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주암호 복내천 인공습지 조성 후 식물의 생활형에 대한 4년간의 변화 연구 Four-year Survey on Transitions of the Life Form of Plants after Developing Human-made Wetlands along Boknaecheon of Juam Lake원문보기
본 논문은 주암호 복내천 인공습지 조성 후 4년간 식물 변화를 Numata 식의 생활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002년 12월에 준공된 주암호 복내천 인공습지의 식재종은 10과 13속 12종 3변종으로 총 15종류가 식재되었다. 식재종의 3가지 성질의 생활형을 보면 휴면형(Dormancy form)은 다년생수생식물(HH)이 6종으로 가장 많고, 지하기관형은 $R_5$, $R_3$, $R_{2-3}$이 각각 4종, 산포기관형은 풍수산포형(D1)이 10종, 생육형은 직립형(e)이 가장 많았다. 인공습지 준공후 5년이 경과된 모니터링의 최종년도에 조사된 3가지 성질의 생활형은 종수와 개체수는 증가하였으나 생활형 구성비 (%)에 대한 경향성은 큰 변화는 없었다. 휴면형은 1년생육상식물(Th)이 43종, 24.29%, 지하기관형은 $R_5$가 산포기관형은 $D_4$형과 $D_1$형, $D_{1,4}$형이 전체의 77.39%를 차지하고 있었다. 생육형은 직립형(e), 총생형(t), 일시적로제트형(pr), 분지형(b), 로제트-직립형(ps)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들 종들이 전체의 64.97%를 차지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주암호 복내천 인공습지의 경우 휴면형은 천이가 진행될수록 다년생식물의 구성비율이 높아 습지 천이의 선구종들인 1년생식물이 우점하는 식생형이 점차적으로 안정된 다년생 습지식생의 유형으로 천이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번식형은 지하기관형인 단립식물($R_5$)이 우세하나 달뿌리풀 등과 같은 땅위에 연결체를 만드는 R4식물로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보이며, 산포기관형은 습지의 특성상 바람이나 물에 의하여 운반되는 풍수산포형과 수변 목본식물의 발달로 인한 중력산포형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생육형은 습지의 경우 총생형이 우세할 것으로 판단되며 육상은 인위적.자연적 교란에 의하여 다양한 유형의 생육형이 공존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은 주암호 복내천 인공습지 조성 후 4년간 식물 변화를 Numata 식의 생활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002년 12월에 준공된 주암호 복내천 인공습지의 식재종은 10과 13속 12종 3변종으로 총 15종류가 식재되었다. 식재종의 3가지 성질의 생활형을 보면 휴면형(Dormancy form)은 다년생수생식물(HH)이 6종으로 가장 많고, 지하기관형은 $R_5$, $R_3$, $R_{2-3}$이 각각 4종, 산포기관형은 풍수산포형(D1)이 10종, 생육형은 직립형(e)이 가장 많았다. 인공습지 준공후 5년이 경과된 모니터링의 최종년도에 조사된 3가지 성질의 생활형은 종수와 개체수는 증가하였으나 생활형 구성비 (%)에 대한 경향성은 큰 변화는 없었다. 휴면형은 1년생육상식물(Th)이 43종, 24.29%, 지하기관형은 $R_5$가 산포기관형은 $D_4$형과 $D_1$형, $D_{1,4}$형이 전체의 77.39%를 차지하고 있었다. 생육형은 직립형(e), 총생형(t), 일시적로제트형(pr), 분지형(b), 로제트-직립형(ps)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들 종들이 전체의 64.97%를 차지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주암호 복내천 인공습지의 경우 휴면형은 천이가 진행될수록 다년생식물의 구성비율이 높아 습지 천이의 선구종들인 1년생식물이 우점하는 식생형이 점차적으로 안정된 다년생 습지식생의 유형으로 천이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번식형은 지하기관형인 단립식물($R_5$)이 우세하나 달뿌리풀 등과 같은 땅위에 연결체를 만드는 R4식물로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보이며, 산포기관형은 습지의 특성상 바람이나 물에 의하여 운반되는 풍수산포형과 수변 목본식물의 발달로 인한 중력산포형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생육형은 습지의 경우 총생형이 우세할 것으로 판단되며 육상은 인위적.자연적 교란에 의하여 다양한 유형의 생육형이 공존할 것으로 판단된다.
