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도의 원위부 기관협착 환자에서 경피적 심폐보조장치를 이용한 호흡보조 하에 시행한 기관절제 및 단단 문합술
Respiratory Support by Performing Percutaneous Cardiopulmonary Support (PCPS) for Tracheal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in Patients with Severe Distal Tracheal Stenosis 원문보기

大韓胸部外科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v.42 no.2 = no.289, 2009년, pp.259 - 262  

조상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박인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이창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배미경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정경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관 및 폐문부 수술 시 기도확보가 어려운 경우나 폐실질 질환을 동반하여 저산소증 등이 우려될 경우 심폐보조장치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국소마취 하에 시행할 수 있는 경피적 심폐보조장치는 고전적인 심폐보조장치를 대신하여 기관호흡으로 호흡유지가 힘든 환자에게 안전하고 손쉽게 적용할 수 있다. 저자들은 고도의 하부 기관협착 환자에서 경피적 심폐보조장치를 이용한 호흡보조 하에 기관절제 및 단단 문합술을 성공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rgery on the distal trachea or the carina presents special problems for maintaining the airway and systemic oxygenation. Cardiopulmonary bypass is an alternative method for respiratory support for the patients with these conditions. Percutaneous cardiopulmonary support (PCPS) applied under local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원위 기관 및우즉 주기관지의 협착을 동시에 교정하기 위해서는 우측개흉술로 접근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그러나 우측기관지의 병변은 만성 병변이고 정도가 심하지 않아 교정해 주지 않더라도 수술 후 환자의 경과에 영향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고 늑막유착 및 파괴폐로 인해 출혈 및 폐 손상의 위험이 있어 경부절개 및 정중 흉골 절개를 통하여 하부 기관협착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수술하기로 하였다. 수술 중 호흡보조를 위해 경피적 심폐보조장치 (Percutaneous Cardiopulmonary Support, PCPS)를 사용하기로 하여 국소마취하에 좌측 대퇴동맥과 정맥으로 17 Fr의캐뉼라를 삽입하여 부분 체외순환을 시작한 후 전신마취를 유도하고 기관삽관을 하였다.
  • 본 증례에서는 협착 부위가 기관 원위부이고 정도가 심하며 만성 폐질환 및 폐렴으로 인해 호흡곤란 및 폐손상이 진행된 상태이므로 기도삽관 및 인공호흡 만으로는 수술 전 호흡 및 산소화를 보장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기관절제 후 기관 원위부로 기관내튜브를 삽입하여 환기를 시행할 경우 일측폐 환기만 가능한데 이 경우 기저 만성폐질환으로 인해 충분한 호흡유지가 어려우며, 기관 내 튜브로 인해 시야에 장애가 발생하고 반복적인 튜브의 삽입 및 제거는 호흡유지를 더욱 불안정하게 하고 수술 시간의 연장만 초래할 것으로 판단되어 환기보조의 방법으로 심폐체외순환을 병행하기로 결정하고 경피적 심폐 보조 장치를 이용하기로 하였다.
  • 본 증례에서는 마취유도전 국소마취하에 부분 심폐 체외순환을 시행하면서 협착 상부에 기관내튜브를 위치하여 기계환기를 병행하고, 기관절제 후 단단 문합까지 의무호흡 기간동안 부분 심폐체외순환 단독으로 혈 역학적인 이상 없이 조직 관류 및 산소화를 유지하였다.
  • 그러나 우측기관지의 병변은 만성 병변이고 정도가 심하지 않아 교정해 주지 않더라도 수술 후 환자의 경과에 영향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고 늑막유착 및 파괴폐로 인해 출혈 및 폐 손상의 위험이 있어 경부절개 및 정중 흉골 절개를 통하여 하부 기관협착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수술하기로 하였다. 수술 중 호흡보조를 위해 경피적 심폐보조장치 (Percutaneous Cardiopulmonary Support, PCPS)를 사용하기로 하여 국소마취하에 좌측 대퇴동맥과 정맥으로 17 Fr의캐뉼라를 삽입하여 부분 체외순환을 시작한 후 전신마취를 유도하고 기관삽관을 하였다. 체외순환 동안 헤파린을 정주하여 활성화 응고 시간을 180~220초로 유지하였다.
  • 흉부 방사선 검사상 폐렴의 호전 및 악화가 반복되고 인공 호흡기의 이탈이 어려워 입원 13일째 기관절개술 시행하였고, 60일째 인공 호흡기를 이탈하여 일반 병실로 전실하였다. 입원 64일째 기관절개 튜브를 제거하였으나 호흡곤란 심해지고, 흡기시 협착음 청진 되어 흉부 단층 촬영 및 기관지 내시경을 시행하였다. 기관지 내시경 결과 성문부 하방 7.
  • 5 L/min로 유지하였다. 협착 부위의 기관절개 후에 기계호흡은 중지 하였으며, 심폐 보조 장치의 혈류를 2.8 L/min, FiO2를 0.7로 조정하여 체외순환만으로 전신 산소화를 유지한 상태에서 기관 부분절제를 시행하였고 우측 주기관지의 풍선확장술 및 기관 단단문합술을 시행하였다. 체외순환시 상지에서 측정한 동맥혈 산소포화도 결과는 pH 7.
  • 흉부방사선 검사결과 우측 상폐야의 미만성 음영 및 폐허탈 확인하였고, 심한 호흡곤란 및 저산소증으로 기관삽관 시행 후 인공 호흡기치료 시행하였다. 흉부 방사선 검사상 폐렴의 호전 및 악화가 반복되고 인공 호흡기의 이탈이 어려워 입원 13일째 기관절개술 시행하였고, 60일째 인공 호흡기를 이탈하여 일반 병실로 전실하였다. 입원 64일째 기관절개 튜브를 제거하였으나 호흡곤란 심해지고, 흡기시 협착음 청진 되어 흉부 단층 촬영 및 기관지 내시경을 시행하였다.
  • 1).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에서는 우상엽의 파괴펴〕, 양측 폐실질의폐기종 및 늑막유착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원위 기관 및우즉 주기관지의 협착을 동시에 교정하기 위해서는 우측개흉술로 접근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 응급실 내원시 혈압은 160/90 mmHg, 체온 37℃, 호흡수 30회/min, 맥박 95회/min이었고, 이학적 검사 결과 우폐야의 흡기시 수포음이 청진되었다. 흉부방사선 검사결과 우측 상폐야의 미만성 음영 및 폐허탈 확인하였고, 심한 호흡곤란 및 저산소증으로 기관삽관 시행 후 인공 호흡기치료 시행하였다. 흉부 방사선 검사상 폐렴의 호전 및 악화가 반복되고 인공 호흡기의 이탈이 어려워 입원 13일째 기관절개술 시행하였고, 60일째 인공 호흡기를 이탈하여 일반 병실로 전실하였다.

