 미래 우리나라 겨울철 강수형태변화. 대한지리학회지, 제43권, 제1호, pp. 1-19 

  6. 허창회, 강인식 (1988) 한국 지역 강수의 변동성에 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제24권 제1호, pp. 38-48 

  7. Brunetti, M., Maugeri, M., and Nanni T. (2001a) Changes in total precipitation, rainy days and extreme events in northeastern Italy.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21, pp. 861-871 

  8. Brunetti, M., Maugeri, M., and Nanni T. (2001b) Trends in the daily intensity of precipitation in Italy.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21, pp. 269-284 

  9. Burn, D.H., and Hag Elnur, M.A. (2002) Detection of hydrologic trends and variability. Journal of Hydrology, Vol. 255, pp. 107-122 

  10. Choi, G., Kwon W.T., Boo, K.O., and CHa Y.M. (2008) Recent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in means and extreme events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across the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ol. 43, No. 5, pp. 681-700 

  11. Dietz, E.J., and Kileen, A. (1981) A Nonparametric multivariate test for monotone trend with pharmaceutical applica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76, pp. 169-174 

  12. Gibbons, J.D. (1990) Handbook of statistical methods for engineers and scientists. McGrawHill, ed. Harroson M.W., pp. 11.1-11.26 

  13. Hennessy, K.J., Suppiah, R., and Page, C.M. (1999) Australian rainfall changes, 1910?1995. Australian Meteorology Magazine, Vol. 48, pp. 1?13 

  14. Hirsch, R.M., and Slack, J.R. (1984) A nonparametric trend test for seasonal data with serial dependence.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0, pp. 727-732 

  15.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1)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is. available at www.grida.no/climate/ipcc_tar/wg1/index.htm 

  16. Iwashima, T., and Yamamoto, R. (1993)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xtreme events: long-term trend of heavy daily precipitation. Journal of the Meteorological Society of Japan, Vol. 71, pp. 637?740 

  17. Jung, H.S., Choi, Y., Oh, J.H., and Lim, G.H. (2002) Recent trends i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ver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22, pp. 1327-1337 

  18. Karl, T.R., Knight, R.W., and Plummer, N. (1995) Trends in highfrequency climate variability in the twentieth century. Nature, Vol. 377, pp. 217-220 

  19. Karl, T.R., and Knight. R.W. (1998) Secular Trends of Precipitation Amount, Frequency, and Intensity in the USA.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79, pp. 231-241 

  20. Kundzewicz, Z.W., Graczyk, D., Maurer, T., Przymusinska, I., Radziejewski, M., Svensson, C. and Szwed, M. (2004) Detection of change in world-wide hydrological time series of maximum annual flow. GRDC Report No. 32, Global Runoff Data Centre, Koblenz, German 

  21. Kunkel, K.E., Andsager, K., and Easterling, D.R. (1999) Long-term trends in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over the conterminous United States. Journal of Climate, Vol. 12, pp. 2515-2527 

  22. Mann, H.B. (1945) Nonparametric tests against trend. Econometrica, Vol. 13, pp. 245-259 

  23. Mason S.J., Waylen P.R., Mimmack, G.M., Rajaratnam, B., and Harrison, J.M. (1999) Changes in extreme rainfall events in South Africa. Climatic Change, Vol. 41, pp. 249?257 

  24. Matondo, J.I., and Msibi, K.M. (2001) "Estimation of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hydrology and water resources in Swaziland", Water International, Vol. 26, No. 3, pp. 425-434 

  25. Osborn, T.J., Hulme, M., Jones, P.D., and Basnett, T.A. (2000) Observed trends in the daily intensity of United Kingdom precipi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20, pp. 347-364 

  26. Plummer, N., Salinger, M.J., Nicholls, N., Suppiah, R., Hennessy, K.J., Leighton, R.M., Trewin, B.C., Page, C.M., and Lough, J.M. (1999) Changes in climate extremes over the Australian region and New Zealand during the twentieth century. Climatic Change, Vol. 42. pp. 183-202 

  27. Schonwiese, C.D. and Rapp, J., (1997) Climate Trend Atlas of Europe. Based on observations 1891-1990. Kluwer, Dordrecht, The Netherlands 

  28. Serrano, A., Mateos, V.L., and Garcia, J.A. (1999) Trend analysis of monthly precipitation over the Iberian peninsula for the period 1921?1995. Physics Chemistry Earth, Vol, 24, pp. 85?90 

  29. Suppiah, R., and Hennessy, K.J. (1998) Trends in total rainfall, heavy rain events, and number of dry days in Australia, 1910-1990.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18, pp. 1141-1164 

  30. Trenberth, K.E. (1998) Atmospheric moisture residence times and. cycling: implications for rainfall rates and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Vol. 39, pp. 667?694 

  31. Yu, P.S., Yang, T.C., and Chou, C.C. (2002) Impact of climate change on water resources in southern Taiwan. Journal of Hydrology, Vol. 260, pp. 161-17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