Employing the Numata-type life form, the paper analyzed changes of plants for 4 years at the Human-made Wetlands along Boknaecheon of Juam Lake since its creation. The number of the species planted at the Human-made Wetlands along Boknaecheon of Juam Lake, which was completed in December 2002, were ...
Employing the Numata-type life form, the paper analyzed changes of plants for 4 years at the Human-made Wetlands along Boknaecheon of Juam Lake since its creation. The number of the species planted at the Human-made Wetlands along Boknaecheon of Juam Lake, which was completed in December 2002, were 15 in total including, 10 families, 13 genera, 12 species and 3 varieties. As for the three-featured life forms of the planted species, there were 6 perennial hydatophytes, recording the biggest number of species in dormancy form; species each of $R_5$, $R_3$, $R_{2-3}$ respectively in radicoid from; 20 species of geomantic dissenminule form ($D_1$) in disseminule form and erecred type(e) existed the most in growth form. With regard to the 3 features of life form identified during the final year of the monitoring that lasted 5 year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Wetlands,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as found to have increas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of tendency as against the composition ration(%) of life form. There were 43 species of therophytes (Th) that covered 24.29% in dormancy form, while $R_5$ was prevalent in radicoid form and $D_4$, $D_1$, and $D_{1,4}$ comprosed 77.39% of the whole disseminule form. Growth form was surveyed in the order of erected type (e), bunch type (t), temporal rosette type (pr), branch type (b) and straight rosette type (ps) and these species comprised 64.97% of the whole flora. Consequently, in case of the artificial wetlands along the Boknaecheon of Juam Lake, it turned out that the vegetation type in which pioneer species of succession, or gradually stabilized perennial vegetation favoring Wetlands because the higher dormancy form has its perennial plants' composition ratio getting, the more its succession is progressing. Even though single grained plants ($R_5$) belonging to radicoid in breeding form, succession is predicted to take place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y actually belong to ~ plants like Phragmites japonica that form a connection on the surface of the earth.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geomantic disseminule form ($D_1$) conveyed by water and gravitational disseminule form favored by the development of waterside woody plants ($D_4$) seem to be better fit to this area in desseminule form. As for growth form, bunch type (t) is judged to become prevalent on the Wetlands while a good variety of phanerophytes will coexist on the earth due to artificial as well as natural disturbances.