대상 데이터

  • 57세 남자 환자가 1주일 간의 기침, 가래, 호흡곤란 및 내원 당일 호흡곤란의 악화로 응급실 내원하였다. 과거력상 30년전 폐결핵 진단받고 9개월 약물치료 후 완치 판정받았고 1년전 기관지 확장증 진단 후 약물치료 중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Anand VK, Alemar G, Warren ET, et al. Surgical considerations in tracheal stenosis. Laryngoscope 1992;102: 237-43 

  2. Saper A, Ayten A, Eser I, et al. Tracheal stenosis after tracheostomy or intubation. Tex Heart Inst J 2005;32:154-8 

  3. Geffin B, Bland J, Grillo HC. Anesthetic management of tracheal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Anesth Analg 1969; 48:884-90 

  4. Elzbieta R, Dmitar M, Joel Z. Carinal resection with two high-frequency jet ventilation delivery systems. Can J Anaesth 1993:40:59-63 

  5. Kawahito S, Kitahata H, Kitagawa T. Non cardiac surgery applications of extracorporeal circulation. J Med Invest 2007;54:200-10 

  6. Chiu CL, Teh BT, Wang CY. Temporary cardiopulmonary bypass and isolated lung ventilation for tracheal stenosis and reconstruction. Br J Anaesth 2003;91:742-6 

  7. Choi SY, Kim YH. Tracheostomy assisted with emergency bypass system in severe tracheal stenosis. Korean J Thorac Cardiovasc Surg 2007;40:874-7 

  8. Kawaguchi T, Kushibe K, Takahama M. Bluntly traumatic tracheal transection: usefulness of percutaneous cardiopulmonary support for maintenance of gas exchange. Eur J Cardiothorac Surg 2005;27:52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