Employing the Numata-type life form, the paper analyzed changes of plants for 4 years at the Human-made Wetlands along Boknaecheon of Juam Lake since its creation. The number of the species planted at the Human-made Wetlands along Boknaecheon of Juam Lake, which was completed in December 2002, were 15 in total including, 10 families, 13 genera, 12 species and 3 varieties. As for the three-featured life forms of the planted species, there were 6 perennial hydatophytes, recording the biggest number of species in dormancy form; species each of $R_5$, $R_3$, $R_{2-3}$ respectively in radicoid from; 20 species of geomantic dissenminule form ($D_1$) in disseminule form and erecred type(e) existed the most in growth form. With regard to the 3 features of life form identified during the final year of the monitoring that lasted 5 year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Wetlands,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as found to have increas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of tendency as against the composition ration(%) of life form. There were 43 species of therophytes (Th) that covered 24.29% in dormancy form, while $R_5$ was prevalent in radicoid form and $D_4$, $D_1$, and $D_{1,4}$ comprosed 77.39% of the whole disseminule form. Growth form was surveyed in the order of erected type (e), bunch type (t), temporal rosette type (pr), branch type (b) and straight rosette type (ps) and these species comprised 64.97% of the whole flora. Consequently, in case of the artificial wetlands along the Boknaecheon of Juam Lake, it turned out that the vegetation type in which pioneer species of succession, or gradually stabilized perennial vegetation favoring Wetlands because the higher dormancy form has its perennial plants' composition ratio getting, the more its succession is progressing. Even though single grained plants ($R_5$) belonging to radicoid in breeding form, succession is predicted to take place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y actually belong to ~ plants like Phragmites japonica that form a connection on the surface of the earth.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geomantic disseminule form ($D_1$) conveyed by water and gravitational disseminule form favored by the development of waterside woody plants ($D_4$) seem to be better fit to this area in desseminule form. As for growth form, bunch type (t) is judged to become prevalent on the Wetlands while a good variety of phanerophytes will coexist on the earth due to artificial as well as natural disturbance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논문은 주암호 복내천 인공습지 조성 후 식물의 생활형에 대한 4년간의 변화를 Numata식의 생활형을 이용하여분석한 후 향후 인공습지 조성과 관련된 식재식물 선정에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현상도 천이선구종으로서 1년생 식물의 정착과관계가 있는데 1년생 육상식물과 수생식물의 종자공급, 번식방법, 인공습지 초기 생육환경에서의 경쟁적 우위를 점유할 수 있는 빠른 생육과 생활환 등이 크게 작용한 결과로보인다.
제안 방법
본 논문은 주암호 복내천 인공습지 조성 후 4년간 식물변화를 Numata식의 생활형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2002년 12월에 준공된 주암호 복내천 인공습지의 식재종은 10과 13속 12종 3변종으로 총 15종류가 식재되었다.
본 조사지 역의 식물상 조사를 위하여 2004년〜2007년까지 계절에 따라 출현시기가 다른 종의 조사와 정확한 식물동정을 위하여 매년 3월, 5월, 7월, 9월에 4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지답사를 통하여 확인된 모든 관속식물의 출현종을기록하고 일부 종은 사진촬영 및 채집을 실시하였으며 미확인 식물은 실험실로 운반하여 동정하였다.
이론/모형
식물의 분류와 동정은 Lee(1980)의 대한식물도감, Lee(1996)의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그리고 Lee(1996)의한국식물도감을 참조하였으며, Raunkiaer(1934)의 생활형을 구체화 시켜 표현한 Numata식(Lee, 1996)의 생활형을구분 집계하였다.
성능/효과
인공습지 준공 후 5년이 경과된 모니터링의 최종년도에조사된 3가지 성질의 생활형은 종수와 개체수는 증가하였으나 생활형 구성비(%)에 대한 경향성은 큰 변화는 없었다. 휴면형은 1년생 육상식물(Th)이 43종, 24.
39%를 차지하고 있었다. 생육형은 직립형(e), 총생형(t), 일시적로제트형(pr), 분지형(b), 로제트-직립형(ps) 순으로조사되었으며, 이들 종들이 전체의 64.97%를 차지하고 있다.
2002년 12월에 준공된 주암호 복내천 인공습지의 식재종은 10과 13속 12종 3변종으로 총 15종류가 식재되었다 (Table 1).
이들 식재종의 3가지 성질의 생활형을 보면 휴면형 (Dormancy form)은 다년생수생식물(HH)이 6종으로 가장많고, 지중식물(G)이 3종, 반지중식물(H)과 미소지상식물 (N)이 각각 2종, 수생식물(HH(rd))과 지표식물(Ch)이 각각 1종이 식재되었다. 지하기관형은 Rs R3, R23이 각각 4종으로 같았으며, 成가 2종, R1-2가 1종이 식재되었으며, 산포기관형은 풍수산포형(Di)이 10종, Di.
새로이 정착하였다. 식재되지 않은 식물들 중 1년생식물 (Th), 1년생수생식물(HH(Hi)), 월동하는 1년생식물CIh(w))의침입 후 정착에 성공하는 종이 다른 휴면형을 갖는 식물보다 많았다. 월동하는 1년생식물은 모니터링 기간(4년)동안 2배가 증가하여 가장 큰 변화를 보였으며, 1년생수생식물 (HH(Th))은 처음 1 〜2년간은 침입하여 정착하는 종이 많았으나 2년 이상 경과한 시점부터는 종수의 변화가 없었다.
2가 1종이 식재되었다. 식재된 15종의 지하기관형의 변화를 보면 1년 이상 경과된 2004년 1차 모니터링 결과에서는 R5가 78종으로 가장많았으며, 以(16종), R2-3(14종), R3(13 종) 순으로 나타났으나 R1-2는 변화가 없었다.
4년간의 모니터링 결과를 보면(Figure 4) R5가 매년 증가하였으나 증가 비율은 점차적으로 낮았으며, Rm은 매년 2종씩 증가 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다른 유형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식재된 식물의 산포기관형은 풍수산포형(DD이 10종, Di, 4, D4.i, Dm, D3형이 각각 1종씩 식재되어 대부분은 Dt유형의 식물이 식재되었다. 1차 모니터링시 식재된 15종중 산포기관형의 변화를 보면 2004년도 1차 모니터링 결과에서는 중력산포형(D4)이 44종으로 가장 많아 준공당시 가장많이 식재된 풍수산포형(Di)보다 10종이 더 많았다.
i, Dm, D3형이 각각 1종씩 식재되어 대부분은 Dt유형의 식물이 식재되었다. 1차 모니터링시 식재된 15종중 산포기관형의 변화를 보면 2004년도 1차 모니터링 결과에서는 중력산포형(D4)이 44종으로 가장 많아 준공당시 가장많이 식재된 풍수산포형(Di)보다 10종이 더 많았다. 가장 많은 종이 식재된 Di형은 34종으로 식재 당시 보다 24종이 증가 하였으며, DL4유형과 D3유형의 식물들도 초기정착에 유리한 번식유형을 갖는 식물로 조사되었다.
1차 모니터링시 식재된 15종중 산포기관형의 변화를 보면 2004년도 1차 모니터링 결과에서는 중력산포형(D4)이 44종으로 가장 많아 준공당시 가장많이 식재된 풍수산포형(Di)보다 10종이 더 많았다. 가장 많은 종이 식재된 Di형은 34종으로 식재 당시 보다 24종이 증가 하였으며, DL4유형과 D3유형의 식물들도 초기정착에 유리한 번식유형을 갖는 식물로 조사되었다.
식재된 식물은 다년생초본이 86.7%, 목본류가 13.3%로서 대부분이 다년생초본으로서 쑥부쟁이를 제외하면 수역과 수변지역에서 주로 분포하는 식물들이 식재되었다. 1년이상이 경과한 2004년 1차 모니터링 이후 4년간 휴면형의변화에 대한 모니터링결과 1년생 육상식물의 정착율이 가장 높았다.
1년이상이 경과한 2004년 1차 모니터링 이후 4년간 휴면형의변화에 대한 모니터링결과 1년생 육상식물의 정착율이 가장 높았다. 수생식물은 식재된 1년생 식물은 없었으나 1 〜2 년이 경과된 시점에서 19〜20종이 증가하여 많은 수의 종증가율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인공습지의 식물은 식재 및식재 후 관리방법 등에 의하여 나타나거나 토지적 요인 등에 의하여 주로 결정 되는데(與田과 左夕木藥, 1996) 주암호 복내천 인공습지의 경우 수역은 식재 및 식재 후 관리에의하여 주로 결정되었으며 호안, 법면지 등은 주변 식생에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번식형 중 지하기관형 번식은 지하나 지상에 연결체를만들지 않는 단립식물인 Rs형이 습지와 제방 양 장소에서정착 초기에는 매우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포기관형은 중력산포형 (D4)과 풍수산포형이 인공습지 조성 초기에정착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결과적으로 주암호 복내천 인공습지의 경우 휴면형은 1 년생 식물의 구성비율이 높으나 다년생식물의 구성비율도높아 습지 천이의 선구종들인 1년생 식물이 우점하는 식생형이 점차적으로 안정된 다년생 습지식생의 유형으로 천이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번식형은 지하기관형인 단립식물(r5)이 우세하나 달뿌리풀 등과 같은 땅위에 연결체를 만드는 成식물로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보이며, 산포기관형은 습지의 특성상 바람이나 물에 의하여 운반되는 풍수산포형과 수변 목본식물의 발달로 인한 중력산포형 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2002년 12월에 준공된 주암호 복내천 인공습지의 식재종은 10과 13속 12종 3변종으로 총 15종류가 식재되었다. 식재종의 3가지 성질의 생활형을 보면 휴면형(Dormancy form)은 다년생 수생식물(HH)이 6종으로 가장 많고, 지하기관형은 Rs R3, R2.3이 각각 4종, 산포기관형은 풍수산포형(D0이 10종, 생육형은 직립형(e)이 가장 많았다.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번식형은 지하기관형인 단립식물(R5)이 우세하나 달뿌리풀 등과 같은 땅위에 연결체를 만드는 R4식물로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보이며, 산포기관형은 습지의 특성상 바람이나 물에 의하여 운반되는 풍수산포형과 수변 목본식물의 발달로 인한 중력산포형 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생육형은 습지의 경우 총생형이 우세할 것으로 판단되며 육상은 인위적 .
참고문헌 (15)
김종일(2002) 주암호 광역상수원 유역종합정비 방안, 광주전남발전연구원
김준민(1984) 한국식물의 생태, 현대과학신서, p.226
Park,Y.J(2005) A study on the Design of Constructed Wetland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Graduate School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pp. 7
Lee, Y.N.(1996) Flora of Korea. Kyohak Publishing, pp. 1239
Lee, W.T.(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pp. 1688
?田重俊, 左夕木寧(1996) 河川環境と 水邊?物-植生の保全と管理 -ソつトサイエソス社 pp. 2690
Lee, T.B.(1980)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oon, pp. 990
Yim, YJ., G.H .. Park, J.K Shim(1991) Geographical Significance of RaunKiaer's Life Form Spectra in South Korea. Publication Committee for Retirement Commemoration Professor Yang-Jai Yim, Vol. 1: pp. 399-414
Iwanami Shoten(1996) Iwananmi's Dictionary of Biologyp Academy Publishing Co., pp. 2068
Braun-Blanquet, J.(1928) Pflanzensoziologie. Springer-Verlag, 1st ed., Berlin, 1928, 2nd ed., Vienna, 1951. 631 pp. 3rd ed.,Vienna, New York, 1964. pp. 865
Muller-Dombois, D and H. Ellenberg.(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New York, pp. 547
Humbolt, A. von.(1805) Essai sur la geographie des plants. In phytosociology. Academic press, USA. 99. pp. 1-15
Raunkiaer, C.(1934) Life form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Charendon Press, Oxford
Smith, R. Daniel, Alan Ammann, Candy Bartoldus, Mark M. Brinson(1995a). An Approach for assessing Wetland Functions Using Hydrogeomorphic Classification. Reference Wetlands, and Functional Indices. US Army Corps of
Smith, R.D., A. Ammann, C. Bratoldus, and M.M. Brinson(1995b). An approach for assessing wetland functions using hydrogeomorphic classification, reference wetlands, and functional indices. Technical Report WRP-DE-9. Waterways Experiment Station, U.S. Army Corps of Engineers, Vicksburg, MS. pp. 7-25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